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 cells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4초

굼벵이 유래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열수 추출물의 유전독성평가 (Genotoxicity Study of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Grown Upon Protuetja dreujtarsis)

  • 조월순;남병혁;최유진;오수정;강은영;이상호;정민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45-251
    • /
    • 2007
  •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grown upon Protuetja dreujtarsis (CMPD) was examined for the genetic toxicity-bacterial mutagenicity, chromosome aberration, and micronucleus formation. For mutagenicity assay, bacterial reversion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 1537, and E. coli WP2uvrA were performed. The extract at the concentrations of $50{\sim}5,000{\mu}g/plate$ did not induce mutagenicity at all. Chromosome aberration test was performed by using Chinese lung (CHL) cells. There was no significant chromosome aberration in CHL cells with S-9 mixture at the concentrations of $312.5{\sim}1,250{\mu}g/ml$ of the extract and without S-9 mixture at the concentrations of $1.2{\sim}19.5{\mu}g/ml$ of the extract. For micronucleus test, ICR mice were treated with the extract at the dose of 0.5, 1, and 2g/Kg. The frequencies of the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MNPCE) in bone marrow preparations of the extract-treated group were not increas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 that water extract of CMPD did not induce any harmful genotoxicity.

북한강수계 호수의 POC와 DOC 분포와 조류밀도의 관계 (The Distribution of POC and DOC in Four Reservoirs on the North Han River and the Relationship with Algal Density)

  • 김기용;김범철;엄재성;최영순;장창원;박혜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40-848
    • /
    • 2009
  •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POC and DOC were surveyed in the North Han River system, Korea The proportion of algal cells was calculated in four reservoirs (Lakes Soyang, Paro, Chunchon, and Uiam). Monthly average DOC concentrations ranged from 1.5 to 2.3 mg C/L, and POC showed larger variation than DOC (range 0.3 to 1.9 mg C/L). The average proportion of POC in TOC was higher than those of typical natural lak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sian summer monsoon, the seasonal variation in POC concentration depended on heavy rain events occurring during the summer. POC concentrations increased during the summer monsoon season due to turbid storm runoff laden with debris, while DOC concentrations did not increase. The highest POC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Lake Soyang in 2006 when a severe rain event occurred. In two deep stratified reservoirs (Lake Soyang and Paro) storm runoffs formed an intermediate turbidity layer with high POC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s which is thought to originate from terrestrial debris and periphyton transported by inflowing streams. The proportion of algal cells in total POC was much lower than for most natural lakes, and it varied with season; low in the monsoon season and high in dry seasons with algal blooms. An analysis of POC concentration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showed that the ratio of POC/Chl.a varied from 24 to 80.

횡성호의 육수학적 조사와 인부하 (The Limnological Survey and Phosphorus Loading of Lake Hoengsung)

