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bstacles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군 전술컴퓨터의 인간공학적 메인버튼 설계 (User-interface Considerations for the Main Button Layout of the Tactical Computer for Korea Army)

  • 백승창;정의승;박성준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7-154
    • /
    • 2009
  • The tactical computer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installed in armored vehicles and tanks for reinforcement. With the tactical computer, Korea Army will be able to grasp the deployment status of our forces, enemy, and obstacles under varying situations. Furthermore, it makes the exchange of command and tactical intelligence possible. Recent studies showed that the task performance is greatly affected by the user interface. The U.S. Army is now conducting user-centered evaluation tests based on C2 (Command & Control) to develop tactical intelligence machinery and tool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nd regroup subordinate menu functions according to the user-centered task performance for the Korea Army's tactical computer. Also, the research suggests an ergonomically sound layout and size of main touch buttons by considering human factors guidelines for button design. To achieve this goal, eight hierarchical subordinate menu functions are initially drawn through clustering analysis and then each group of menu functions was renamed. Based on the suggested menu structure, new location and size of the buttons were tested in terms of response time, number of error, and subjective preference by comparing them to existing on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best performance was obtained when the number of buttons or functions was eight to conduct tactical missions. Also, the improved button size and location were suggested through the experiment. It was found in addition tha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buttons had interactions regarding the user's preference.

TI-73 계산기를 활용한 초등 5학년 수학 영재 학급의 수업 분석 (An Analysis of Using TI-73 Calculator for the 5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Math Gifted Class)

  • 강영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315-331
    • /
    • 2013
  • 본 연구는 포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TI-73 계산기를 활용하여 좌표, 백분율, 소인수분해에 대한 수업의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계산기 활용이 영재 학생들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계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이들 각 차시의 내용에 대해 활동지를 각각 제작하였고, 3주에 걸쳐 80분씩 3차례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동영상 촬영, 학생과의 인터뷰,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동영상, 녹음 자료는 녹취록을 작성하여 이를 토대로 코딩 작업을 하였다. 코드의 결합과 분해를 반복함으로써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계산기 사용에 대한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계산기, 지필환경의 범위를 넘어선 과제 해결을 위한 계산기, 계산기 활용에 대한 남녀의 성차 존재, 학습에 영향을 주는 계산기의 제한점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전자무역 활용상 전자대금결제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Applications of International Electronic Payment System in e-Trade)

  • 안재진
    • 정보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85-105
    • /
    • 2003
  • 전자무역은 현재 일부 무역거래단계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모든 무역거래단계로 확대시키기 위하여 업계 및 각국의 정부당국, 그리고 국제기구의 노력들이 부단히 행해지고 있다. 전통적 무역거래를 전자무역으로 대체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은 국제대금결제시스템을 전자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궁극적으로 전자무역거래의 완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자무역의 구현에 있어서 시급하고도 중요한 핵심과제가 되고 있다.

  • PDF

인지언어 및 메타정의의 관점에서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f Problem-Solving Protocol of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from Cognitive Linguistic and Meta-affect Viewpoint)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4호
    • /
    • pp.223-237
    • /
    • 2019
  • 수학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 구문론적 표현 체계와 정의적 표현 체계 사이에는 긴밀한 상호 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수학적 개념 체계도 본질적으로 은유적이므로 언어적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수학적 개념 구조에 대한 분석은 수학 학습에 작용하는 인지 정의적 장애 요인의 근원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프로토콜을 인지언어와 메타정의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텍스트 및 은유의 기능적 특성과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문제해결의 성공 여부에 따라 수학 영재아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반영된 행위의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성공적이지 못한 문제해결의 경우에는 성공적인 경우에 비해 내부 표현 체계로서의 은유를 활용하는 행위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은유의 인지언어학적 측면이 문제해결에 중요하게 작용하면서 동시에 은유라는 외적 표현에는 메타정의적 속성이 긴밀하게 관련되어 나타났다.

