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1-2

검색결과 67,189건 처리시간 0.071초

잣기름의 Triglyceride조성(組成) (Triglyceride Composition of Pine Nut Oil)

  • 천석조;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9-181
    • /
    • 1984
  • 잣기름을 TLC에 의하여 트리 - 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트리 - 글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여 분취(分取)하였다. 분취(分取)한 각획분(各劃分)을 GLC 에 의하여 아실탄소수별(炭素數別)로 재분획(再分劃)하는 한편, 각획분(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분석(分析)하였다. 주요(主要) 트리 - 글리세리드를 들면 다음과 같다. $(C_{18:2},\;C_{18:2},\;C_{18:3},\;34.9%)$, $(C_{18:1},\;C_{18:2},\;C_{18:3}\;;\;10.8%)$, $(C_{18:1},\;C_{18:1},\;C_{18:2}\;;\;9.9%)$, $(C_{18:1},\;C_{18:1},\;C_{18:1}\;;\;6.5%)$, $(C_{18:1},\;C_{18:1},\;C_{18:2}\;;\;6.3%)$, $(C_{18:1},\;C_{18:1},\;C_{18:3}\;;\;4.8%)$, $(C_{16:0},\;C_{18:2},\;C_{18:3}\;;\;3.3%)$, $(C_{18:0},\;C_{18:1},\;C_{18:2}\;;\;2.7%)$, $(C_{16:0},\;C_{18:1},\;C_{18:2}\;;\;2.6%)$, $(C_{16:0},\;C_{18:2},\;C_{18:2}\;;\;2.2%)$, $(C_{16:0},\;C_{18:1},\;C_{18:3}\;;\;1.9%)$, $(C_{16:0},\;C_{18:2},\;C_{18:2}\;;\;1.7%)$, $(C_{16:0},\;C_{18:1},\;C_{18:1}\;;\;1.7%)$, $(C_{18:1},\;C_{18:3},\;C_{18:3}\;;\;1.5%)$.

  • PDF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2 보(報) : 옥수수유(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I. Triglyceride Composition of Corn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6-231
    • /
    • 1982
  • 주요 식물유(植物油)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組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옥수수유(油)를 시료로 하여 TLC로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분획(分劃)하였으며, 각 획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로 acyl탄소수별(炭素水別)로 분획(分劃) 하였다. 또 PN별(別) 획분(劃分)을 GLC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위의 3가지 방법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조성(組成)을 산정한 종류는 36종류이었다. 시료유(試料油)의 주요 트리-글리세리드를 들면 다음과 같다. 21.5%$(C_{18:2},\;C_{18:2},\;C_{18:1})$, 17.4%$(C_{18:1},\;C_{18:2},\;C_{18:1})$, 15.4%$(C_{18:1},\;C_{18:2},\;C_{16:0})$, 11.1%$(C_{16:0},\;C_{18:2},\;C_{18:2})$, 9.0%$(C_{18:1},\;C_{18:1},\;C_{18:1})$, 8.0%$(C_{18:2},\;C_{18:2},\;C_{18:2})$, 5.7%$(C_{18:1},\;C_{18:1},\;C_{16:0})$, 2.2%$(C_{16:0},\;C_{16:0},\;C_{18:2})$, 1.6%$(C_{18:2},\;C_{18:2},\;C_{18:2})$, 1.1%$(C_{18:2},\;C_{18:0},\;C_{16:0})$, 1.1%$(C_{16:0},\;C_{16:0},\;C_{18:1})$이었다.

  • PDF

토릭렌즈의 표면 곡률 특성 연구 (Properties of a Surface Curvature in Toric Lens)

  • 박상안;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5-70
    • /
    • 2001
  • 두 개의 토로이드 면이 서로 직각인 토릭렌즈의 두 곡률의 합($C_x+C_y$)는 $$C_x+C_y=\frac{x^2+y^2}{2r_1}+\frac{x^2}{2}(\frac{1}{r_2}-\frac{1}{r_1})$$이며, 사축인 토릭렌즈의 두 곡률의 합 ($C_a+C_b$)은 $$(C_a+C_b)=\frac{x^2cos^2{\alpha}_1}{2r_1}+\frac{x^2cos^2{\alpha}_2}{2r_2}+\frac{y^2sin^2{\alpha}_1}{2r_1}+\frac{y^2sin^2{\alpha}_2}{2r_2}$$이다. $(C_1+C_2)+(C_1+C_2)_{90^{\circ}}$는 구면의 곡률 합$S_{S_1}+S_{S_2}$과 같은 값을 얻었다. 표면 곡률(Cx, Cy) 값을 포함한 사축 토릭렌즈의 합성 굴절력의 parameter S, C, ${\theta}$ 값을 다음과 같다. $$S=(n-1)\[\frac{C_x}{x^2}+\frac{C_y}{y^2}\]-\frac{C}{2},\;C=-\frac{2(n-1)}{sin2{\theta}}\[\frac{C_x}{x^2}+\frac{C_y}{y^2}\]$$ $${\theta}=\frac{1}{2}tan^{-1}\[-\frac{{C_xy^2sin2{\theta}_1}+{C_yx^2sin2{\theta}_2}}{{C_xy^2cos2{\theta}_1}+{C_yx^2cos2{\theta}_2}}\]$$.