  • 권상용;김범철;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411-422
    • /
    • 2004
  • 횡성호에서는 수중폭기 기간에도 수온약층이 형성되었으며, 수중폭기로 인한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정점의 표충(0-5m)평균 탁도는 0.1-8.5NTU로 우기 이후에 중층 및 심층에서 높았다. 투명도는 0.9-3.5m의 범위로 댐 하류(St. 1)정점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상류로 갈수록 낮았다. 용존산소는 2000년 7월과 8월에 전 지점의 0m에서 $8.4-14.1\;mgO_2\;{\cdot}\;L^{-1}$로 높았으나 심층에서는 고갈 상태를 보였다. 또한 2001년 7월과 9월에도 정점 1의 심층에서 $1\;mgO_2\;{\cdot}\;L^{-1}$ 내외로 매우 낮았다. 전 정점의 표층 (0-5 m)평균 총인 농도는 5-46 mgP ${\cdot}$ $m^{-3}$로 초봄의 turnover 직후 및 우기이후에 높았으며 용존 무기인 농도는 0.2-13.2 mgP ${\cdot}$ $m^{-3}$로 2001년 9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10mgp ${\cdot}$ $m^3$이하 이였다. 횡성호의 연간 인부하량은 약 4.45ton 정도로 유역내에서 발생되는 총인 발생량 71.34ton중 약 6.2%만이 호수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적당 인부하량은0.77 gp ${\cdot}\;m^2\;{\cdot}\;yr^{-1}$으로 횡성호의 환경용량이라 할 수 있는 과잉임계부하량 0.72 gp ${\cdot}\;m^2\;.\;yr^{-1}$을 0.05 gP ${\cdot}\;m^2\;.\;yr^{-1}$ 초과한 수준이다. 전 정점 표층 (0-5 m)평균 총질소 농도는 0.83-3.55 mgN ${\cdot}\;L^{-1}$로 우기 이후에 중충 이하 지역에서 높았다. 질산성 질소는 전 정점의 표층(0-5m)평균이 0.09-3.33 mgN ${\cdot}\;L^{-1}$로 2001년 6월에 가장 낮았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전 정점의 표층(0-5m)평균이 0.04-0.23 mgN ${\cdot}\;L^{-1}$이였다. 전 정점 표층 (0-5 m)평균 규소농도는 0.5-9.6 mgSi ${\cdot}\;L^{-1}$로 봄철에 낮았으며, 우기이후에 다시 증가하였다. 평균 TSI는 2000년과 2001년에 각각 59와 57이었다. 전 정점 표층 (0-5 m)평균 엽록소 a농도는 0.3-32.4 mg ${\cdot}\;m^{-3}$로 여름철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정점별로는 상류지역에서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은 2000년 7월에 녹조류인 Scenedesmus sp.가 10,480 cells ${\cdot}\;mL^{-1}$,8월과 9월에는 남조류인 Microcystis sp.가 각각 3,492와 296 cells ${\cdot}\;mL^{-1}$로 우점하였다. 10월에는 녹조류인 Coelastrum microporum이 133 cells ${\cdot}\;mL^{-1}$, 11월에는 규조류인 Asterionella formosa가 2,654 cells ${\cdot}\;mL^{-1}$, 12월에는 규조류인 .Aulacoseira granulata가 29 cells ${\cdot}\;mL^{-1}$우점종이였다. 특히 2000년 여름철에 우점종이였던 남조류가 2001년에는 출현하지 않았으며 종 다양성 (diversity)지수는 2000년 7월에 2.22로 가장 높았으며, 생물량도 조사기간중 36,640 cells ${\cdot}\;mL^{-1}$로 가장 많았다.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astal Upwelling on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Part of East Sea, Korea)

  • 김아람;윤석현;정미희;윤상철;문창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87-301
    • /
    • 2014
  • 냉수대 발생 전 후의 해양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및 크기를 파악을 위해 여름철 빈번하게 냉수대가 발생되는 동해 남부 해역(울산 정자~부산 일광) 18개 정점에서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냉수대 발생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조사하였다. 냉수대는 7월과 8월에 연안 정점(A1, B1, C1)에서 발생하였고, 표층에서 저온 고염의 특성을 보였다. 이 시기에 영양염은 수온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DIP, r=-0.218, p<0.01; DIN, r=-0.306, p<0.01; silicate, r=-0.274, p<0.01)를 보여, 찬 해수가 분포하는 표층에 영양염이 풍부함을 알 수 있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86종이었고, 현존량은 5월(C1, $726{\times}10^3cells\;L^{-1}$)과 7월(A1, $539{\times}10^3cells\;L^{-1}$)에 높았다. 또한, 연안 정점에서 총 chl. a 와 소형플랑크톤 chl. a ($&gt;20{\mu}m$)의 농도가 냉수대 발생 시기인 7, 8월에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수온약층이 형성된 6월에는 현저하게 낮았다. 6월의 우점종은 Pseudo-nitzschia spp.이었고, 그 세포 크기는 $309{\mu}m^3$로 다른 시기의 식물플랑크톤의 1/10 수준에 머무는 작은 크기였다. 이러한 결과는 7월과 8월에 총 chl. a의 증가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 증가가 냉수대 발생 시에 표층으로 공급된 영양염의 영향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해양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출현양상은 연안 정점에서 뚜렷하게 보였고, 외측 정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동해 남부 해역에서 냉수대가 발생하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증가와 더불어 비교적 크기가 큰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하계에도 불구하고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에 따른 영양염 공급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현존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팔당호 유입부 경안천의 섬모충 플랑크톤 계절적 분포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Ciliate in Kyungan Stream of Lake Paldang, Korea)

