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B2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36초

Regulation of glucose and glutamine metabolism to overcome cisplatin resistance in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 So Mi Yang;Jueun Kim;Ji-Yeon Lee;Jung-Shin Lee;Ji Min Lee
    • BMB Reports
    • /
    • 제56권11호
    • /
    • pp.600-605
    • /
    • 2023
  •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CC) is a bile duct cancer and a rare malignant tumor with a poor prognosis owing to the lack of an early diagnosis and resistance to conventional chemotherapy. A combination of gemcitabine and cisplatin is the typically attempted first-line treatment approach.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of resistance to chemotherapy is poorly understood. We addressed this by studying dynamics in the human ICC SCK cell line. Here, we report that the regulation of glucose and glutamine metabolism was a key factor in overcoming cisplatin resistance in SCK cells. RNA sequencing analysis revealed a high enrichment cell cycle-related gene set score in cisplatin-resistant SCK (SCK-R) cells compared to parental SCK (SCK WT) cells. Cell cycle progression correlates with increased nutrient requirement and cancer proliferation or metastasis. Commonly, cancer cells are dependent upon glucose and glutamine availability for survival and proliferation. Indeed, we observe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GLUT (glucose transporter), ASCT2 (glutamine transporter), and cancer progression markers in SCK-R cells. Thus, we inhibited enhanced metabolic reprogramming in SCK-R cells through nutrient starvation. SCK-R cells were sensitized to cisplatin, especially under glucose starvation. Glutaminase-1 (GLS1), which is a mitochondrial enzyme involved in tumorigenesis and progression in cancer cells, was upregulated in SCK-R cells. Targeting GLS1 with the GLS1 inhibitor CB-839 (telaglenastat) effectively reduced the expression of cancer progression markers. Taken together, our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GLUT inhibition, which mimics glucose starvation, and GLS1 inhibition could be a therapeutic strategy to increase the chemosensitivity of ICC.

Phys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LA-carbon composites

  • Kang Z. Khor;Cheow K. Yeoh;Pei L. Teh;Thangarajan Mathanesh;Wee C. Wong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11-220
    • /
    • 2024
  •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PLA) is a biodegradable thermoplastic that can be produced from renewable material to create various components for industrial purposes. In 3D printing technology, PLA is used due to its good mechanical, electrical, printing propertie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non-toxic properties. However, the physical properties and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of PLA have limited its application. In this study, with the carbon black (CB) as filler added into PLA, the lattice spacing and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by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respectively. The physical properties of PLA-carbon composite were evaluated by using tensile test, shore D hardness test and density and voids measurement. Impedance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LA-Carbon composit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clusion of carbon black as filler enhanc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LA-carbon composites, including tensile properties, hardness, and density. The addition of carbon black also leads to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Better enhancement towar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LA-carbon composites is observed with 1wt% of carbon black in N774 grade. The N550 grade with 2wt% of carbon black shows better improvement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LA-carbon composites, achieving 10.686 MPa in tensile testing, 43.330 in shore D hardness test, and a density of 1.200 g/cm3 in density measure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PLA-carbon composites have the potential for enhanced performance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particularly in sectors requiring improved phys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석탄광산 작업장의 비점오염부하 유출특성 (NPS Pollution Loads from Coal Mining in Korea)

