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5G7

검색결과 6,113건 처리시간 0.035초

정신(精神) 박약아(薄弱兒)의 구강(口腔) 상태(狀態)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OF ORAL STATUS OF MENTAL RETARDED CHILDREN)

  • 지인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7-88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rehensive study & evaluation of the oral status of mental retarded children. The auther examined intraorally 486 (male; 311, female;175) mental retarded children. The result was as follows; (General mental retarded children means the children who live in their parent's home, & orphan mental retarded children means the children who live in orphanage.) 1. The dft rate was 31.6% in general mental retarded children (G.m.r.c.) & 20.7% in orphan mental retarded children (O. m. r. c.). The dft index was 3.73 in G.m.r.c. & 2.15 in O.m.r.c. 2. The DMFT rate was 24.6% in female G.m.r.c., 16.7% in male G.m.r.c., 12.7% in female O.m.r.c., 8.4% in male O.m.r.c. The DMFT index was 4.94 in female G.m.r.c., 4.01 in male G.m.r.c., 1.40 in male O.m.r.c., 2.75 in female O.m.r.c. 3. The malocclusion prevalence was 57.3%. the class I malocclusion was 14.2% Class II malocclusion 19.3%, Class III malocclusion 23.5%. The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had 60.0% of class III malocclusion prevalence. 4. The dental calculus index was 1.97 in male O.m.r.c., 1.81 in female O.m.r.c., 1.30 in male G.m.r.e., 1.13 in female G.m.r.c. 5. The dental plaque index was 3.06 in female G.m.r.c., 3.00 in male Gm.r.e. 2.70 in male O.m.r,c., 2.32 in female O.m.r.c.

  • PDF

시판 굴의 유통조건에 따른 장염비브리오균의 미생물학적 변화 (Microbiological Popul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Oysters of Wholesale Seafood Markets)

  • 이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8-243
    • /
    • 2006
  • 수산물도매시장에서 판매중인 굴의 계절별, 판매, 소비 조건별 V. parahaemolyticus의 밀도를 조사하고, 유통단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시장 내에서 유통 중인 굴은 3월에서 11월중에 V. parahaemolyticus가 분리되고 $<2\sim1.4\times106MPN/100g$의 밀도를 보였다. V. parahaemolyticus의 접종 실험에서 $0^{\circ}C$에서는 48시간동안 균의 증식이 거의 없었고 $36^{\circ}C$에서는 15시간 후 $1.4\times107CFU/100g$, $25^{\circ}C$에서는 15시간 후 $5.4\times105CFU/100g$, $4^{\circ}C$에서는 15시간 후 $2.7\times104CFU/100g$으로 정점을 나타냈다. Icebox에 포장되어 유통되는 굴이, 얼음위에 전시되어 소분 판매기는 좌판위의 굴보다 V. parahaemolyticus의 밀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그 차이가 현저하지 않아 시장 내의 보관 상태에는 큰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입 후 소비처로 운반하는 동안 하절기 외기에 노출되었을 때는 $1.4\times108CFU/100g$까지도 급격하게 균이 증식하여 식중독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소분판매 시 반드시 얼음 등을 채워 $0^{\circ}C\sim4^{\circ}C$의 저온 상태에서 운반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인 세척조건에서도 균 양의 감소가 현저하지 않아 장시간 노출시 다시 급격하게 위험수준으로 증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조리 후 저온 저장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점 파악을 위하여 비교적 위험도가 높을 조건을 전제로 실험을 시도하였으므로 실제 유통상황은 보다 단전할 것이나 판매, 조리 단계에서 저온을 유지한다면 현재보다 식중독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illus cereus에 의한 C형 인지질 분해효소의 생산과 특성 고찰 (Production of a Phospholipase C by Bacillus cereus and Its Characterization)

  • 서국화;임용식;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50-25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C형 인지질 분해효소 (PLC)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각종 B. cereur (B. cereus 11, 315, 559 와 B. cereus ATCC10987)의 배양을 통해 미생물의 성장과 PLC의 생산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LB 배지에서 최대 PLC 생산(85 units/mL) 특성을 보인 B. cerrur 318를 이용하여 균체성장 및 PLC 생산에 적합한 배양 배지를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glucose,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와 peptone, 인산과 아연의 농도는 각각 0.5∼l g/L과 0.02∼0.04 g/L이 PLC의 생산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적합한 배양액의 조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 cereus를 이용하여 PLC를 생산할 때 배양 온도는 3$0^{\circ}C$, 배양액의 pH는 7.5로 배양하는 것이 균체성장 및 PLC 생산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B. cereus에 의해 생산된 PLC의 반응 특성을 연구하였는데, B. cereus 11 과 318에 의해 생산된 PLC는 45$^{\circ}C$, pH 4에서 최대 활성을 보였고, B. cereus 559에서 생산된 PLC는 5$0^{\circ}C$, pH 7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냈다. B. cereus에서 생산된 PLC에 망간 이온, 코발트 이온 그리고 DMSO가 첨가되었을 때는 PLC의 활성이 상당히 증가했고, 구리 이온, glycerol, isopropanol 과 SDS등을 첨가했을 때는 PLC 활성이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check{o}$nsu Bay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arbon, Cell Number and chlorophyll-)