  • 문은영;김영옥;공동수;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11-18
    • /
    • 2008
  • 국내산 담수 섬모충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12월 6일까지 팔당호에서 표층수를 채집하였다. 출현한 분류군 중 소모류(Oligotrichs)가 53%로 출현 양이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개체수를 보인 봄인 3월 30일($1.9\times10^4$ cells $L^{-1}$)과 4월 6일($1.85\times10^4$ cells $L^{-1}$),여름인 6월 8일($1.7\times10^4$ cells $L^{-1}$)과 7월 20일($1.9\times10^4$ cells $L^{-1}$)에 급증하였다. 우점적으로 출현한 종들은 뚜렷한 계절성을 나타내어 겨울과 봄인 저수온기에는 세포크기가 비교적 큰$(>50{\mu}m)$ Stylonychia sp1, Phascolodon vorticella, Codonella cratera가 출현하였으며 여름과 가을인 고수온기에는 세포크기가 작은$(<30{\mu}m)$ Vorticella spp., Rimostrombidium hyalinum, Halteria grandinella가 출현하였다. 세포크기가 큰 종들은 Chl-${\alpha}$와 상관성을(r=0.33, p<0.05, n=39) 나타낸 반면, 소형종인 Halteria grandinella는 bacteria와 상관성을(r=0.35, p<0.05, n=39) 나타내었다.

방사선조사 인삼의 유전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enotoxicity of the Gamma-irradiated Panax Ginseng Radix In Vitro and In Vivo)

  • 하광원;정해관;오혜영;허옥순;손수정;한의식;정성철;최부영;김영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7-74
    • /
    • 1994
  •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comparative effects between non-irradiated, and 5kGy-10kGy of gamma-irradiated Panax Ginseng Radix powder on the genotoxicity for identification of possibility of DNA damage causing cancer. Four different short-term mutagenicity tests were used: (1)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mes test) (2) Chromosome aberration test in cultured Chinese hamster lung (CHL) fibroblast cells. (3) Micronucleus test in ddY mouse (4) Somatic mutation and recombination test in the wing cells of Drosophila melanogaster.Gamma-irradiated Panax Ginseng Radix powder revealed negative results in these four mutagenicity tests. This means gamma-irradiated ginseng could be safe on the genotoxic point of view.

  • PDF

HMC05의 배양 Chinese Hamster Lung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 (A Chromosome Aberration Test of HMC05 on Cultured Chinese Hamster Lung Cells)

  • 신흥묵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10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genetic toxicity of HMCO5 in relation to chromosome aberration test on Cultured Chinese Hamster Lung (CHL)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9 mix. Methods :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S-9mix (+S) or without S-9 mix (-S). -S group was also divided 2 series by treatment hours (6 hr: 6-S; or 24 hr; 24-S). Each group treated with vehicle only (complete culture medium), HMCO5 (1,250, 2,500, $5,000\;{\mu}g/ml$), and cyclophosphamide monohydrate (CPA) and ethylmethanesulfonate (EMS), respectively. Results : HMC05 did not show any aberrant metaphas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p < 0.01) aberrant metaphases with CPA in S+ and with EMS in 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MC05 formula does not show any toxicity in chromosome aberration test.

