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B2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33초

4-Chlorobiphenyl 분해 세균에서 cbp 유전자군의 상이성 (Divergence of the cbp Genes in 4-Chlorobiphenyl Catabolizing Bacteria)

  • 윤덕중;한재진;김치경;김영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3-59
    • /
    • 1992
  • 자연계로부터 4-chlorobiphenyl (4CB) 을 분해하는 P08, P20, 027 그리고 P1242 균주를 불리하였다. 이들 분해 균주들의 4CB 분해 과정을 UV-spectrophotometry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4-CB 로 부터 2-hydroxy-6-oxo-6-(4'-chlorophenyl)hexa-2, 4-dienoic acid 와 4-chlorobenzoate(4CBA) 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분해균주들은 공통적으로 meta-cleavage pathway에 의하여 4CB 를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DJ-12, P08 그리고 P27 균주는 4CBA 를 계속 분해하여 4-hydroxybenzoate 를 생성하였으나, P20 과 P1242 균주들은 4CBA 를 더이상 분해하지 못 하였다. 각 분해 균주에서 cbp 유전자군의 상동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P. pseudoalcaligenes KF707 의 bphABC 유전자군을 DNA probe 로 이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 을 실시한 결과, DJ-12, P08 그리고 P27 균주들은 XhoI 에 의한 2.2kb 와 1.8 kb, 그리고 EcoRI 에 의한 11 kb 의 genomic DNA 의 절편에서 hybridization 이 일어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4CB 분해 균주들의 cbp 유전자군은 분해경로 및 bph 유전자군과의 상동성에 의거하여 부 group 으로 구분되었다.

  • PDF

유색보리 육성계통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eding Lines of Colored Barleys)

  • 최재성;박수진;정용면;김정곤;원미희;강명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25-132
    • /
    • 2006
  • 계통이 다른 유색보리 40종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색보리, 춘추쌀보리와 올보리의 수분 함량은 No. 24가 7.4%로 가장 낮았고 No. 9가 10.8%로 가장 높았다. 또한 조단백질은 $9.7{\sim}12.8%$의 범위를 보였으며, 올보리의 단백질 함량과 유사한 범위였다. 조지방 함량은 No. 6이 4.35%로 가장 높았고, No, 34가 가장 낮은 1.35%를 나타내었다. 조회분 함량은 1.20%로 No. 31이 가장 낮았고, 2.35%로 춘추쌀보리가 가장 높았다. Ca 함량은 No. 10이 717.50 mg%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보리가 442.82mg%로 가장 낮았다. Mg 함량은 1320.00 mg%로 No. 1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903.30 mg%로 No. 28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Cu 함량은 No. 20의 경우 2.20 mg%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No. 33의 경우는 6.25 m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 함량은 No. 20의 경우 723.24 m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No. 1은 1002.50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n 함량은 31.72 mg%로 No. 28이 가장 낮은 값을, 94,56 mg%로 일반보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beta}-glucan$ 함량은 No. 25가 5.20%로 가장 낮았고, No. 28이 14.46%로 가장 높았다. 또한 올보리는 6.26%나 유색보리가 올보리에 비해 {$\beta}-glucan$이 2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유색보리는 일반보리에 비교해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의 조성에 우수할 뿐 아니라 기능성 성분인 ${\beta}-gluca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에서 균(菌)의 생육(生育)은 5일(日)까지, 구연산생성(酸生成)은 6일(日)까지 계속(繼續) 증가(增加)하였으며 6일(日) 배양시(培養時) 대당(對糖) 46%의 구연산(酸)을 얻었다. 전통의식(傳統意識)에서 탈피(脫皮)치 못하고 미신(迷信)에 젖어 있으며, 백미편식경향(白米偏食傾向)이 짙고 연중(年中) 혼분식(混粉食)을 계속(繼續)하지 못하고 아쉬움이 간절하다. 이런 점(點)이 하루빨리 시정(是定)될때 우리는 건강(健康)과 지능(知能)이 향상(向上)을 초래(招來)하고 소득증대(所得增大)를 도모(圖謀)하며, 자조자립(自助自立)할 수 있는 국민생활(國民生活)로 변모(變貌)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11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증자시(蒸煮時)에 일부(一部) 휘발감소(揮發減少)를 보였으나 건조중(乾燥中)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다. 6.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pyruvic acid, glutaric acid 등(等) 6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은 건조중(乾燥中) 감소(減少)되어 홍삼구(紅蔘區)들이 함량(含量)이 적으나 succinic acid만은 증가(增加)하였다. 7. Polyphenol 류(類)로 3-caffeyl quinic acid, 4-caffeyl quinic acid, 5-caffeyl quinic acid의 3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polyphenol은 건조중(乾燥中)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으며 특(特)히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에서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다. 8. 홍삼(紅蔘)들의 갈색도(褐色度)는 갈변촉진구(褐變促進區)가 가장 짙고 다

