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 application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5초

Preliminary clinic study on computer assisted mandibular reconstruction: the positive role of surgical navigation technique

  • Huang, Jin-Wei;Shan, Xiao-Feng;Lu, Xu-Guang;Cai, Zhi-Ga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20.1-20.7
    • /
    • 2015
  • Background: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outcomes of computer-assisted techniques in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a fibula flap and verify whether the surgical navigation system was feasible in mandible reconstructive surgery. Methods: Eight cases were enrolled in the computer assisted surgery (CAS) group and 14 cases in the traditional group. The shaping and fixation of the fibula grafts were guided by computer assisted techniques, which could be monitored with the BrainLAB surgical navigation system. The variation of mandible configuration was evaluated by CT measurement in the Mimics software, including the variation of length, width, height and gonial angle of the mandible. The 3D facial soft tissue alteration was also analyzed in 3D chromatogram by Geomagic software. Results: All 22 fibula flaps survived. The mandibular configurations and facial contours had a better clinic result in the CAS group. The length, width, height and gonial angle of the reconstructive mandible were more similar to the original one. The Wilcoxon rank sum test analysis sugges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The chromatographic analysis also visually showed superiority over the traditional group. Conclusions: The computer assisted surgical navigation method used in mandibular reconstruction is feasible and precise for clinical application. The contour of the reconstructed mandible and facial symmetry are improved with computer techniques.

해쉬 트리 기반의 효율적인 IPTV 소스 인증 프로토콜 (Efficient Source Authentication Protocol for IPTV Based on Hash Tree Scheme)

  • 신기은;최형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1호
    • /
    • pp.21-26
    • /
    • 2009
  • 최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하여 IPTV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PTV는 트리플 플레이(음성, 인터넷, 비디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며, IP 컨버젼스 네트워크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 주목 받고 있다. IPTV는 서비스 공급자의 이익을 위하여 수신자 접근 제어 수단으로 CAS를 이용한다. 현재 CAS는 수신자 인증을 통하여 접근 제어를 제공하지만,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해서는 어떠한 인증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공격자가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를 조작하여 해로운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해쉬 트리 스킴에 기반하여 현재 IPTV 시스템의 취약점을 제거하는 효율적이고 강력한 소스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IPTV의 요구사항 관점에서 제안한 프로토콜을 평가한다.

농림위성 활용을 위한 산불 피해지 분류 딥러닝 알고리즘 평가 (Deep Learning-based Forest Fire Classification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CAS500-4)

  • 차성은;원명수;장근창;김경민;김원국;백승일;임중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273-1283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중대형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매년 인명 및 재산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원격탐사를 활용한 산불 피해지 모니터링 기법은 신속한 정보와 대규모 피해지의 객관적인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피해지를 분류하기 위해 Sentinel-2의 분광대역,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정규수역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를 활용하여 2022년 3월 발생한 강릉·동해 산불 피해지를 대상으로 U-net 기반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딥러닝 모형을 모의하였다. 산불 피해지 분류 결과 강릉·동해 산불 피해지의 경우 97.3% (f1=0.486, IoU=0.946)로 분류 정확도가 높았으나, 과적합(overfitting)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울진·삼척 지역으로 동일한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보고한 산불 피해 면적과의 중첩도가 74.4%로 확인되어 모형의 불확도를 고려하더라도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농림위성과 유사한 분광대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으며, Sentinel-2 영상을 활용한 산불 피해지 분류가 정량적으로 가능함을 시사한다.

Maple을 활용한 미분방정식 학습 (Learning of Differential Equations using Maple)

  • 하준홍;심재동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8-43
    • /
    • 2009
  • 미분방정식의 학습에서 최대의 장애요소는 "풀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과 "미분방정식의 해를 수작업으로 시각화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애요소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교과목의 목표인 "미분방정식의 이해와 활용"을 달성하기 곤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애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편으로 Maple의 활용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하고, 또한 Maple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단계별 Maple 실행코드를 소개한다.

  • PDF

Fluorescent siderophore 생산균주, TS3-7에 의한 풋마름병 발병 억제 (Suppression of Bacterial Wilt with Fuorescent Pseudomonads, TS3-7 strain)

  • 김지태;조홍범;김신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96-300
    • /
    • 2005
  • Among the root colonizing and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isolated from the bacterial wilt suppressive soil, five strains were detected to produce siderophores by CAS agar assay. The most effective isolate, TS3-7 strain induced significant suppression of bacterial wilt disease in tomato and pepper plants. Seed treatment followed by soil drench application with this strain resulted in over 80% reduction of bacterial wilt dis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Significant disease suppression by TS3-7 strain wa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siderophore. Besides iron competition, induction of resistance of the host plant with siderophore was suggested to be another mode of action that suppress bacterial wilt, based on the lack of direct antibiosis against pathogen in vitro. According to Bergey's Manual of Systemic Bacteriology and 16S rDNA sequence data, TS3-7 st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TS3-7.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공정관리 적용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cheduling & Planning for Nuclear R &D Projects : Cas of LMR Project)

  • 한도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8-128
    • /
    • 1999
  •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efficient method for managing the Nuclear R&D projec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ology and experiences to develop a well-balanced plan and mon-itoring for the R&D project are not yet well established when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con-structionand engineering projects.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R&D project manager utilize the scheduling techniques to establish an integral management system taking in to account the un-certainties in the research environment. Based upon the results of a case study for the Liquid Metal Reactor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led by the KAERI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it is possible to run the national nuclear R&D projects with the Scheduling & Planning.

