• 제목/요약/키워드: CLA isomer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8초

옥수수유와 conjugated linoleic acid로부터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재구성지질의 합성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from Corn Oil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with Immobilized Lipase-Catalyzed Reaction)

  • 조은진;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97-802
    • /
    • 2003
  •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식물성 유지 중 옥수수유에 CLA를 연속식 반응기를 통해 esterification하여 기능성을 가지는 재구성지질을 합성하였고 합성 시에 유속, 반응온도, 기질의 농도를 변수로 하여, Thermomyces lanuginosa로부터 획득된 TL IM 효소를 이용 하였다. TAG의 조성 분석을 통해 CLA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재구성지질 중에 함유된 CLA의 이성체는 주로 생리활성효과가 보고 되어진 cis9,trans11-CLA, trans10,cis12-CLA 등으로써 함유된 총 CLA 함량의 약 $80{\sim}90%$를 차지하였다. Peristaltic tubing pump의 유속을 변수로 하여 재구성지질 중에 함유된 CLA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속이 느릴수록 생성된 CLA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응온도를 변수로 하여 생성된 CLA의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도 증가하였으나, $65^{\circ}C$의 조건에서는 오히려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기질의 농도를 변수로 하여 생성된 CLA의 함량을 비교 분석 결과는 옥수수유 : CLA의 1:3 mol비율에서 생성된 CLA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1.0 mL/min, $55^{\circ}C$, 옥수수유 : CLA의 1:3 mol 비율의 생성 조건에서 cis9,trans11-CLA, trans10,cis12-CLA 등의 함량이 각각 7.32, 6.91 mol% 등으로 가장 높게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ancreatic lipase에 의해 가수분해를 실시한 후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CLA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TL IM이 sn-1,3 specific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조건에서 생성된 재구성지질 중의 불포화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오드값을 측정한 결과, 그 측정값이 $120{\sim}128$의 범위를 가졌으며, HPLC를 통해 재구성지질의 중성지방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TAG가 약 9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소량의 1,2-와 1,3-DAG 및 MAG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 전립선 암세포인 TSU-Pr1에서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과 Bcl-2 단백질의 발현억제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and Depression of Bcl-2 Protein Levels by Trans-10,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in Human Prostate Cancer)

  • 오윤신;김은지;이상곤;정차권;강일준;신현경;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26-1133
    • /
    • 2002
  • CLA 이성체 mixture와 trans-10,cis-12 CLA는 살아있는 TSU-Prl 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반면 LA와 cis-9,trans-11 CLA는 세포 수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세포 수를 감소시키는 CLA 이성체 mixture와 tran-10, cis-12 CLA는 apoptotic cell death를 유도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특히 trans-10,cis-12 CLA는 Bcl-2/Bax 비율을 감소시켰다. Trans-10,cis-12 CLA에 의해 Bax와 Bcl-2 mRNA의 수준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이 지방산에 의한 Bcl-2의 변화는 mRNA 전사 후에 일어나는 단계에서 일어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로써 CLA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는 부분적으로 TSU-Prl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액리놀레산 생성 Lactobacillus plantarum 선발 및 이를 이용한 콩-분말 두유에서 공액리놀레산 생산 (Screening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and production of CLA on soy-powder milk by these stains)

  • 김바오로;이병원;황정은;이유영;이춘우;김병주;박지영;심은영;모하메드 아지줄 하크만;이동훈;이진환;안민주;이희율;고종민;김현태;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31-24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으로부터 16종의 공액리놀레산(CLA) 생성 젖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 중, S48 및 P1201 균주는 다른 젖산균들보다 더 높은 CLA를 생성하였다. 두 균주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화학적 및 분자유전학적 특징에 따라 Lactobacillus plantarum로 동정하였다. pH 2.0 인공위액산에서 4시간 배양 후 이들 균주의 생존율은 각각 59.57% 및 6.22%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는 $37^{\circ}C$에서 48시간 동안 상이한 자유 리놀레산 함량이 함유되어 있는 8% 탈지분유 배지에서 cis-9, trans-11 및 trans-10, cis-12 CLA 이성체가 생성되었고, 두 CLA 이성체는 48시간 배양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 48시간 후, 증자콩-분말 두유의 CLA 함량은 생콩 및 볶음콩-분말 두유에서 보다 높은 생성능을 보였다. 특히, 증자콩-분말 두유의 CLA 함량은 각각 S48 및 P1201 균주에서 $183.57{\mu}g/ml$$198.72{\mu}g/ml$ 생성되었다.