왕벚나무 잎으로 제조된 바이오차의 Pb(II) 흡착특성 (Adsorption of Pb(II) by Cherry (Prunus x yedoensis) Leaf-Derived Biochar)

  • 이명은;황규택;김선영;정재우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2호
    • /
    • pp.33-41
    • /
    • 2018
  • 매년 가로수로부터 많은 양의 낙엽이 발생하고 이는 적절하게 수거하여 처리해야 한다. 왕벚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인 가로수이다. 왕벚나무 잎(CL)과 그것으로부터 제조된 바이오차(CB)의 Pb(II) 흡착특성에 관한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이오차는 $800^{\circ}C$에서 90분간 탄화시켜 제조하였다. 흡착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동력학적 및 등온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탄화과정은 바이오차의 탄소함량과 pH 값을 증가시키고 수소와 산소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잘 발달된 공극 구조가 바이오차의 표면에 관찰되었다. CL과 CB에 의한 Pb(II) 흡착은 2차 속도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흡착반응의 속도가 물리적 흡착보다는 화학적 흡착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CB는 CL에 비해 더 빠른 흡착반응과 높은 흡착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b(II)의 등온흡착 특성은 Langmuir 모델에 의해 보다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angmuir 상수, $Q^0$에 의해 설명되는 최대흡착용량은 CL이 37.31 mg/g, CB가 94.34 mg/g으로 나타났다.

유독성 4-Chlorobiphenyl의 생분해를 위한 탈염소화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Dechlorination Genes Specifying Biodegradation of Toxic 4-Chlorobiphenyl)

  • 김치경;채종찬;한재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6-131
    • /
    • 1994
  • 4-Chlorobiphebyl(4CB)를 분해한 Pseudomonas sp. DJ-12가 가지고 있는 pcbABCD 유전자를 Escherichia coli에 클로닝한 결과, 재조합 균주인 E. coli CU1과 CU101은 모두 Pseudomonas sp. DJ-12에서와 같이 4CB를 분해하여 2,3-dihydrozybiphenyl(2,3-DHBP)을 생성하는 탈염소화 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pcbAB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인 pCU101을 가지고 있는 E. coli CU101은 Pserudomonas sp. DJ-12에서와 같이 4CB로부터 4-chlorobenzoic acid를 생성하지 않고 2, 3-DHBP만을 생성하는 탈염소화 기능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Pseudomonas sp. DJ-12의 염색체 DNA로부터 클로닝한 약 2.2kb의 pcbAB 유전자는 4CB로부터 2,3-DHBP만을 생성하는 탈염소화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감귤저장병 병원균 Penicillium digitatum 방제를 위한 길항 내생세균 Bacillus velezensis CB3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agonistic Endophytic Bacterium Bacillus velezensis CB3 the Control of Citrus Green Mold Pathogen Penicillium digitatum)

  • 이지현;서문원;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8-123
    • /
    • 2012
  • 대표적인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방제용 생물농약을 개발하고자 제주도내 7개 과수원으로부터 채집된 citrus 잎에서 21균주의 내생세균을 분리하였다. 그 중 5개의 세균이 녹색곰팡이병균 P. digitatum에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대치배양에서 가장 강력한 항균활성을 보인 CB3 균주가 선발되었다. CB3 균주는 간상형의 그람 양성세균으로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gyr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Bacillus velezensis로 동정되었다. CB3 균주는 감귤 저장병 병원균 Penicillium digitatum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times}10^5$ spores/ml에 이르는 고농도의 P. digitatum을 감귤에 상처접종했을 때에도, $1{\times}10^8$ cfu/ml의 CB3에 의한 방제효과는 66.7%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Bacillus velezensis CB3의 안정성과 강한 방제활성 등을 고려할 때 유용 친환경적 방제제로서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7-Diarylpyrazolo[1,5-α]pyrimidines의 개선된 One-pot Regioselective 합성과 CB1R 활성 (Improved One-pot Regioselective Synthesis of 3,7-Diarylpyrazolo[1,5-α]pyrimidines and Their CB1R Activity)

  • 홍용덕;변경희;박미영;박준성;신송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3-150
    • /
    • 2015
  • 본 연구는 3,7-diarylpyrazolo [1,5-${\alpha}$]pyrimidines의 효과적인 one-pot regioselective 합성을 보여준다. 더욱이, 그 유도체는 뛰어난 CB1R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3,7-position에 diaryl group이 치환된 pyrazolo [1,5-${\alpha}$]pyrimidine은 CB1R 후보로서 가능성 있는 pharmacophore이다.

