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ducibl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수용성 아크릴 변성 알키드수지의 합성과 물성 1.TMPTA그라프트 공중합에 의한 변성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of Acrylic-Modified Water-Reducible Alkyd Resin 1. Modification by TMPTA Graft Copolymerization)

  • 조영호;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823-829
    • /
    • 1993
  • Linseed oil fatty acid(LOFA), phthalic anhydride(PAA) 및 trimellitic anhydride(TMA), trimethylol propane(TMP)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유장(oil length) 50%의 중유성 알키드를 합성하고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TMPTA)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수용성 TMPTA 변성 알키드수지를 제조하였다. 알키드수지의 산가는 TMA함량으로 제어하였으며, 수용화에는 N,N-Dimethylethanol amino(DMEA)를 중화제로 사용하였다. TMA함량에 따른 산가별 내수성 및 수용화의 최적조건을 산출한 후, TMPTA의 첨가량 변화에 의한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수용화 후의 점성도, 그라프트율을 측정하였으며,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여 가교시킨 막의 경화온도별 겔분율변화를 조사하였다. TMA첨가량 5.3~7.0%, 산가 40~50의 범위에서 알키드 수지의 내수성과 수용화가 가장 좋은 균형을 나타냈으며, 변성 알키드수지의 경우 TMPTA의 양이 증가할수록 분자량, 수용액의 점성도, 겔분율은 증가하였으나, 유리전이온도(Tg)는 감소하였다. 고형분 함량에 따른 점성도 변화는 고형분 40%일 때보다 50%일 때가 점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중화도에 따른 수용액의 점성도 변화는 중화도가 높을수록 점성도는 낮아지나 중화도 100~110 사이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MPTA의 그라프트율은 TMPTA의 첨가량이 4wt%인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 PDF

수용성 아크릴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합성과 물성 2. MA 및 TMPTA 공중합체에 의한 변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crylic-Modified Water-Reducible Alkyd Resin 2. Modification by MA and TMPTA Graft Copolymerization)

  • 조영호;강기준;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98-705
    • /
    • 1994
  • Linseed oil fatty acid(LOFA), phthalic anhydride(PAA) 및 maleic anhydride(MA), trimethylol propane(TMP)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유장(oil length) 50%의 중유성 기본 알키드를 합성하고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TMPTA)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수지의 산가는 MA 첨가량으로 제어하였으며, 수용화에는 N,N-dimethylethanol amine(DMEA)를 사용하였다. TMPTA의 첨가량 변화에 의한 분자량, 유리 전이온도, 수용화 후의 점성도 및 그라프트율을 측정하였으며, 가교도막의 경화온도별 겔분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멜라민 수지 경화 도막의 내열성, 내자외선성, 내수성 및 저장 안정성을 측정하고,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의 물성과 비교하였다. TMPTA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용화 후의 점성도, 겔분율, 그라프트율 및 분자량이 증가하였으며, 유리 전이온도(Tg)는 감소하였다. 고형분 함량에 따른 점성도 변화는 고형분 30%일 때보다 40%일 때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중화도에 따른 점성도 변화는 중화도가 높을수록 낮은 점성도를 나타내썼다. 내열성, 내자외선성, 내수성은 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가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보다 우수하였으나, 저장 안정성은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DENTITIES ABOUT LEVEL 2 EISENSTEIN SERIES

  • Xu, Ce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63-81
    • /
    • 2020
  • In this paper we consider certain classes of generalized level 2 Eisenstein series by simple differential calculations of trigonometric functions. In particular, we give four new transformation formulas for some level 2 Eisenstein series. We can find that these level 2 Eisenstein series are reducible to infinite series involving hyperbolic functions. Moreover, some interesting new examples are given.

AN INTRINSIC PROOF OF NUMATA'S THEOREM ON LANDSBERG SPACES

  • Salah Gomaa Elgendi;Amr Soleiman
    • 대한수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49-160
    • /
    • 2024
  • In this paper, we study the unicorn's Landsberg problem from an intrinsic point of view. Precisely, we investigate a coordinate-free proof of Numata's theorem on Landsberg spaces of scalar curvature. In other words, following the pullback approach to Finsler geometry, we prove that all Landsberg spaces of dimension n ≥ 3 of non-zero scalar curvature are Riemannian spaces of constant curvature.