오메가-3 지방산 및 푸코잔틴 고함량 토착 규조류 아크난티디움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digenous Marine Diatom Achnanthidium sp. BS-001 Producing a high Content of Omega-3 Fatty Acid and Fucoxanthin Production)

  • 김우림;조대현;허진아;김희식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22
    • /
    • 2019
  • Omega-3 fatty acids and carotenoids, which are known as representative high-value substances derived from microalgae, are being studied from various diatoms. Most of the diatoms contain fucoxanthin and omega-3 fatty acid. Fucoxanthin produced by diatom has been reported as bioactive compounds exhibiting strong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the low growth rate and fucoxanthin content of diatoms are one of the big obstacles to the industrial application. In this study, indigenous marine diatom Achnanthidium sp. BS-001 was isolated for a candidate of fucoxanthin producer. L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for the culture of Achnanthidium sp. BS-001 were optimized on PhotoBiobox. Optimization of silicate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BS-001 biomass productivity was confirmed in F/2 medium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sodium silicate. As a result, condition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silicate concentration for optimal cultivation were $150{\mu}mol{\cdot}m^{-2}{\cdot}s^{-1}$, $18^{\circ}C$ and 0.106 mM, respectively. Maximum biomass productivity reaches to $154.3mg{\cdot}L^{-1}{\cdot}day^{-1}$, and then the content of omega-3 fatty acids and fucoxanthin were $19.4mg{\cdot}g^{-1}$, $9.05mg{\cdot}g^{-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hnanthidium sp. BS-001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source of omega-3 fatty acids and fucoxanthin.

카본제조 부생가스 배출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Carbon Manufacturing By-product Gas Emissions)

  • 주종율;정필훈;김상길;이성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9-106
    • /
    • 2024
  •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facility shutdown during process operation, the by-product gas must be urgently discharged to the vent stack to prevent leakage, fire, and explosion. At this time, the explosion drop value of the released by-product gas is calculated using ISO 10156 formula, which is 27.7 vol%. Therefore, it does not correspond to flammable gas because it is less than 13% of the explosion drop value, which is the standard for flammable gas defin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since the explosion drop value is high, it can be seen that the risk of fire explosion is low even if it is discharged urgently with the vent stock.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range of explosion hazard sites for hydrogen gas discharged to the Bent Stack according to KS C IEC 60079-10-1, 23 meters were calculated. Since hydrogen is lighter than air, electromechanical devices should not be installed within 23 meter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Stack, and if it is not possible, an explosion-proof electromechanical device suitable for type 1 of dangerous place should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tack should be at least 5 meters so that the diffusion of by-product gas is facilitated in case of emergency discharge, and it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re are no obstacles around it.

방향 측정 RFID를 이용한 로봇 이동 시스템 (RFID Based Mobile Robot Docking Using Estimated DOA)

  • 김명식;김광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9호
    • /
    • pp.802-810
    • /
    • 2012
  • 본 논문은 RFID를 이용한 이동 로봇의 목표물 탐지 및 이동 시스템에 대해 소개한다. RFID는 전파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인식 시스템으로 RFID를 통해 로봇은 비전 등 다른 시스템의 도움 없이 간단하게 주변 물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인식한 물체로 이동해야 하지만 현재의 RFID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의 도래 방향을 이용한 로봇 이동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두 축 안테나를 이용, 목표물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의 수신된 전파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도래 방향을 측정한다. 로봇은 측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지도나 기준 스테이션 등의 다른 시스템 없이 간단하게 물체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파는 금속이나 액체 등 주변 환경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아 측정 방향에 오차가 발생, 주변 장애물이 많은 복잡한 환경에서는 이동에 실패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filter 기반 오차 보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은 현재 측정값과 이전의 보정값의 분산값들의 차이를 이용, 현재의 측정값에 포함되어 있는 오차를 낮춤으로써 로봇이 방향을 잃지 않고,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시뮬레이션 및 실제 로봇을 이용한 실험 결과는 복잡한 환경에서도 로봇이 성공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DGNSS 기준국 관측환경 분석 (Analysis of GPS signal environment at DGNSS stations)

  • 손동효;박관동;원지혜;최용권;기창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625-62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 위성항법중앙사무소가 운영하고 있는 17곳 DGNSS 기준국의 신호수신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자료의 TEQC 프로그램 품질평가, 가시성 분석 및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TEQC 프로그램 수행결과 팔미도, 어청도, 거문도, 평창, 성주, 충주 기준국의 일부 지수가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6곳을 제외한 품질평가지수는 평균 98%의 데이터수신율과 0.19m의 L1 의사거리 다중경로 오차, 0.71m의 L2 의사거리 다중경로 오차가 나타났으며, 사이클슬립은 1000회 관측당 평균 1.3회 수준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기준국들은 최적의 환경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팔미도와 어청도의 경우 데이터수신율이 낮았다. 이는 L2C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들의 P2 신호를 기록하지 못하여 수신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거문도의 경우 주변 장애물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설치된 관측장비 또는 설비문제로 인하여 품질지수가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평창은 남쪽에서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야산이 폭 넓게 위치하고 있어 데이터 수신율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기준국으로 확인되었다. 4개의 품질평가지수가 모두 좋지 않은 성주와 충주는 주변 환경이 다른 기준국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설치된 관측장비에 의해 신호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추정되어 비교실험을 통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사암침법(舍巖鍼法)의 변형(變形)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variational Forms of Sa-Ahm's 5 Element Acupuncture Method)

