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2 screw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3초

Usefulness of Simple Rod Rotation to Correct Curve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 Kim, Ji Yong;Song, Kyungchul;Kim, Kyung Hyun;Rim, Dae Cheol;Yoon, Seung Hw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6호
    • /
    • pp.534-538
    • /
    • 2015
  • Objective : To correct apical vertebral rotation for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IS), direct vertebral derotation (DVD) or simple rod rotation (SRR) might be consider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troduce the surgical experiences of AIS by a Korean neurosurgeon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RR for apical vertebral rotation. Methods : A total of 9 patients (1 male and 8 females) underwent scoliosis surgery by a neurosurgeon of our hospital. The Lenke classifications of the patients were 1 of 1B, 2 of 1C, 1 of 2A, 1 of 2C, 3 of 5C and 1 of 6C. Surgery was done by manner of simple rod rotation on the concave side and in situ coronal bending. Coronal Cobb's angles, vertebral rotation angles and SRS-22 were measured on a plain standing X-ray and CT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5.7 months (range : 5-52). The mean number of screw positioning level was nine (6-12). The mean age was 16.4 years (range : 13-25) at surgery. The mean Risser grade was $3.7{\pm}0.9$. The apical vertebral rotation measured from the CT scans was $25.8{\pm}8.5^{\circ}$ vs. $9.3{\pm}6.7^{\circ}$ (p<0.001) and the Coronal Cobb's angle was $53.7{\pm}10.4^{\circ}$ vs. $15.4{\pm}6.5^{\circ}$ (p<0.001)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 respectively. The SRS-22 improved from 71.9 preoperatively to 90.3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complications related with the operations. Conclusion : SRR with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could be corrected successfully by axial rotation without complications. SRR might serve as a good option to correct AIS deformed curves of AIS.

Surgical Treatment of Craniovertebral Junction Instability : Clinical Outcomes and Effectiveness in Personal Experience

  • Song, Gyo-Chang;Cho, Kyoung-Suok;Yoo, Do-Sung;Huh, Pil-Woo;Lee, Sang-B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1호
    • /
    • pp.37-45
    • /
    • 2010
  • Objective : Craniovertebral junction (CVJ) consists of the occipital bone that surrounds the foramen magnum, the atlas and the axis vertebrae. The mortality and morbidity is high for irreducible CVJ lesion with cervico-medullary compression. In a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the authors reviewed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occipitocervical fusion using a various methods in 32 patients with CVJ instability. Methods : Thirty-two CVJ lesions (18 male and 14 female) were treated in our department for 12 years. Instability resulted from trauma (14 cases), rheumatoid arthritis (8 cases), assimilation of atlas (4 cases), tumor (2 cases), basilar invagination (2 cases) and miscellaneous (2 cases). Thirty-two patients were internally fixed with 7 anterior and posterior decompression with occipitocervical fusion, 15 posterior decompression and occipitocervical fusion with wire-rod, 5 C1-2 transarticular screw fixation, and 5 C1 lateral mass-C2 transpedicular screw. Outcome (mean follow-up period, 38 months) was based on clinical and radiographic review. The clinical outcome was assessed by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e. Results : Nine neurologically intact patients remained same after surgery. Among 23 patients with cervical myelopathy, clinical improvement was noted in 18 cases (78.3%). One patient died 2 months after the surgery because of pneumonia and sepsis. Fusion was achieved in 27 patients (93%) at last follow-up. No patient developed evidence of new, recurrent, or progressive instability. Conclusion : The authors conclude that early occipitocervical fusion to be recommended in case of reducible CVJ lesion and the appropriate decompression and occipitocervical fusion are recommended in case of irreducible craniovertebral junction lesion.

반복하중에 따른 수종 임플란트의 피로파절에 관한 연구 (Fatigue fracture of different dental implant system under cyclic loading)