  • 신민환;최용훈;김기철;서지연;임경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79-784
    • /
    • 2008
  •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토지피복 중분류별 비점오염부하원단위를 산정하기 위한 사업 중 나지로 분류되는 채광지역의 비점오염부하를 측정하였다. 비점오염부하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의 도계 작업장(석탄)과 태백시 장성동의 태백 저탄소 등 2곳의 채광지역에서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 2회의 강우유출사상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2회 강우사상 동안 총강수량은 도계 작업장에서 149 mm이었으며 태백 저탄소에서 201 mm이었다. 유출량은 수위계와 유량계로 5분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수질시료는 자동채수기로 2시간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수질시료는 환경부의 공정시험법에 따라 SS, BOD, CODcr, T-N, T-P, 그리고 TOC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부의 시료에 대해서는 Zn, Cb, Cu, 그리고 Pb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도계 작업장의 유량가중평균농도는 갱내수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계작업장의 일평균유량가중평균농도는 SS $86.3{\sim}94.9\;mg/{\ell}$, BOD $3.8{\sim}7.6\;mg/{\ell}$, COD $26.9{\sim}51.6\;mg/{\ell}$, T-N $1.5{\sim}2.1\;mg/{\ell}$, T-P $0.2\;mg/{\ell}$ 그리고 TOC $1.8{\sim}2.3\;mg/{\ell}$로 나타났다. 태백 저탄소의 일평균유량가중평균농도는 SS $16.5{\sim}66.6\;mg/{\ell}$, BOD $7.4{\sim}9.8\;mg/{\ell}$, COD $41.1{\sim}66.7\;mg/{\ell}$, T-N $0.7{\sim}1.1\;mg/{\ell}$, T-P $0.2\;mg/{\ell}$ 그리고 TOC $1.7{\sim}2.6\;mg/{\ell}$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농도는 모든 시료에서 환경부의 배출허용기준농도보다 낮게 나타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도계 작업장의 일오염부하는 SS $1,368.8{\sim}1,984.1\;kg/day$, BOD $56.6{\sim}128.9\;kg/day$, COD $385.7{\sim}933.7\;kg/day$, T-N $23.4{\sim}44.5\;kg/day$, T-P $2.1{\sim}4.8\;kg/day$ 그리고 TOC $24.3{\sim}39.3\;kg/day$이었다. 태백 저탄소의 일오염부하는 SS $8.2{\sim}162.1\;kg/day$, BOD $2.6{\sim}15.3\;kg/day$, COD $13.8{\sim}83.6\;kg/day$, T-N $0.2{\sim}3.1\;kg/day$, T-P $0.1{\sim}0.6\;kg/day$ 그리고 TOC $0.7{\sim}4.4\;kg/day$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회의 강우유출사상에 대하여 측정한 자료이므로 연평균농도나 연평균오염부하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석탄광산지역의 비점오염부하를 이해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적인 연구자료로 활용하여 석탄광산지역의 비점오염원단위의 산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상악동 측벽의 형태학적 분석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Sinus Lateral Wall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안서영;김용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349-357
    • /
    • 2012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콘빔형 전산화단층촬영술(cone-beam computed tomography)을 이용하여 상악동 측벽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측벽창(lateral wall window)형성 시 가장 적절한 수직적 위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2010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53명(남 : 36명, 여 : 17명, 평균나이 : 51.5세)의 상악동거상술 예정 환자의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악동 측벽의 두께는 상악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부위에서 상악동 하연을 포함하여 상악동 하연을 기준으로 수직적으로 1 mm 간격으로 6 mm 까지 측정하였고, 2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상악동 측벽의 두께는 상악동 하연(Sinus Inferior Border, SIB)을 기준으로 상방 2 mm (SIB+2)까지는 2 mm 이상으로 관찰되었고, 상악동의 하연을 기준으로 3 mm 상방 (SIB+3)에서는 2 m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상악동 하연을 기준으로 4 mm 상방에서는 두께가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측방 접근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에서 측벽창의 하방 위치는 상악동 측벽의 두께를 고려할 때 상악동의 하연을 기준으로 약 3 mm 상방에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ceae) Growth by Plants in vitro)