Conjugated linoleic acid 황갈색의 인체암세포와 인체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Lack of Cytotoxicity of the Colorant in Conjugated Linoleic Acid against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 지유철;안채린;서양곤;서정세;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99-1106
    • /
    • 2012
  • 체지방감소 효과가 있는 시판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색깔을 제거하고 이 색깔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황갈색의 시판 CLA 제품을 구입하여 crude CLA (c-CLA) 시료로 하였다. c-CLA 시료를 감압증류(10 mmHg-$220^{\circ}C$, 10 mmHg-$235^{\circ}C$, 10 mmHg-$240^{\circ}C$, 20 mmHg-$260^{\circ}C$; 30분)하여 증류된 CLA (distilled CLA; d-CLA) 시료와 증류되지 않고 남아있는 황갈색 CLA (residual CLA; r-CLA) 시료로 분리하였다. 10 mmHg-$220^{\circ}C$에서 증류하여 얻은 d-CLA 시료의 색깔은 L (brightness), a (red/blue), b (yellow/green)로 분석한 결과 무색에 가까웠고 r-CLA 시료는 황갈색이었고, 이들 두 CLA 시료의 CLA 이성체 조성은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10 mmHg-$220^{\circ}C$에서 얻은 r-CLA 시료의 인체암세포(유방암 MCF-7. 폐암 A-549, 직장암 HT-29, 전립선암 PC-3)와 인체 정상세포(신경모세포 SK-N-SH)에 대한 세포독성을 d-CLA 시료와 비교하였다. 이들 암세포와 정상세포에 r-CLA 시료와 d-CLA 시료 처리 2일 후의 세포독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10 mmHg-$220^{\circ}C$로 감압증류 하여 제거할 수 있었고, r-CLA 시료의 세포독성은 d-CLA 시료의 세포독성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세포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추출된 옥수수유와 땅콩유로부터 Conjugated Linole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의 효소적 합성 및 분석 (Enzymatic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from Extracted Corn and Peanut Oil)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00-1005
    • /
    • 2004
  • 식물성 유지자원 중 옥수수와 땅콩을 원료로 하여 35$^{\circ}C$, 100 rpm의 항온교반수조와 8$0^{\circ}C$의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에 따라 유지를 추출한 후, sn-1,3 위치 특이성을 가지는 IM 60(Rhizomucor miehei, EC 3.1.1.3)를 사용하여 acidolysis 방법을 통해 CLA를 함유하는 재구성지질을 합성하였다. 추출된 옥수수유와 땅콩유 모두 35$^{\circ}C$, 6시간에서 각각 3.59, 47.98%로 여러 추출 조건 중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고, 추출된 유지 모두 phytosterol 이성질체(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 중 $\beta$-sitosterol의 함량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추출된 유지의 주요 지방산으로 조사되었다. 추출된 유지와 재구성 지질(추출유-CLA)의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추출된 유지와 합성한 유지의 총 tocopherol 함량이 지정된 온도의 추출시간과 반응(합성)시간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재구성 지질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CLA 총 함량이 반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4시간 반응에서 옥수수유와 땅콩유에 결합된 CLA 총 함량이 각각 9.25, 7.48mol%로 여러 반응시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CLA의 주요 이성질체 중 생리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cis 9, trans 11-CLA와 trans 10,cis 12-CLA의 재구성 지질 내 함량은 옥수수유와 땅콩유 각각 7.50, 6.30 ㏖%이었다.