  • 박원주;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4-434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는 수직교합 하중에는 비교적 잘 견디나 측방하중에 대해서는 약한 역학적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임플란트의 재료 특성과 기하학적 형태에 따른 응력 분석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연구재료 및 방법: 외부육각구조를 갖는 28개의 임플란트를 7개씩 4군으로 나누어 그 제품에 적합한 UCLA gold abutment를 이용해, 제3형 금합금으로 보철 물을 제작하였고, A군 (3i, FULL $OSSEOTITE^{(R)}$-Implant), B군 (Nobelbiocare, Branemark $System^{(R)}$Mk III Groovy RP), C군 (Neobiotec, $SinusQuick^{(TM)}$ EB), D군 (Osstem, US-II)으로 분류하였다. 고정체와 지대주나사, 지대주를 연결한 후 수직적으로 절단하여 연마한 후 미세경도계를 이용하여 10군데에서 경도측정을 실시하였고, 동적하중 피로시험기를 이용하여 60-600 N범위로 파절시까지 동적 하중을 가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지대주나사 및 고정체의 파절 양상과 파절 위치 등을 관찰하였고,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고정체와 지대주 나사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와 파절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고정체 경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245.3, 289.7, 281.3, 300.4 Hv로 D군이 가장 높았고, A군이 가장 낮았다. 지대주 나사의 경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340.00, 317.62, 306.5, 306.2 Hv로 A군이 가장 높고, D군이 가장 낮았다. 2. 모든 실험군에서 임플란트 고정체의 파절은 응력이 집중되는 고정체 3-4번째 나사산 홈 (valley) 부위 또는 내면의 사공간부와 일치하는 부위에서 발생되었고, 피로수명은 A, B, C, D군에서 각각 31585, 47311, 30141, 105371로 D군이 가장 높았으며, A, B, C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3. 파절양상은 B군과D군에서는 고정체와 나사 모두에서 수직 (longitudinal)파절과 수평 (transverse)파절이 동시에 일어나는 복합 (complex mode) 파절이 관찰 되었고, A와 C군에서는 고정체에서 수평 (transverse mode) 파절만이 관찰되었다. 4. 유한요소분석 결과 인장응력이 가장 높은 고정체 표면부에서 피로 균열이 시발되어 압축응력이 가장 높은 반대편 부위로 피로균열이 전파되었으며, 최대 유효 응력값은 C군이 가장 높았고, B군에서 가장 낮았다. 결론: 피질골 높이와 일치하는 임플란트 고정체 부위에서 최대 인장 주응력이 발생되며, 고정체 사공간부 (dead space)가 최대 인장 주응력이 작용하는 지그 표면과 일치할 때 피로파절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악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임플란트 주위의 골소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나 골흡수가 일어나 사공간부 수준까지 진행된다면 임플란트의 파절 빈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rystal Structure of Naproxen Sodium, ($C_{14}H_{13}O_3Na$),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

  • Kim, Yang-Bae;Park, Il-Yeong;Lah, Woon-Ry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66-173
    • /
    • 1990
  • The structure of the anti-inflammatory agent, naproxen sodium was determined by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analysis. Crystal of the compound, which was recrystallized from methanol solution, is nomoclinic, space group $P2_1$ with a = 21. 177(6), b = 5.785(2), c = 5.443(2) $\AA, \beta$ = 91.41(3)$\{\circ}$ and Z = 2. The calculated density is 1.346; the observed value is nements based on 1093 reflections ($F\geq3\sigma$(F)) gave the final R value of 0.043. There are of one water per one compound molecule in the crystal. The carboxyl group of the molecule is nearly perpendicular to the naphthalene ring. The molecules are arranged along with the screw axis, and stabilized by five 0...Na type interactions. The molecule retains nearly same dimensions and similar conformation compared to its parent compound, naproxen, except for the torsion angles around C(5)-C(11) bond.

  • PDF

환축추 아탈구 견에서 투시기 유도를 통한 복측 나사 고정술 (Ventral Fixation of Atlantoaxial Joint under Fluoroscopic Guidance Using Screws in a Chihuahua Dog)

  • 이재훈;양희택;양우종;정다정;강은희;엄기동;최치봉;장화석;김휘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135
    • /
    • 2008
  • 5연령의 치와와 견이 사지 부전마비를 평가하기 위해서 내원하였다. 내원 시에 보행이 불가능한 사지 부전마비와 목 부위 통증을 보였다. 방사선 상에서 환축추 아탈구와 C1 등쪽의 추궁과 C2의 가시돌기의 거리가 증가 된 소견을 보였다. 외과적 고정은 투시기 유도 하에서 복측 접근을 통하여 2개의 나사(screw)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외부 고정(neck brace)을 3주 동안 실시하였다. 수술 후 4주 후 임상증상이 개선되어 보행이 가능 하였으며, 방사선 상에서 고정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나사의 이주 소견은 없었다. 4개월 후에 임상증상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복측 나사 고정을 투시기 유도하에서 실시함으로, 나사의 적합한 각도로 위치 시킬 수 있었다.