  • 정원화;변명섭;전선옥;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136-144
    • /
    • 2000
  • 팔당호 주변에서 자생하는 식물체를 이용하여 실험실 내에서 배양된 남조류에 투여하여 조류증식 억제 효율을 조사하였다. 조류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 육상식물을 이용하는 경우 조류 밀도가 10$^{4}$ cells/ml 범위에서의 0.5g/l 투여량은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던 반면, 2.5 g/l 투여량에서는 95%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조류 밀도가 10$^{6}$ cells/ml 범위에서의 육상식물 투여량은 2.5 g/l 이상이 필요했다. 조류성장 억제에 육상식물은 잣잎, 수생식물은 애기마름이 큰 효과를 보였다. 애기마름 투여조는 조류 밀도가 10$^{6}$ cells/ml 범위에서도 2.5 g/l 투여량으로 50%의 억제 효율이 나타났다. 식물을 이용한 조류 증식 억제 효과는 식물 투여 후 7일째 후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습체, 건체, 추출물 비교시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육상식물 투여조의 경우 1.25 g/l 투여량에 비해 2.5 g/l 투여량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고, 애기마름은 1.25 g/l 투여량에서도 99%의 효과를 보였다. 건체식물은 습체식물에 비해 초기에도 높은 효과를 보였다. 조류의 비증식속도로 보았을 때도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가장 효과가 좋았고 다음으로 건체, 습체식물 투여순으로 조류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활성탄섬유를 이용한 확산포집기의 공기 중 유기용제 포집효율에 관한 연구 (The Sampling Efficienci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to the Diffusive Monitor with Activated Carbon Fiber)

  • 변상훈;박천재;오세민;이창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7-201
    • /
    • 1996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diffusive monitor using activated carbon fiber(ACF, KF-1500) in measuring airborne organic solv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studied as critical to the performance of diffusive monitor; recovery, sampling rate, face velocity, reverse diffusion and storage stability.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is monitor, MIBK, PCE, toluene were used as organic solvents. In the sampling rate experiments, eight kinds of solvents (n-hexane, MEK, DIBK, MCF, TCE, CB, xylene, cumene) as well as the above solvent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sorption efficiencies(DE's) of ACF diffusive monitor ranged from 83 % to 101 %. In contrast, those of coconut shell charcoal ranged from 78 % to 102 %. Especially, the DE's of ACF for the polar solvents such as MEK were superior to those of charcoal. 2. Experimental sampling rates on ACF were average 42ml/min(37-46ml/min) for 11 organic solvents at $24{\pm}2^{\circ}C$, $50{\pm}5%RH$. However ideal sampling rates(DA/L) were 33 % higher than experimental sampling rates. 3. The initial response(15~16 min) of the testing monitor was 2 times higher than the actual concentration determined by the reference methods at $24{\pm}2^{\circ}C$, $8{\pm}5%RH$ and $80{\pm}5%RH$. Within 1 hours, the curve reached a linear horizontal line at low humidity condition. But sampling efficiencies decreased with respect to time at high humidity condition. And sampling efficiencies were higher at high humidity condition than low humidity condition for MIBK. 4. At very low velocity (less than 0.02 m/sec), the concentration of ACF diffusive monitor were poorly estimated. But ACF diffusive monitor were not affected at higher velocity(0.2 m/sec-0.6 m/sec). 5. There was no significant reverse diffusion when the ACF monitors were exposed to clean air for 2 hours after being exposed for 2 hours at the level of 1 TLV. 6. There was no significant sample loss during 3 weeks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5 weeks of storage at refrigeration.

  • PDF

마늘의 지방질(脂肪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에 관한 연구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innaeus))

  • 양규열;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8-393
    • /
    • 1982
  • 우리나라에서 재배 수확한 6쪽 및 여러쪽 마늘을 클로로포름-메탄올-물(1.0 : 2.0 : 0.8)의 용매로 추출한 지방질의 조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료 마늘중의 총지방질의 함량은 신선물 100g 중 $310{\sim}342mg$였으며, 이중 중성지질은 $36.4{\sim}43.5%$, 당지질은 $20.3{\sim}24.3%$, 인지질은 $36.2{\sim}39.3%$이였다. 2. 중성지질중에는 TG가 가장 함량이 많았고(중성지질의 $80.5{\sim}83.6%$), 그 외에 SE, FS, FFA와 잠정적으로 동정한 1,3-DGA, 1,2-DGA, C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3. 당지질중에는 ESG와 SG가 전체 당지질의 70%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DGDG, MGDG, CB, SL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C와 PS 및 PE가 전체 인지질의 85%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PI, P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5. 총지방질 및 각 지방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다같이 리놀레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렌산이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은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보다 리놀레산의 함량이 적고, 중성지질 획분보다 팔미트산의 함량이 많으며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은 당지질 획분보다 리놀렌산의 함량이 적었다.