  • 심재형;신윤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4-205
    • /
    • 1989
  • 일차생산자의 생물량을 연구하기 위해 천수만에서 1985년 9월부터 1986년 8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의 체적으로부터 계산한 식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은 $26.7-960.7{\mu}gC/l$의 분포를 보이며 월 평균 탄소량은 $58.6-684.7{\mu}gC/l$(연 평균 $208.5{\mu}gC/l$) 범위의 변화를 보인다.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 개체수 및 클로로필 농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 net plankton(> $20{\mu}m$)에서는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호간의 상관 관계가 밀접하게 나타나 이들 상호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nanoplankton(< $20{\mu}m$)의 경우, 상관 관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nano-fraction이 제거하지 않은 picoplankton(< $2{\mu}m$)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중회귀 분석 결과 또한 식물플랑크톤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관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C/Chl-a 비율은 9.1-100.5의 범위로 변화폭이 큰데 net plankton의 C/Chl-a 평균 비율은 111, nanoplankton의 비율은 6.4로 나타났다. Net plankton의 비율은 높은 시기에는 C/Chl-a값이 높은 반면 nanoplankton비율이 높은 시기에는 기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C/Chl-a 비율을 변화시키는 주요인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C/Chl-a값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클로로필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탄소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연안생태계에서 적절치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허브를 이용한 혼합 침출차 가공특성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 주선종;최금주;김기식;박성규;김태수;오문헌;이상수;고재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0-405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산 허브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혼합침출차를 제조하기 위하여‘마리노 라벤다’와‘류치아 로즈마리’그리고‘슈퍼민트’‘골든세이지’‘코리아타임’을 수확하여 동결건조 후 분쇄한 건조허브의 영양성분과 향기패턴양상을 분석하고, 침출온도별 허브침출차의 특성과, 혼합침출차의 가공특성 분석결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가식부 100g당 조단백질은 1.4~17.5g, 조지방은 6.1~15.8g, 탄수화물중 당질은 43.5~61.2g이었으며 조회분 함량은 7.7~10.7g이었다. 특히 류치아로즈마리의 조지방함량은 15.8%로 마리노라벤다와 슈퍼민트에 비하여 약 1.8~2.6배 높았다. 무기성분은 가식부 100g당 칼슘은 707~l.763mg, 인 234~513mg, 칼륨 2,391~3,430mg, 마그네슘 361.3~573.5mg 이었고 특히 슈퍼민트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아연, 인의 무기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은 가식부 100g 당 비타민A 인$\beta$- Carotene 함량이 6,902~27,677$\mu\textrm{g}$ 이었고 비타민 B$_1$0.34~0.62mg, 비타민 B$_2$1.37~2.52mg, 나이아신 5.3~8.8mg, 비타민 C 102~111mg 이었고 특히 슈퍼민트는 비타민A 인 $\beta$-Carotene 함량이 27,677$\mu\textrm{g}$ 으로 가장 높았다. 침출 온도별 침출차의 pH 와 당도는 6$0^{\circ}C$에 비하여 8$0^{\circ}C$, 10$0^{\circ}C$는 낮았으나 색도 중 명도 값은 높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 값은 낮아졌다. 혼합침출차의 특성은 시판제품에 비하여 시제품의 pH는 낮았으나 당도는 같았으며 색도중 명도는 낮았으나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시판제품에 비하여 시제품의 맛, 향, 색, 상품성에서 현저히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향기패턴과 경향이 일치하였다.

錦江河口 潮間帶 低棲生物群集의 에너지 流轉 (Energy Flow of Benthic Community at the Intertidal Zone of Kum River Estuary)

  • Kim, Joon-Ho;Kyung-Je Cho;Chi Shick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1호
    • /
    • pp.7-14
    • /
    • 1985
  • Biomass,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standing crops of bethic community were estimated at the trophic levels in the intertidal zone of Kum river estuary. Annual mean biomass of zoobenthos was 130.5g/$m^2$, body fraction 26.7g/$m^2$ and shell fraction 103.8 g/$m^3$. Biomass estimated as ash-free dry weight was total 28.9g/$m^2$, body fraction 20.2g/$m^2$ and shell fraction 8.7g/$m^2$ Carbon standing crops of zoobenthos were 15.9gC/$m^2$, in which organic carbon content was 7.0gC/$m^2$ and carbonate carbon was 8.9gC/$m^2$. Production efficiency by carbon standing crops from sediment to herbivores and carnivores and 10.6% and 16.0% in phosphorus, respectively. Annual primary production of benthic algae was crudely estimated to 329g.dw/$m^2$/yr by using the biomass and turn-over rate of benthic algae.