식이성 Conjugated Linoleic Acid (CLA)가 유선암 세포(MCF-7)에서의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carcinogenic Responses of MCF-7 Breast Cancer Cells to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 문희정;이순재;박수정;장유진;이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8-427
    • /
    • 2003
  • 본 연구는 식이성 CLA 투여에 따른 MCF-7 세포에서의 항암 효과를 기전적으로 규명하여 점차 증가하는 유방암 환자의 식이 지방질의 식생활 지침서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지방산 종류에 따른 증식율을 살펴보면, 48시간 배양시 LA투여군에 비하여 CLA 투여군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증식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LA군과 CLA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처치 농도별로 살펴보면 LA에 비하여 72시간 배양에서 CLA농도가 15$\mu$M에서 60$\mu$M로 증가할수록 LA투여군에 비하여 증식이 감소하였고 120$\mu$M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LA투여군은 배양시간이 길수록 농도에 따라 LA투여군보다 증식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내 지방산 유입률은 대조군보다 LA와 CLA 투여군의 세포내 유입률이 각각 22~54%, 17~41%정도로 더 많이 유입되어 세포내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LA의 경우 고농도에서 세포내로의 유입이 잘 되지 않은 것은 세포내 항상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조군보다 LA과 CLA 지방산을 48시간 배양시 지질 과산화물 생성이 50~130%증가하였고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MDA의 생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그러나, 72시간 배양시 CLA 30 $\mu$M에서는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120 $\mu$M에서는 LA의 과산화물 생성이 CLA군보다 1.7배가량 증가하였다. 72시간 120$\mu$M CLA처치시 항산화 효소인 GPx, GR의 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배양시 간이 길어질수록 CLA에 대한 항산화효소 활성이 더 커지며 이는 LA군과도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CLA의 장기간 처치 경우에도 과산화물 생성이 LA군보다 적게 생성된 것은 항산화효소 활성의 역할이 있을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겠다. 또한, 유선암 세포에 CLA를 투여 할 경우 LA투여군에 비하여 PGE$_2$와 TXA$_2$ 생성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AA생성의 감소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CF-7 유선암세포에 LA군에 비하여 CLA투여에 따른 세포증식의 차이는 없었으나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CLA농도에 따른 세포증식률이 LA군보다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항산화효소의 증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삼소와 PGE$_2$및 TXA$_2$등의 유의적인 감소가 유선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지방산 투여 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과 항산화 시스템이 유선암 세포에서는 상호기전적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이는 농도와 배양시간에 따른 CLA의 항암효과가 in vivo 실험에서 재검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장시간의 세포배양 실험시 PGE$_2$는 반감기가 짧고 다른 대사물로 쉽게 전환되는 불안전한 물질이므로 새로운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더욱이 CLA에 의한 항암효과가 정확히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얻은 에이코사노이드 대사의 변화 등은 유선암 예방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Chemical and Volatile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 from Soybean Oil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 Lee, Jeung-Hee;Lee, Jong-Ho;Lee, Ki-Tea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3호
    • /
    • pp.219-224
    • /
    • 2003
  • Structured lipid (SL) produced from soybean oil was enriched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The SL had 21.9 mol % CLA isomers incorporated into SL-soybean after the 24-h reaction. Removal of tocopherols (73~84% loss from original soybean oil) was observed in the SL. Electronic nose can discriminate the aroma of SL-soybean from that of soybean oil. Many oxidative volatiles including pentenal, octenal, 2,4-decandienal, and nonenal were found in SL-soybean. Electronic nose, which is valuable for composite aroma analysis, can provide flavor information together with GC-MS that is useful for qualitative or quantitative analysis of each odor compound in SL.

Anti-diabetic Effect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ype II Diabetes Mellitus

  • Song, Kibbeum;Song, In-Bong;Gu, Hye-Jung;Na, Ji-Young;Kim, Sokho;Yang, Hee-Sun;Lee, Sang-Cheon;Huh, Chang-Ki;Kwon, Jungk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0-177
    • /
    • 2016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 a group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LA has been reported to be able to reduce body fa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effect of fermented milk (FM) containing CLA on type II diabetes db/db mice. Mice were treated with 0.2% low FM, 0.6% high FM, or Glimepiride (GLM) for 6 wk.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body weight and the levels of fasting blood glucose, serum insulin, and lept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FM fed mice compared to db/db mice. Oral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tolerance were significantly ameliorated in FM fed mice compared to db/db mice. Consistent with these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LDL cholesterol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FM fed mice compared to db/db mic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HD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M fed mice compared to db/db mice.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GLM, a commercial anti-diabetic drug.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FM has anti-diabetic effect as a functional food to treat type II diabetes melli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