  • PDF

수축 보상 모르타르의 현장 적용 연구 (An Application of Shrinkage Compensation Mortar in Construction Field)

  • 김기동;정성철;송명신;이경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10
    • /
    • 2000
  • In this study, we compared a plain mortar with the CAS-system shrinkage compensation mortar for Ondol that is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The Ondol mortar is necessary to have properties as non-crack, fine flatness and stability for thermal changes. especially, mortar'crack prevention is to be most important property in Ondol mortar. To develope the stable material on the crack-prevention, we used to calcium-sulfo-aluminate(CSA)system in shrinkage compensation mortar. And so, we confirmed the effects of calcium-sulfo-aluminate(CSA) system for mortar'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and expansion ratio for crack prevention. The initial and final setting time of the CSA mortar is faster than plain mortar about 2hours. An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bout 20% that plain mortar. The crack length per unit area, plain mortar is 0.426∼0.481m/m2. The Results of apartment construction field test, the shrinkage compensation mortar is excellent about the crack-reduce effect.

유전자 교정 기술의 생의학적 응용 (Biomedical Application of Gene Editing)

  • 박주찬;장현기
    • 산업기술연구
    • /
    • 제42권1호
    • /
    • pp.29-36
    • /
    • 2022
  • The CRISPR system has revolutionized gene editing field. Cas9-mediated gene editing such as Indel induction or HDR enable targeted gene disruption or precise correction of mutation. Moreover, CRISPR-based new editing tool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base editors. In this review, we focus on gene editing in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which is principal technique for gene correction therapy and disease modeling. Pluripotent stem cell-specific drug YM155 enabled selection of target gene-edited pluripotent stem cells. Also, we discussed base editing for treatment of congenital retina disease. Adenine base editor delivery as RNP form provide an approach for genetic disease treatment with safe and precise in vivo gene correction.

국토위성정보 활용기술 및 운영시스템 개발: 성과 및 의의 (CAS 500-1/2 Image Utilization Technology and System Development: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 윤성주;손종환;박형준;서정훈;이유진;반승환;최재승;김병국;이현직;이규성;권기억;이계동;정형섭;정윤재;최현;구대성;최명진;신윤수;최재완;어양담;정종철;한유경;오재홍;이수암;장은미;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2호
    • /
    • pp.867-879
    • /
    • 2020
  • 본격적인 우주기술 활용시대가 전망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고해상도 영상취득이 가능한 국토관측위성의 발사가 2021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국토관측위성의 지상국의 핵심설계요소로 영상사용자의 위성영상 활용성과 작업자의 처리효율성 증대가 강조되어 왔다. 이에 대응하여, 국토관측위성의 수집, 처리, 저장, 관리 및 활용을 위한 핵심기술과 국토관측위성 지상국의 운영시스템을 개발하는 국토관측위성 수집 및 활용기술개발 연구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로 개발된 국토관측위성 활용핵심기술과 지상국 운영시스템 개발결과를 소개한다. 개발된 지상국 운영시스템은 한반도 전역의 GCP(Ground Control Point) chip DB(Database)와 DEM(Digital Elevation Model) DB를 시스템 내에 구축하여 자동화된 방식으로 정밀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기술 및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나아가 생성된 정밀정사영상을 1:5,000 도엽단위로 분할한 도엽정사영상을 생산하여 향후 분석준비자료 (ARD(Analysis Ready Data)) 체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정밀정사영상 및 도엽정사영상으로부터 DSM(Digital Surface Model)자료, 변화탐지지도, 객체추출지도 등 다양한 활용산출물이 체계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활용산출물 생산 SW를 지상국 운영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진이 개발한 국토위성정보 활용기술 및 운영시스템은 국내 최초로 한반도 GCP chip DB구축을 통해서 자동화된 정밀정사영상생성 기술을 확보하고 다양한 활용산출물의 생산을 위성지상국 운영시스템에 접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개발된 국토위성정보 운영시스템은 국토관측위성의 주 활용부처인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위성정보활용센터에 설치되었으며, 향후 동 센터의 업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또한, 향후 발사예정인 여러 저궤도 지구관측위성의 지상국 시스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에어볼 발파공법에 의한 진동 및 폭음 계측연구 (A Case Study of Air Ball Blasting Method)

  • 이신;김상욱;강대우
    • 화약ㆍ발파
    • /
    • 제23권2호
    • /
    • pp.15-21
    • /
    • 2005
  • 발파로 인한 환경적 문제는 주로 진동과 폭음에 대한 영향이나, 발파로 인한 파쇄도 및 경제성에 관해서도 효율적인 발파공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진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air decking을 이용하는 발파방법이다. 이미 선진국의 발파현장에서는 air decking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발파방법으로 VARI-STEM, GAS-BAG, POWER DECK등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에서 Air ball 제품을 이용한 발파공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국내 현장적용과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파진동의 경우에는 약 $30\~40\%$ 정도의 감쇄효과가 나타났고, 화약량의 경우 $20\~25\%$정도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폭음의 경우에도 Air ball을 이용한 발파가 효과적이었으나 분석결과의 결정계수가 낮아 이는 더 많은 실험을 통하여 다시 분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