  • 김달호;김중한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37-380
    • /
    • 1996
  • 'Nei Jing(內徑)' first define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rue and tile false between evil factor affecting health(雅氣) and vital essence energy(精氣). According to 「'Nei Jing(內徑)', the above interrelationship is explained as 'If state of evil domination is considered as sthenia-syndrome(雅氣盛則實), if the consumption of healthy energy Is considered as asenia-syndrome(精氣尊則虛): 'Nei Jing(內徑)', proposed major features of the medicall treatment by 'regluate the vatal energy of asthenia and sthenia, treat the sthenia-syndrome by purgation, and treat the asenia-syndrome by therapy of invigoration(調其氣之虛實, 實則瀉之, 虛則補之): The above interrelationship was interpreted as 'treat the asthenia-syndrome of child organ by invigorating the mother organ(虛者補其母)'in the 69th of 'The Classic on Difficulty',(難經 六十九難). Go-Mu(高武) of Myung-dynasty describe therapy for invigoration and purgation of itself-meridian(自經 補瀉法), which locating acupuncture points according to the Therorr of Five Element in the five shu points of itself-meridian(自經 五유穴), based on the generation in the ${\ulcorner}$A Synthetical Book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針灸聚英)${\lrcorner}$, Sae-hyun Jang(張世賢) further extended location acupuncture points of the five shu points to the other-meridian in the ${\ulcorner}$Gyeo Jung Do Ju Nan Gyung(校正圖註難經)${\lrcorner}$ Sa-Ahm's 5 Element Acupuncture Method(舍嚴五行鍼法) was originated in 1644, the middle of the Yi-dynasty. It linked the reinforcing and reducing in acupuncture therapy which incorporated tlle asthenia-syndrome and sthenia-syndrome of the hollow organs, based on principle of the Yin Yang 5 Element Theory(陰陽五行學說), not only to the generation in the 5 element(相生關係) but also to the restriction in the 5 element(相剋關係). Furthermore it was devised for the medical treatment by comning therapy for invigoration and purgation of itself-meridian(自經 補瀉法) with that of the other-meridian. Even though many original forms(正形) of the therapy for invigoration and purgation of the Yin Yang 5 Element Theory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the generation and the restric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Yin Yang 5 Element Theory are abailable, variational forms(變形) are also recognized by examining the nature of the Sa-Ahm's 5 Element Acupuncture Method(舍嚴五行鍼法), 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a-Ahm's 5 Element Acupuncture Method(舍嚴五行鍼法) thoroughly. therefore, those variational forms are obstacles for the beginners to study the Sa-Ahm's 5 Element Acupuncture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practical clinical application of the Sa-Ahm's 5 Element Acupuncture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principle was based on the variations of the locating acupuncture points' method for the acupuncture prescription.

  • PDF

CE-QUAL-W2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탁수의 시공간분포 모의 (Simulation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Induced Turbidity Flow in a Reservoir Using CE-QUAL-W2)

  • 정세웅;오정국;고익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8호
    • /
    • pp.655-664
    • /
    • 2005
  • 저수지를 통한 수자윈의 지속적 확보와 이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탁수의 장기발생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고자 실시간 탁수 감시와 예측시스템(RTMMS)을 구축 중이며, 2004년 홍수기 동안 대청호를 대상으로 유입하는 탁수의 수리 및 수질특성을 조사하고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 및 수질모형인 CE-QUAL-W2(W2)를 적용하여 탁수의 밀도류 거동과 시${\cdot}$공간적 분포를 예측하고 실측값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강우사상 동안 하천 수온은 $5{\sim}10^{\circ}C$ 정도 하강하였으며 탁수가 저수지내에서 밀도류를 형성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적용된 W2모형은 수온의 성층구조 변화와 탁수의 침강점, 도달시간, 중층밀도류 두께 등 탁수의 거동특성을 비교적 잘 모의하였다. 그러나 국부적으로 탁수가 위치한 중층과 탁수 유입 전에 형성되었던 전이층에서 수온과 탁도의 모의값과 실측값이 유의할 만한 오차를 보였다. 펜티엄급 PC(CPU 2.0GHz)로 홍수기 전체기간 모의에 소요된 시간은 약 4분으로써 모형은 계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실시간 모의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