NOTE ON SRIVASTAVA'S TRIFLE HYPERGEOMETRIC SERIES HA AND HC

  • Kim, Yong-Sup;Rathie, Arjun-K.;Choi, June-Sa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81-586
    • /
    • 2003
  • The aim of this note is to consider some interesting reducible cases of $H_{A}\;and\;H_{C}$ introduced by Srivastava who actually noticed the existence of three additional complete triple hypergeometric functions $H_{A},\;H_{B},\;and\;H_{C}$ of the second order in the course of an extensive investigation of Lauricella's fourteen hypergeometric functions of three variables.

A VANISHING THEOREM FOR REDUCIBLE SPACE CURVES AND THE CONSTRUCTION OF SMOOTH SPACE CURVES IN THE RANGE C

  • Ballico, Edoard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05-111
    • /
    • 2019
  • Let $Y{\subset}{\mathbb{P}}^3$ be a degree d reduced curve with only planar singularities. We prove that $h^i({\mathcal{I}}_Y(t))=0$, i = 1, 2, for all $t{\geq}d-2$. We use this result and linkage to construct some triples (d, g, s), $d>s^2$, with very large g for which there is a smooth and connected curve of degree d and genus g, $h^0({\mathcal{I}}_C(s))=1$ and describe the Hartshorne-Rao module of C.

답토양(沓土壤)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따른 철(鐵) 및 망간의 이동집적(移動集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Accumulation of Iron and Manganese in Relation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s)

  • 신천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3호
    • /
    • pp.123-144
    • /
    • 1975
  • 답토양(畓土壤)의 특징적(特徵的) 현상(現象)인 철(鐵) 및 망간의 이동집적(移動集積) 양상(樣相)을 그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관련(關聯)하여 추구(追求)하는 동시(同時), 철(鐵)의 집적증(集積層)을 정량적(定量)的)으로 판단(判斷)하는 방법(方法)을 모색(模索)하기 위(爲)하여 우리나라 답토양(畓土壤)의 표토중(表土中)에 함유(含有)하고 있는 활성철(活性鐵) 및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하였고 주요(主要) 답토양(畓土讓)의 형태(形態) 및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층위별(層位別) 철(鐵) 및 망간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표토(表土)의 활성철(活性鐵) 및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은 토양(土壞)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할수록 많으며 동일배수조건(同一排求條件)에 있어서는 모래가 많을수록 적었다. 2. 표토(表土)의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은 배수조건(排水條件) 및 토성(土性)과는 관계(關係)없이 점토(粘土) 및 미사(微砂)의 총함량(總含豊)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hat{y}=0.3929+(0.0352{\times}clay%)+(0.0001023{\times}silt%)$$ 그러나 점토함량(粘土含量)과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함량간(含量間)에는 상관(相關)이 없 었다. 3. 토양통별(土壤統別) 각(各) 층위(層位)의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y)과 전철함량(全鐵含量)(x)간(間)에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어 다음과 같은 회귀식(回歸式)으로 표시(表示)할 수 있었다. $$y=0.361x-0.480(r=0.651^{**})$$ 그러나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은 전(全)망간 함량(含量)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은 있을 뿐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4. 철(鐵) 및 망간의 집적(集積)은 어느 답토양(畓土壤)에서나 볼수 있으나 현저(顯著)한 집적(集穫)은 배수(排水)가 약간(若干) 양호(良好)한 식질(植質) 및 식양질토양(植壤質土壤)에 형성(形成)되며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답토양(畓土壤)에서는 토성(土性)에 관계(關係)없이 표토(表土)에 집적(集積)됨을 볼 수 있다. 5. 철(鐵)의 집적층판단(集積層判斷)은 단면관찰(斷面觀察) 또는 층위간(層位間)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만으로는 불충분(不充分)하며 전철(全鐵) 대(對) 활성철(活性鐵)의 비(比) 그리고 점토(粘土) 및 미사함량(微砂含量)으로 측정(推定)한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을 기초(基礎)로 하여야 하며 망간의 집적층(集積層)은 전(全)망간 및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과 그들의 비(比)로 추정(推定)하여야 할 것이다.