  • PDF

CHARACTERIZING FUNCTIONS FIXED BY A WEIGHTED BEREZIN TRANSFORM IN THE BIDISC

  • Lee, Jaesung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7권2호
    • /
    • pp.437-444
    • /
    • 2019
  • For c > -1, let ${\nu}_c$ denote a weighted radial measure on ${\mathbb{C}}$ normalized so that ${\nu}_c(D)=1$. For $c_1,c_2>-1$ and $f{\in}L^1(D^2,\;{\nu}_{c_1}{\times}{\nu}_{c_2})$, we define the weighted Berezin transform $B_{c_1,c_2}f$ on $D^2$ by $$(B_{c_1,c_2})f(z,w)={\displaystyle{\smashmargin2{\int\nolimits_D}{\int\nolimits_D}}}f({\varphi}_z(x),\;{\varphi}_w(y))\;d{\nu}_{c_1}(x)d{\upsilon}_{c_2}(y)$$. This paper is about the space $M^p_{c_1,c_2}$ of function $f{\in}L^p(D^2,\;{\nu}_{c_1}{\times}{\nu}_{c_2})$ ) satisfying $B_{c_1,c_2}f=f$ for $1{\leq}p<{\infty}$. We find the identity operator on $M^p_{c_1,c_2}$ by using invariant Laplacians and we characterize some special type of functions in $M^p_{c_1,c_2}$.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면실유(棉實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 Triglyceride Composition of Cotton Seed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9-225
    • /
    • 1982
  • 식물유(植物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組成)을 밝히기 위하여 목화씨기름을 시료(試料)로 하여 TLC로써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분획(分劃)하였으며, 각 획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로 acyl탄소수별(別)로 분획(分劃) 하였다. 또한 PN별(別) 분획(分劃)을 GLC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結果)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을 산정하였는데, 목화씨기름에 있어서는 37종류이었다. 시료유(試料油)의 주요(主要) 트리-글리세리드를 들면 목화씨기름에 있어서는 25.8%$(C_{16:0},\;C_{18:2},\;C_{18:2})$, 15.5%$(C_{18:2},\;C_{18:2},\;C_{18:2})$, 13.8%$(C_{16:0},\;C_{18:2},\;C_{16:0})$, 8.3%$(C_{18:2},\;C_{18:1},\;C_{18:2}$), 6.2%($C_{18:2},\;C_{18:1},\;C_{18:1})$, 4.1%$(C_{18:1},\;C_{18:1},\;C_{14:0})$, 3.4%$(C_{16:0},\;C_{18:1},\;C_{16:0})$), 2.3%$(C_{18:1},\;C_{18:2},\;C_{16:0}$), 2.2%($C_{18:1},\;C_{18:1},\;C_{18:1})$, 1.0%$(C_{14:0},\;C_{18:2},\;C_{18:1})$이었다.

  • PDF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3보(第3報) : 올리브기름의 Triglyceride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II. Triglyceride Composition of Olive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6-69
    • /
    • 1983
  • 올리브기름의 트리-글리세리드조성(組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시료유(試料油)를 TLC에 의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分離)하고, 분리(分離)한 트리-글리세리드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4군(群)으로 분획(分劃)하였으며, 각 획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에 의하여 acyl탄소수별(炭素數別)로 분획(分劃)하였다. 또 PN별(別) 획분(劃分)은 GLC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분석(分析)하였다. 올리브기름에 있어서 주(主)로 PN48에 acyl탄소(炭素) C-52 및 C-54가 높은 비율(比率)로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산(脂肪酸)은 C18 : 1 및 C18 : 2가 주요성분(主要成分)으로 구성(構成)되여 있었다. 시료유(試料油)의 주요(主要) 트리-글리세리드를 들면 다음과 같다. $(3{\times}C18:1;50.46%),\;(1{\times}C16:0,\;2{\times}C18:1;23.51%)$ $(2{\times}C18:1,\;1{\times}C18:2;5.48%),\;(1{\times}C18:0,\;2{\times}C18:1;4.55%)$ $(1{\times}C16:0,\;1{\times}C18:1,\;1{\times}C18:2;2.94%)\;(2{\times}C16:0,\;1{\times}C18:1;2.35%)$ $(1{\times}C16:1,\;2{\times}C18:1;2.21%),\;(1{\times}C18:1,\;2{\times}C18:2;1.06%)$, 및 $(1{\times}C14:0,\;2{\times}C18:1;1.03%)$이였다.