시멘트 제거를 위해 가한 열이 임플란트 티타늄 지대주와 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to remove cement on implant titanium abutment and screw)

  • 이효경;길기성;이정진;안승근;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79-187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시멘트 소환을 위해 가한 열이 임플란트 티타늄 지대주 및 지대주 나사의 풀림토크와 파절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와 티타늄 지대주 및 지대주 나사를 20개씩 준비하였다. 지대주와 나사는 가열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진공소성로에서 $450^{\circ}C$까지 8분간 가열 후 공기 중에서 냉각한 것을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임플란트에 지대주 및 나사를 연결하고 30 Ncm의 힘으로 10분 간격으로 2회의 조임력을 가하고 15분 후 풀림토크를 측정하였고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지대주 나사의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풀림토크는 대조군에서 $27.84{\pm}1.07Ncm$, 실험군에서 $26.55{\pm}1.56Ncm$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평균 파절강도는 대조군에서 $731.47{\pm}39.46N$, 실험군에서 $768.58{\pm}46.73N$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5). 결론: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시멘트 소환을 위해 가한 열이 티타늄 지대주 나사의 풀림토크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파절강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 소환을 위해 보철물 및 지대주의 조립체에 열을 가하는 경우에는 지대주 나사를 미리 빼내어 따로 보관하거나 부득이하게 열을 가한 지대주 나사는 재사용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나 임상적인 재사용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enothiocarb, $C_{13}H_{19}NO_2S$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Fenothiocarb, $C_{13}H_{19}NO_2S$.)

  • 박권일;조성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3-68
    • /
    • 1995
  • X-ray 회절법을 이용하여 fenothiocarb(S-4-phenoxybutyl dimethylthiocarbamate), C13H19NO2S의 결정 및 분자구조를 규명하였다. asetone용액으로부터 얻은 무색 단결정은 단사정계, 공간군은 P21/c이며, a=9.045(1)Å, b=14.577(2)Å, c=10.727(2)Å, β=103.56(1)°, Z=4, V=1375.20(6)Å3, Dc=1.23g/cm3, λ(Mo-Kα)=0.71069Å, μ=2.3cm-1, F(000)=544, temperature : 293±3K, 직접법으로 개략적인 분자모델을 설정하고 1543개의 독립 회절 반점에 완전행렬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여 최종신뢰도값 R=0.049인 최종적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분자들은 c축 방향 2회선 나선형으로 이상적으로 충진되어 있으며 분자간은 van der Waals 결합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 PDF

세라믹(BNT)-폴리머(LCP) 복합체 제조 및 유전특성 (Preparation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Ceramic(BNT)-Polymer(LCP) Composite)

  • 박명성;전명표;조정호;남중희;최병현;남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935-940
    • /
    • 2009
  • In this research, the composites (100-x)LCP-xBNT (x = 0, 10, 20, 30, 40 vol.%) were fabricated with thermoplastic LCP(Liquid Crystal Polymer) and BNT($BaNd_2Ti_4O_{12}$) which is a high frequency dielectric material. Their dielectric properties, mechanical strength and microstructure were investigated by Impedance analyser, Instron and SEM. In order to fabricate LCP-BNT composites, LCP resin was put into the twin screw type mixer($310^{\circ}C$), melted by keeping for 10 min. After that, BNT filler was dispersed with melted LCP resin for 15 min. in the mixer. For measur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and mechanical strength, Composite specimens were made by pressing composite granule (LCP-BNT) with 7 ton in the mold at $310^{\circ}C$. With increasing the BNT content (0~40 vol.%) of the composite, Its dielectric constant increased, dielectric loss and flexural strength decreased. The dielectric constant and flexural strength of composites with 20~30 vol.% of BNT filler are 4.1~6.0 and 35~55 MPa respectively. BNT/LCP composite is the potential substrate material for the high frequency application.