  • PDF

녹즙의 항산화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 정소영;김현위;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80-88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녹즙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신선초, 케일, 당근, 샐러리, 오이로 각각 녹즙을 제조하고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영양성분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5가지 녹즙에는 항산화 영양성분인 ${\beta}-carotene$, 비타민 E, 비타민 C, Se, Ca, Mn, Zn, 페놀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었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쥬스 100 g 당 당근이 59.09 mg, 케일이 3285.3 mg, 신선초가 1398.3 mg, 샐러리가 176.7 mg 오이가 61.4 mg이었다.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은 케일녹즙이 1.4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샐러리 녹즙에는 0.04 mg/100 g이 함유되어 있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케일 녹즙은 비타민 C 함량도 녹즙 100 g당 105.1 m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신선초 31.4 mg, 오이 9.3 mg, 샐러리 7.5 mg, 당근 5.2 mg 순이었다. 항산화성 무기질은 대체로 신선초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양을 보면 녹즙 100 g당 Cu가 0.4 mg, Mn 0.5mg, Zn 0.24mg이고 Se은 녹즙 kg당 0.61 mg이었다. 케일녹즙에는 100 g당 Cu 0.45 mg, Mn 0.22 mg, Zn 0.24 mg이었다. Se는 1kg 당 0.33 mg로 신선초 다음으로 많은 항산화성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샐러리와 오이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성 무기질의 양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물질함량은 5가지 녹즙에서 $0.01{\sim}0.05%$이었으며 케일 녹즙이 가장 많은 페놀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 PDF

초임계유체 추출을 이용한 포도씨 tocotrienol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Tocotrienol from Grape Seed)

  • 김경미;우관식;황인국;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7-41
    • /
    • 2009
  • 포도가공 시 발생되는 부산물인 포도씨로부터 유용성분인 vitamin E 및 tocotrienol을 초임계 유체추출방법으로 최적화 하였다. 추출 온도(30-$50^{\circ}C$, $X_1$), 추출압력(17-25MPa, $X_2$) 및 추출시간(1-5 hr, $X_3$)을 변수로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vitamin E 및 tocotri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상에서 vitamin E 및 tocotrienol 함량은 추출온도, 압력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plt;0.001). 각각의 추출조건 가운데 $40^{\circ}C$, 20 MPa 및 5 hr에서 vitamin E는 8.65 mg/100 g 그리고 tocotrienol은 7.88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최적추출조건은 $40^{\circ}C$, 20.7MPa 및 3.8 hr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의 vitamin E 및 tocotrienol 함량은 각각 8.20 mg/100 g 및 7.42 mg/100 g으로 나타났다. Vitamin E 및 tocotrienol 함량에 대한 실측값은 통계적 예측값의 각각 99.27-106.10% 및 96.09-106.60%로 나타나 추출조건의 유효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유기용매 추출시 vitamin E 및 tocotrienol 함량은 각각 8.18 mg/100 g 및 7.24 mg/100 g이었다. 따라서 용매추출법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비교했을 때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vitamin E 및 tocotrienol을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시판 막걸리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 박찬우;장세영;박은지;여수환;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84-8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판되는 비살균 막걸리 8종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막걸리 5종의 알코올 함량은 5.7~5.8%, G $6.7{\pm}0.1%$, D $6.8{\pm}0.2%$, C $7.5{\pm}0.1%$로 각각 분석되었다. 적정산도는 막걸리 C와 D에서 0.5%이상, H에서는 $0.49{\pm}0.02%$로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0.45% 이하로 나타났으며, pH는 시료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약 200 mg%정도이며, A와 F는 약 90 mg%로 낮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malic acid는 막걸리 A와 G에서만 검출되었으며, acetic acid는 C와 D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중 fructose와 sucrose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glucose 함량은 막걸리 G에서 $335.1{\pm}40.3$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altose 함량은 막걸리 E($73.5{\pm}1.8$ mg%)를 제외하고는 $23.5{\pm}1.0{\sim}45.0{\pm}1.1$ mg%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알코올 성분으로는 1-propanol, 2-methyl-1-propanol 및iso-amylalcohol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0.4~0.5 mg/mL로 탁주규격에 적합하였다. 이상과 같이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발효제, 담금조건, 담금유형별에 따른 품질분석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곰취 Polyphenol oxidase의 효소화학적 성질 (Some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fischeri polyphenol oxidase)

  • 함승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70-172
    • /
    • 1992
  •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부분 정제된 곰취 polyphenol oxidase의 최적 pH와 최적온도는 7.5와 $25^{\circ}C$였으며, pH 7.5에서 5분간 처리시에는 $40^{\circ}C$에서 안정하였으나, 30분간 처리시에는 $70^{\circ}C$에서 약 90% 실활하였다. polyphenol oxidase는 ascorbic acid와 potassium cyanide(0.5mM)에 의해 불활성화 덕었으며, L-Lysine, glutathione (0.5 and 1mM), ascorbic acid와 potassium cyanide(1mM)에서는 완전 실활하였다. catechol과 chlorogenic acid의 기질은 높은 특이성을 나타낸 반면 dopamine은 7.4%로서 가장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