Triazine Thiol 유도체(誘導體)에 의한 1-Chlorobutadiene-Butadiene Copolymer의 안정화효과(安定化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Effects of 1-Chlorobutadiene-Butadiene Copolymer by Triazine Thiol Derivative)

  • 유종선;산하진삼;백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2권2호
    • /
    • pp.109-120
    • /
    • 1987
  • In this study, as one of the developing ways of the functional elastomer,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ity of CB-BR was attemped through stabilization. At first the stabilization effect of CB-BR and the concentration dependancy in CB-BR were determined. Then, triazine thiol derivative(BPTT) was synthesized by reacting p-aminodiphenylamine with cyanuric chloride. Further the functional mechanism and the effects of the antioxidants were investigated using BPTT together with other various antioxidants in liquid and solid stat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aging of CB-BR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us, at a low temperature of $50^{\circ}C$, the aging proceeded with gel formation; at high temperature above $100^{\circ}C$ and in above 4wt% concentration, the aging occured by the formation of gel. And in concentrations below that, the aging proceeds with a decomposition caused by oxygen attacked to elastomer molecules. 2) The effect of antioxidation of CB-BR in the liquid state was at it's best when the MBIZ and BPTT were used at $110^{\circ}C$, 4hrs after the oxidation. 3) The effect of antioxidation of CB-BR in the solid state was the best choice the simultaneous use of NDBC and BPTT at $50^{\circ}C$, 30days after the oxidation.

  • PDF

Transcranial Doppler를 利用한 腦硬塞 患者의 血流速度와 血管 反應性에 대한 臨床的 考察 (Clinical study of the vasocreactivity and blood flow velocity of t he cerebral infarctions using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

  • 안탁원;김병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00-318
    • /
    • 1998
  • Background : The vasoreactivity of cerebral artery is currently the subject of increasing interest. Transcranial Doppler Sonography(TCD) is an accurate method of monitoring the blood flow velocities of the cerebral artery. We wished to assess the vasoreactivity between age-matched normal and cerebral infarction group. Method : We performed TCD findings in 40 normals and 20 cb-inf. subjects who arrived at hospital during 48 hours after attack. The former were devided into twenties normal group and fifties normal group. Result : 1. Fibrinogen levels showed significant changes between age-matched normal and cb-inf. group. 2. $V^{MEAN}$ of the both side Carotid Siphon during rest sta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b-inf. group as compared with the age-matched normal group. 3. $V^{MEAN}and\;V^{MAX}$ of the both side carotid siphon during breath-hold sta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b-inf. group as compared with the age-matched normal group. 4. Vasoreactivity of cerebral artery increased significantly in cb-inf. group as compared with the age-matched normal group. 5. $V^{MEAN}and\;V^{MAX}$ of the both side Radial artery during heat-stimuration sta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b-inf. group as compared with the age-matched normal group. 6. Vasoreactivity of Radial artery increased significantly in cb-inf. group as compared with the age-matched normal group.

  • PDF

Leuconostoc mesenteroides B-742CB와 B-512FMCM Dextransucrase의 수용체 반응을 이용한 고분지 Isomaltodextrin의 생산 (Sythesis of Highly Branched Isomaltodextrin by Acceptor Reaction using Dextransucrases from L. mesenteroides B-742CB and B-512FMCM)

  • 김문수;이선옥;류화자;강희경;유선균;장석상;김도원;김도만;김성혁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200-206
    • /
    • 2001
  • In this study we tried to optimize the enzyme reaction conditions for the synthesis of highly branched isomaltodextrin (Mw > 2.5 kDa) using two dextransucrases from L. mesenteroides B-742CB and B-512FMCM that are dextransucrase constitutive mutants. As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or the ratio of maltose to sucrose increased, the amount of dextran decreased and the number and the amount of acceptor-products (of sucrose or maltose) increased. With high sucrose concentration (over 34%), there was more branched isomaltodextrin (as acceptor products) than dextran. When the ratio of sucrose to maltose was 2.5, there produced 86.7% of isomaltodextrin were produced. The Mw of dextrans, however, was over 2${\times}$10(sup)6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amounts of branched clinical dextran or high molecular weight oligosaccharides. With the combined activities of B-742CB dextransucrase and B-512FMCM dextransucrase we could synthesize high molecular weight branched isomaltodextrin (Mw>2.5 kDa). The high molecular weight dextran was composed of high branches as B-742CB dextr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