압출성형 공정에 의한 인삼의 수용성 성분 증대 (Increase of Solubility of Ginseng Radix by Extrusion Cooking)

  • 지호균;조용진;김종태;장영상;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1-368
    • /
    • 2006
  • 압출조건 즉, screw speed, screw configuration, 압출온도 및 원료투입량 등을 고정하고, 가수량을 조절하여 압출미삼을 제조하여 냉수 및 열수에서의 추출율, 총당, 우론산 및 비전분 탄수화물의 함량과 당 조성을 분석하였다. 가수량이 감소될수록 압출온도와 SME는 증가하고, 고형분, 총당 및 우론산의 추출율도 증가하였다. 추출율 증가는 열수추출에서 보다 상온추출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최적조건인 압출온도 $155^{\circ}C$에서 처리한 미삼 분말의 비전분 탄수화물의 추출율이 증가하였고, 추출된 NSP의 분자량은 냉수추출에서는 압출처리 미삼이 열수추출에서는 대조구에서 큰 분자량이 추출되었다. NSP의 당 조성은 미삼의 비전분 다당체의 주된 구성당은 arabinose와 galactose였고, 상온에서 추출된 압출 미삼의 경우 높은 함량의 glucose가 측정되었으며, 열수에서 추출된 미삼의 비전분 다당체는 대조구와 압출미삼 모두에서 glucose 및 xylose가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구연산이 첨가된 미삼과 첨가되지 않은 미삼을 이용하여 $155^{\circ}C$에서 압출성형 하는 것이 최적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압출성형 된 압출미삼의 냉수추출의 경우 사포닌 추추율은 대조구에 비해 약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압출처리에 의해 사포닌의 구성 성분 중 Rg3가 생성되었다.

고아밀로즈 옥수수전분의 압출성형에 의한 난소화성화 (Formation of Enzyme Resistant Starch by Extrusion Cooking of High Amylose Corn Starch)

  • 김지용;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28-1133
    • /
    • 1998
  • 압출성형에 의한 난소화성 전분형성효과를 알아보고자 식품산업에 널리 이용되는 쌍축형(twin-screw) 압출성형기(extruder)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난소화성 전분 형성에 많이 사용되는 고아밀로즈 옥수수 전분의 압출성형 실험을 행하였다. 압출성형시 압출조건에 따른 난소화성 전분수율을 회분식 고압가열과 냉각에 의한 난소화성 제조방법과 비교, 실험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스크류 회전 속도를 100 rpm으로 고정하여 바렐온도(100, 120, $140^{\circ}C$) 3가지 조건과 투입원료 수분함량(25, 35, 45%) 3가지 조건으로 총 9가지 조건에서 압출성형하였다. 또한 압출성형 전분의 $4^{\circ}C$ 저장시의 난소화성 수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난소화성 전분 측정법으로는 생체내 소화효소 반응과 유사한 pancreatin을 이용한 방법과 내열성 아밀라제 (Termamyl)에 의한 방법 2가지를 비교 실험하였다. Pancreatin을 이용한 난소화성 전분 수율 비교시 바렐온도가 낮을 때$(100^{\circ}C)$와 원료수분함량이 높을 때(45%)의 압출성형 전분이 가장 높은 수율(38.4%)을 나타내어 회분식 가열 냉각 5회 반복 처리한 시료의 난소화성 수율(25%) 보다 높았다. 같은 압출성형조건에서는 일반 전분의 압출성형전분이 고아밀로즈 압출성형 전분보다 낮은 난소화성 전분수율을 나타냈다. 내열성 아밀라제(Termamyl)에 의한 전분 수율 비교시, 회분식 가열냉각 5회 처리 시료는 27.5%의 수율을 보였으며 이는 압출 성형 전분의 난소화성 수율$(11.6{\sim}15.4%)$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같은 압출성형 조건에서 일반전분의 압출성형전분이 고아밀로즈 압출성형 전분보다 낮은 난소화성 전분수율을 나타냈다. 압출성형 고아밀로즈전분의 $4^{\circ}C$ 저장실험에서 4주 저장후 난소화성 수율은 pancreatin을 이용한 경우에는 바렐온도가 낮은 경우$(100^{\circ}C)$ 3가지 투입원료 조건(25, 35, 45%) 모두에서 60% 수준의 높은 난소화성 수율을 보였으나 내열성 아밀라제를 사용한 난소화성 수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압출성형 전분의 $4^{\circ}C$ 저장시 호화된 전분의 일부 재결정화로 형성된 난소화성 전분이 $95^{\circ}C$ 30분간의 열처리 및 내열성 아밀라제의 처리에 의해 분해가능한 전분으로, 완전한 결정성구조를 가진 전분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