  • PDF

복숭아씨 및 살구씨기름의 triglyceride조성(組成) (Triglyceride Compositions of Peach Kernel and Apricot Kernel Oil)

  • 박영호;박진우;김태수;최수안;천석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4호
    • /
    • pp.278-284
    • /
    • 1984
  • 복숭아씨기름 및 살구씨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을 밝히기 위하여 시료유(試料油)로부터 TLC에 의하여 triglyceride를 분리하고, 이것을 HPLC에 의하여 PN 별(別)로 triglyceride를 분획(分劃)하여 분취(分取)하였다. 분취(分取)한 각분획(各劃分)을 GLC에 의하여 acyl 탄소수별(炭素數別)로 재분획(再分劃)하는 한편, 각획분(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분석(分析)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시료유(試料油)의 triglyceride조성(組成)을 산정(算定)하였는데, 산정(算定)할 수 있었던 복숭아씨기름의 triglyceride는 15종류였으며, 이중(中) 주요(主要) triglyceride는 다음과 같다. $(3{\times}C_{18:1},\;30.9%)$, $(2{\times}C_{18:1},\;C_{18:2},\;21.2%)$, $(C_{18:1},\;2{\times}C_{18:2},\;10.6%)$, $(3{\times}C_{18:2},\;3.8%)$, $(C_{18:0},\;2{\times}C_{18:1},\;1.8%)$, $(C_{16:0},\;C_{18:1},\;C_{18:2},\;1.5%)$, $(C_{18:0},\;C_{18:1},\;C_{18:2},\;1.1%)$ 등이다. 또한 살구씨기름의 정우는 산정(算定)할 수 있었던 triglyceride 는 13종류였고, 주요(主要) triglyceride는 다음과 같다. $(3{\times}C_{18:1},\;39.5%)$, $(2{\times}C_{18:1},\;C_{18:2},\;24.5%)$, $(C_{18:1},\;2{\times}C_{18:2},\;14.2%)$, $(3{\times}C_{18:2},\;2.0%)$ 등이다.

  • PDF

먹장어 지질의 주된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조성 (Fatty Acid Combination of Major Triglyceride in Hagfish Flesh Lipids)

  • 이응호;화전준;소천천추;대도민명;야중순삼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1-298
    • /
    • 1984
  • 먹장어근육지질을 Biobeads SX-2 및 Sephadex LH-20을 이용한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걸어 트리글리세리드(TG)획분을 분획하고 이 TG획분을 HPLC에 걸어 partition number별로 분획하였다. 그리고 partition number에 따른 TG조성, 총탄소수에 따른 TG조성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자료를 computer처리하여 TG 구성지방산조합을 추정하였다. 총지질의 경우 포화산 $34.3\%$, monoene산 $43.1\%$, polyene산 $22.7\%$, 중요지방산은 $C_{16:0}(16.6\%),\;C_{16:1}(12.5\%)$$C_{18:1}(28.0\%)$였고, 극성지질은 포화산 $31.8\%$, monoene산 $30.1\%$, polyene산 $38.2\%$, 중요지방산은 $C_{16:0}(15.0\%),\;C_{18:0}(10.8\%),\;C_{18:1}(18.5\%),\;C_{22:5}(16.5\%)$$C_{22:6}(10.3\%)$, TG는 포화산 $29.8\%$, monoene산 $53.1\%$, polyene산 $17.2\%$, 중요지방산은 $C_{16:0}(17.1\%),\;C_{16:1}(10.1\%)$$C_{18:1}(38.4\%)$였다. 전반적으로 보면 $C_{18:1}$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으며, $C_{18:0}/C_{18:1}$의 비는 0.1이였다. 극성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65.5\%$)과 phosphatidyl ethanolamine($28.0\%$)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GLC 자료 및 HPLC에서 얻은 partition number를 사용하여 먹장어 지질 TG의 구성지방산조합을 computer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이중결합을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가지고, 총탄소수는 46에서 58의 범위내에 분포하며, $0.1\%$ 이상 함유될 가능성이 있는 TG는 44종류로 추정되었으며 그 합계는 69.75였고, 중요한 TG는 ($1{\times}C_{16:0},\;2{\times}C_{18:1};\;13.5\%$), ($1{\times}C_{16:0},\;1{\times}C_{18:0},\;1{\times}C_{18:1};\;7.2\%$), ($1{\times}C_{16:1},\;2{\times}C_{18:1};\;5.4\%$), ($2{\times}C_{16:0},\;1{\times}C_{22:5};\;5.2\%$), ($1{\times}C_{14:0},\;2{\times}C_{18:1};\;4.5\%$), ($2{\times}C_{18:1},\;1{\times}C_{22:5};\;3.6\%$), ($1{\times}C_{14:0},\;1{\times}C_{18:0},\;1{\times}C_{18:1};\;2.7\%$) 및 ($1{\times}C_{14:0},\;1{\times}C_{16:0},\;1{\times}C_{18:2};\;2.2\%$)등이었다. 이들 TG중 $C_{18:1}$을 1분자이상 함유하는 것의 조함비의 합계는 $52.4\%$, 2분자이상 함유하는 것은 $35.9\%$였다.