  • PDF

Efficient Signature Schemes from R-LWE

  • Wang, Ting;Yu, Jianping;Zhang, Peng;Zhang, Y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8호
    • /
    • pp.3911-3924
    • /
    • 2016
  • Compared to the classical cryptography, lattice-based cryptography is more secure, flexible and simple, and it is believed to be secure against quantum computers. In this paper, an efficient signature scheme is proposed from the ring learning with errors (R-LWE), which avoids sampling from discrete Gaussians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ch simpler description etc. Then, the scheme is implemented in C/C++ and makes a comparison with the RSA signature scheme in detail. Additionally, a linearly homomorphic signature scheme without trapdoor is proposed from the R-LWE assumption. The security of the above two schemes are reducible to the worst-case hardness of shortest vectors on ideal lattices. The security analyses indicate the proposed schemes are unforgeable under chosen message attack model, and the efficiency analyses also show that the above schemes are much more efficient than other correlative signature schemes.

공주 금흥매립지의 중간복토재 및 차수재(논토양)의 중금속 오염과 존재형태 연구 (Contamination and Geo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Middle Cover Soils and Clay Liner from the Kumheung Landfill, Gongju City)

  • 이평구;박성원;염승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3호
    • /
    • pp.283-299
    • /
    • 2001
  • 공주시 금흥 생활쓰레기 매립지의 중간 복토재와 차수재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해 0.1N HCI 용축, 전함량 분석 및 연속추출분석을 실시하여 As, Ba, Cd, Co, Cr, Cu, Fe, Mn, Ni, Pb, Sr, Ti와 Zn 함량을 ICP-AES로 분석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오염되지 않은 토양과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연속추출 결과, Cu는 유기물이 용해되는 단계에서 우세하였으며, As, Ni, Sr, Ba와 Mn은 이온교환단계에서 우세하였다. 대부분의 Zn와 Mn은 산화광물, 탄산염광물 및 규산염광물과 수반되었다. Cd와 Pb는 주로 산화광물과 유기물과 수반되었다. Co, Cr, Fe와 Ti의 주요 운반자는 규산염광물이었으며, 다음으로 중요한 운반자는 산화광물이었다. 중간복토재와 차수재 시료에서 유기물과 수반된 금속의 백분율은 Cu(48%)〉Ti(42%)〉Pb(27%)〉As(25%)〉Cd(20%)의 순이었다. 연속추출결과를 근거로 추정하면, 중간복토재와 차수재에 함유된 금속의 이동도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 Cd〉Sr〉Ni〉Mn〉Ba〉Cu〉Pb〉Zn〉〉Co〉Ti〉Fe〉Cr. 'Geoaccmulation index'와 'enrichment factor'에 근거하면, 금흥 매립지와 농경지에서 채취한 시료들은 Cu, Ni과 Cr의 오염수준이 의미가 있었다. 이들 원소의 농집은 오염에 기인하였다.

  • PDF

A Note on Unavoidable Sets for a Spherical Curve of Reductivity Four

  • Kashiwabara, Kenji;Shimizu, Ayaka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9권4호
    • /
    • pp.821-834
    • /
    • 2019
  • The reductivity of a spherical curve is the minimal number of times a particular local transformation called an inverse-half-twisted splice is required to obtain a reducible spherical curve from the initial spherical curve. It is unknown if there exists a spherical curve whose reductivity is four. In this paper, an unavoidable set of configurations for a spherical curve with reductivity four is given by focusing on 5-gons. It has also been unknown if there exists a reduced spherical curve which has no 2-gons and 3-gons of type A, B and C. This paper gives the answer to this question by constructing such a spherical cu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