  • PDF

담수패류(Unio douglasiae)와 침수식물(Potamogeton crispus)의 유해 남조 Oscillatoria sp. 성장억제 효과 (Effect of a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and a Submerged Plant (Potamogeton crispu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a Cyanobacterium Oscillatoria sp.)

  • 김건희;김백호;박명환;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68-76
    • /
    • 2008
  • 여과섭식성 이매패류인 말조개와 침수식물인 말즘이 남조류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 enclosure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은 대형수조$(50cm{\times}65cm{\times}120cm)$에 남조대발생 수역의 퇴적물과 인공배지 (CB media)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남조대발생을 유도하고, 바닥 층으로 물과 유기물의 이동이 가능한 투명한 아크릴 소형원통(7L 용량)을 대조군 (3)과 처리구 (9)로 총 12개를 설치하였다. 처리구는 말즘처리구, 말조개처리구, 말조개와 말즘의 혼합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은 총 7일간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수질요인들과 엽록소-${\alpha}$ 및 남조류 밀도는 실험기간동안 24시간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총인과 총질소 농도, 말조개와 말즘의 길이와 무게는 실험 시작 시와 종료 시에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말조개와 말즘의 남조류 성장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그 억제의 정도는 말조개, 말즘, 혼합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각 생물의 개별 처리구에 비해 말조개+말즘 혼합처리구에서의 억제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말즘 및 말즘+말조개 처리구에서 pH와 DO는 실험개시 후 각각 120, 144시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 7일 후 총인은 말조개 처리구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인 반면 총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조개와 말즘이 각각 남조류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두 생물간의 간섭효과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혼합 처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실험설계를 수반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 이상훈;황인국;노진우;장영득;이철희;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24-831
    • /
    • 2009
  •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sim}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sim}6.75$, $1.95{\sim}1.99$$4.37{\sim}4.55\;mg/g$ 범위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sim}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분포 및 항생제 내성유형 (Serological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ntibiotic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from Patients with Diarrhea)

  • 차인호;진성현;박은희;박성아;조현철;이영숙;정석훈;이영길;이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2-272
    • /
    • 2000
  • 설사환자에 대한 기초 역학자료의 일환으로 부산지역의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분 포와 항생제 내성유형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부산시 관내의 설사환자 1,239명의 분변으로부터 대장균을 분리한 결과 1,239명중 621명의 환자분변으로부터 721주의 대장균을 분리 동정 하였다. 2. 설사 환자의 월별 발생 분포는 8월에 131명으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나타낸 반면, 1월에 59 명으로 가장 낮은 발생율을 보였다. 그러나 1월에 발생한 설사환자를 제외하고는 계절에 크게 관계없이 연중 지속적으로 고른 발생 분포를 나타내었다. 연령별 발생분포는 1세 이하의 유아와 10세 이하의 어 린이가 633명으로 전체 설사환자의 50% 이상을 나타내었고, 50대의 경우 123명, 40대의 경우 114명, 60 대의 경우 99명, 30대의 경우 79명, 10대의 경우 74명, 20대의 경우 63명의 순으로 높은 발생율을 나타 내었으며 70세 이상의 노인들은 54명으로 가장 갖은 발생율을 보였다. 3. 혈청형별 분포는 혈청형 O44 가 121주(16.8%)로서 가장 높은 분포도를 나타내었으며, O153 (8.6%), O1(7.5%), 등에는 분리균 모두 내 성을 나타내었다. 공시약제에 대한 분리주의 내성유형은 14제 내성형(26.1%), 13제 내성형(22.3%), 12제 내성형(17.3%), 11제 내성형(14.8%), 10제 내성형(8.5%), 9제 내성형(6.0%) 등의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 였으며, 본 실험에 공시된 16종의 항생제에 대한 설사환자유래 대장균의 내성유형은 총 125종류로 분류 되었다. 특히 Am Cb Cl Co Cp Em Gm Mx Nb Pg St Tb Tc Tm 의 14제 내성형이 전체 분리균주의 24.3%로 가장 높은 내성유형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