  • PDF

Alditol Acetates의 분자구조 (The Structures of Alditol Acetates)

  • 박영자;박명희;신정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7-526
    • /
    • 1990
  • D-glucitol hexaacetate 와 xylitol pentaacetate의 결정구조를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D-glucitol hexaacetate 는 공간군 P2$_1$, 단위세포 상수는 a = 10.275 (2), b = 8.363 (1), c = 12.560 (5) $\AA$, $\beta$= 95.97 $(2)^{\circ}$; Z = 2이고, xylitol pentaacetate는 공간군이 P2$_1$/C이고, a = 18.126 (1), b = 11.422 (2), c = 8.649 (1) $\AA$, $\beta$ = 95.03 $(1)^{\circ}$이며 Z = 4이다. 회절세기는 diffractomerer로 얻었고,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밝혔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두 분자에 결쳐 결합의 평균길이는 C($sp^3)-C(sp^3$)가 1.514 (10), C($sp^3)-O: 1.444 (6),\; C(sp^2)-O: 1.347 (9),\; C(sp^2)=O: 1.197 (6),\; C(sp^2)-C(sp^3): 1.479(9){\AA}$이고, 평균 결합각도는 C($sp^3)-C(sp^3)-C(sp^3): 114.6 (17),\; O-C(sp^3)-C(sp^3): 109.4 (23),\; C(sp^2)-O-C(sp^3): 117.4 (6),\; O=C(sp^2)-O: 122.6 (6),\; C(sp^3)-C(sp^2)-O: 111.8 (7), C(sp^3)-C(sp^2)=O: 125.5 (4)${\circ}$이다. 두 분자내의 탄소 사슬들은 extended zigzag chain으로 되어 있어 D-glucitol과 xylitol 분자들의 conformation과는 다르다. Acetate group들의 각 원자들은 모두 한 평편상에 놓여있다.

  • PDF

The Geometry of the Space of Symmetric Bilinear Forms on ℝ2 with Octagonal Norm

  • Kim, Sung Guen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6권3호
    • /
    • pp.781-791
    • /
    • 2016
  • Let $d_*(1,w)^2 ={\mathbb{R}}^2$ with the octagonal norm of weight w. It is the two dimensional real predual of Lorentz sequence space.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smooth points of the unit ball of the space of symmetric bilinear forms on $d_*(1,w)^2$. We also show that the unit sphere of the space of symmetric bilinear forms on $d_*(1,w)^2$ is the disjoint union of the sets of smooth points, extreme points and the set A as follows: $$S_{{\mathcal{L}}_s(^2d_*(1,w)^2)}=smB_{{\mathcal{L}}_s(^2d_*(1,w)^2)}{\bigcup}extB_{{\mathcal{L}}_s(^2d_*(1,w)^2)}{\bigcup}A$$, where the set A consists of $ax_1x_2+by_1y_2+c(x_1y_2+x_2y_1)$ with (a = b = 0, $c={\pm}{\frac{1}{1+w^2}}$), ($a{\neq}b$, $ab{\geq}0$, c = 0), (a = b, 0 < ac, 0 < ${\mid}c{\mid}$ < ${\mid}a{\mid}$), ($a{\neq}{\mid}c{\mid}$, a = -b, 0 < ac, 0 < ${\mid}c{\mid}$), ($a={\frac{1-w}{1+w}}$, b = 0, $c={\frac{1}{1+w}}$), ($a={\frac{1+w+w(w^2-3)c}{1+w^2}}$, $b={\frac{w-1+(1-3w^2)c}{w(1+w^2)}}$, ${\frac{1}{2+2w}}$ < c < ${\frac{1}{(1+w)^2(1-w)}}$, $c{\neq}{\frac{1}{1+2w-w^2}}$), ($a={\frac{1+w(1+w)c}{1+w}}$, $b={\frac{-1+(1+w)c}{w(1+w)}}$, 0 < c < $\frac{1}{2+2w}$) or ($a={\frac{1=w(1+w)c}{1+w}}$, $b={\frac{1-(1+w)c}{1+w}}$, $\frac{1}{1+w}$ < c < $\frac{1}{(1+w)^2(1-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