The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The Bleomycin and Cyclophosphamide Induced Cytotoxicity

  • Lim, Yo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5-78
    • /
    • 2014
  • Green tea and tea polyphenol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in recent years.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is widely recognized as a powerful antioxidant and a free radical scaveng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GTC) on the Bleomycin- and Cyclophosphamide-induced cytotoxicity.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GTC,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GTC. Furthermore, GTC showed the higher protective effect than EGCG and vitamin 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TC has the protective effect which i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ancer. Our studies show that the continuous presence of EGCG can reduce radical-induced DNA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s (CHL cells).

북극해 하계 남동 바렌츠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크기별 분포와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outheastern Barents Sea during August 2003)

  • 주형민;이진환;정경호;강재신;강성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265-276
    • /
    • 2005
  • In order to grasp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chlorophyll-a (Chl-a) and cell abundance were measured at 20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9 to August 21, 2003 in the southeastern Barents Sea on surface and subsurface chlorophyll maximum depth (SCM). Surface temperatures were varied from minimum $-0.7^{\circ}C(st. 18)$ to maximum $10.4^{\circ}C(st.1)$. Salinities were varied from minimum 29.9 psu(st. 18) to maximum 35.8 psu(st.2). The maximum nutrient(phosphate, nitrate, silicate) concentrations were $0.12{\mu}M,\;0.11{\mu}M,\;7.53{\mu}M$ and minimum concentrations were $0.01{\mu}M,\;0.03{\mu}M,\;1.43{\mu}M$, respectively. On SCM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were almost similar. Chl-a concentrations ranged from 0.23 to $2.13{\mu}g\;chi-a\;l^{-1}$ at SCM. Nano- and pico phytoplankton were the important contributors for increase of the Chl-a. It was about seven times difference between highest concentration to lowest.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omposed of diatoms, dinoflagellates, cryptophyceae, silicoflagellate, and prymnesiophyceae showing 37 taxa at surface and 38 taxa at SCM. Picophytoplankton was the most dominant in all stations and all layers, but the second groups were 2 and/or 3 taxa. Phytoplankton abundance ranged from minimum $4.3{\times}10^5\;cells\;l^{-1}$ (st. 20) to maximum $2.4{\times}10^6\;cells\;l^{\-1}$. (st. 17) at surface water. As a result, phytoplankton might be controll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North Atlantic ocean currents and northern melt water among environmental factors in Barents Set h addition the dominant species were nano- and pico phytoplankton such as Phaeocystis, Cryptomonas and Dinobryon in the study area.

대장균에서 4-nitroquinoline 1-oride의 변이원성에 대한 숙지황 물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작용특성 (Antimutagenic Mechanism of Water Extract from Rehmannia glutinosa Liboshitz on 4-nitroquinoline 1-oxide Induced Mutagenesis n E. coli B.r)

  • 안병용;한종현;최동성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486-492
    • /
    • 2001
  • 숙지황 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fraction(RG-III) 의 항돌연변이원성의 기작을 E. coli GW, B/r 균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OS 유도를 반영하는 $\beta$-galactiosidase 활성이 E. coli GW 1060, 1103, 1107, 1105에서 증가되지 않았다. RG-III는 RecA는 단백질의 합성을 증폭시키거나 LexA 산물의 분해를 저해하지 않았으므로 SOS en 기능의 발현이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DNA 수복의 경로가 다른 E. coli B.r 변이주를 사용하여 4NQO와 MNNG에 대한 세포내 항돌연변이원성과 생존효과를 조사하였다. ZA159(uvrB, 최)를 제외한 WP2, WP2s, WP67, CM561, CM611에서 RG-III는 4NQO에 대한 생존력을 미약하게나마 증가시켰으나, 이러한 생존력 재활성을 수복모드에 의해 설명할 수 없었다. WP2, WP2s, WP67, CM561, CM611에서 RG-III는 MNNG로 유도된 돌연변이원성과 치사력을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ZA159(uvr B, chl)에서는 감소시켰다. 4NQO의 변이원성을 두드러지게 억제하였으나 ZA159(uvr B, chl)에서 상승효과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RG-III가 4NQO의 변이원성을 방어하는 차단제임을 시시하여, chl 산물의 기능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