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lanceolat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홍도고들빼기의 형태 다양성 및 잡종 기원의 분자 증거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of the hybrid origin of Crepidiastrum ×muratagenii in Korea)

  • 장영종;박범균;손동찬;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5-96
    • /
    • 2022
  • 홍도고들빼기는 이전 연구에서 형태적 특성과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잡종인 Crepidiastrum ×muratagenii로 제안된 바 있지만, 이에 대한 분자적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홍도고들빼기의 잡종 기원을 밝히기 위하여 홍도고들빼기와 그 근연종의 추가적인 형태적 형질을 관찰하였으며, 핵리보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구간과 엽록체 구간(trnT-L, trnL-F, rpl16 intron, rps16 intron)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잡종형은 생육형, 줄기잎, 외총포편, 수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분자 분석 결과, Type 1형과 Type 2형은 ITS 구간의 종식 별부위에서 혼성화가 관찰되었으며, 엽록체 구간에서는 Type 1형은 이고들빼기, Type 2형은 갯고들빼기 서열이 각각 관찰되었다. Type 3형은 ITS와 엽록체 구간 모두 이고들빼기와 동일한 서열을 보였다. Type 1형과 Type 2형은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형태가 혼합되어 나타날 뿐 아니라, 분자 분석에서도 절영풀이 아닌, 갯고들빼기와 이고들빼기의 종식별부위에서 혼성화가 관찰되어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잡종임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Type 3형은 형태적 형질이 다른 잡종형과 유사하나 외총포편이 이고들빼기와 유사한 점에서 구분되며, 분자 분석에서도 이고들빼기 서열과 동일하여, 이고들빼기의 생태변이로 판단되었다.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Crepidiastrum lanceolatum (Compositae)

  • Huh, Man-Kyu;Choi, Joo-So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9-13
    • /
    • 2002
  • Crepidiastrum lanceolatum ($H_{OUTT}$) $N_{AKAI}$ (Compositae) is distribut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six C. lanceolatum populations in Korea and two populations in Japan were determined using genetic variation at 19 allozyme loci. The percent of polymorphic loci within the enzymes was 42.1%. Genetic diversity at the species level and at the population level was low (Hes : 0.077; Hep : 0.068, respectively), where-as the extent of the population divergence was relatively low ($G_{ST}$ : 0.093). One of the most striking features of this study was th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populations than among populations. An indirect estimate of the number of migrants per generation (Nm : 2.44) indicated that gene flow was moderate among eight populations of the species. In addition, analysis of fixation indices revealed a slight heterozygosity deficiency in some populations and at some loci. Narrow geographic ranges, short-lived perennial herbaceous, and small population sizes are mainly associated with the low level of genetic variation.n.

  • PDF

Wood Chemical Compositions of Raru Species Originating from Central Tapanuli, North Sumatra, Indonesia: Effect of Differences in Wood Species and Log Positions

  • ISWANTO, Apri Heri;TARIGAN, Fazilla Oktaviani;SUSILOWATI, Arida;DARWIS, Atmawi;FATRIASARI, Widya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416-429
    • /
    • 2021
  • Raru is a lesser-known plant species originating from North Sumatra, Indonesia.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is still limited, especially its chemical compon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information of Cotylelobium lanceolatum, Cotylelobium melanoxylon, and Vatica pauciflora woods based on their axial log positions (bottom, middle, and top). The wood 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terms of the Indonesian National Standard (SNI) method. Furthermore, the analysis measured holocellulose, 𝛼-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content, alcohol benzene extractive content, the extractive substance in hot and water, and solubility in NaOH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pecies and their log axial positions affected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which included 𝛼-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of C. lanceolatum amounting to 41.88%, 19.39%, and 28.68% respectively. Meanwhile, for C. Melanoxylon, they were 42.01%, 21.11%, and 24.76% respectively; and for V. pauciflora wood, they were 42.95%, 23.24%, and 30.11%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s of the extractive contents including the solubility in 1: 2 ethanol benzene, NaOH, and hot water for C. lanceolatum, C. melanoxylon, and V. pauciflora wood were (10.58%, 27.62%, 8.13%), (14.54%, 28.22%, 7.82%), and (10.95%, 28.60%, 7.57%) respectively. The wood spec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lignin, cellulose and hemicellulose, and extractive solubility in cold water. Furthermore, the axial log pos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parameter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ood being tested.

홍도고들빼기의 분류학적 실체 (Taxonomic identity of Crepidiastrum ×nakaii recorded on Hongdo Island)

  • 장영종;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8-204
    • /
    • 2021
  • 고들빼기속에 속하는 홍도산 홍도고들빼기의 학명은 이고들빼기와 절영풀의 잡종인 Crepidiastrum ×nakaii로 기록되어 왔다. 홍도 식물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홍도고들빼기의 분류학적 실체를 재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홍도고들빼기의 형태적 특징과 지리적 분포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염기서열을 고들빼기속 근연종들과 비교하였다. 형태적 특성 조사에서, 홍도고들빼기는 짧고 굵은 아관목성 줄기와 8개의 내총포편 및 10 내지 12개의 소화수를 갖는 점에서 갯고들빼기와 유사한 반면, 개화기에 시드는 뿌리잎과 막질로 예 거치인 줄기잎 및 부리가 있는 수과 형태 등에서는 이고들빼기와 유사하였다. 한편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는 홍도와 인근 섬 지역에 자라지만, 절영풀은 분포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 및 분포 조사결과, 홍도고들빼기의 학명은 이고들빼기와 절영풀의 잡종인 C. ×nakaii가 아니라,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잡종인 C. ×muratagenii로 판단된다. 하지만, ITS 염기서열은 조사된 종들을 구별할 수 있는 해상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