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glycosylflavon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가을강아지풀의 C-Glycosylflavone 성분 (C-Glycosylflavonoids from the Whole Plants of Setaria faberi Herrmann)

  • 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2-225
    • /
    • 2016
  • Four flavon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s of Setaria faberi Herrmann (Gramine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tricin (1), and three C-glycosylflavone, 2"-O-rhamnosylvitexin (2), 2"-O-rhamnosylscoparin (3), and 2"-O-rhamnosylorientin (4), respectively, by spectroscopic analysis.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aysin(C-glycosylflavone) isolated from Silks of Zea mays L.

  • Kim, Sun-Lim;Snook, Maurice-E;Lee, Jong-Oc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92-396
    • /
    • 2003
  • Maysin, a C-glycosylflavone, was isolated from the silks of maize, Zea mays L. The ESI mass spectrum indicates that molecular weight of maysin is $577\textrm{M}^+$m/z, and the ether-linked sugar is rhamnose, $431\textrm{M}^+$m/z (MW$^{+}$-146).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aysin was higher than that of rutin. However, as compared with its aglycon luteolin, maysin showed the relatively moderate DPPH scavenging activity mainly due to the glycosylation of two sugars moieties, keto-fucose and rhamnose. In the in vitro cytotoxicity test against the five human tumor cell lines such as lung (A549), ovarian (SK-OV-3), melanoma (SK-MEL-2), central nerve system (XF-489), and colon (HCT-15), maysin exhibited the relatively weaker activities than cisplatin. The $\textrm{ED}_{50}$ values of maysin were 62.24, 43.18, 16.83, 37.22, and 32.09/$m\ell$, respectively. Result suggests that maysin is a potential cytotoxicity compound, particularly for human colon, central nerve system, and melanoma tumors.s.

물들메나무(Fraxinus chiisanensis)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고(再考) (A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Fraxinus chiisanensis (Oleaceae) in Korea)

  • 민웅기;전정일;장진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66-276
    • /
    • 2001
  • 물들메나무(F. chiisanensis Nakai)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에 자생하는 4종(種)(쇠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 물들메나무, 들메나무)과 근연종으로 판단되는 중국, 일본의 F. platypofa Oliv.의 형태 및 flavonoids분석을 실시하였다. 물들메나무는 화서가 전년지(前年技)에 달리며 꽃잎이 없고 꽃받침이 존재하며, 나아(裸芽)(naked bud)를 가져 화서가 당년지(들에나무제외)에 달리거나 인아(鱗芽)(scaled bud)를 가지는 다른 3종(種)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한편, flavonoids성분에서는 다른 3종(種)에서 flavonols와 C-glycosylflavone, flavanone 성분이 존재한 반면(물푸레나무형) 물들메나무에서는 3종류의 flavonoids 이외의 flavones성분이 확인(물들메나무형)되어 뚜렷한 종의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물들메나무는 전북 내장산, 덕유산, 충청북도 민주지산, 전라남도 지리산, 백운산 등 전라남북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서 기존의 들메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자연 교잡종이라는 주장보다는 독립종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형태적 특정에 의해 물들메나무는 들메나무아속(亞屬)(subgen. Fraxinus) 물들메나무절(節)(sect. Melioides)에 속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물들메나무절(節)의 F. platypoda Oliv.는 인아(scaled bud)를 가지며 사과의 날개가 꽃받침까지 내려오며 화학적으로는 물푸레나무형이 확인되어 물들메나무와는 근연관계가 없고 오히려 북미대륙에 분포하는 동일 절(section)의 4종이 물들메나무에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