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 이중결합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4초

Candida payapsilosis가 홍삼엑기스의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ndide parapsilosis on the Changes in Various Components of Korea Red Ginseng Extract)

  • 양재원;노길봉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9
  • 부패된 홍미삼엑기스로부터 분리동정한 내삼투압성 효모인 C. parapsilosis가 홍미삼엑기스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 parapsilosis를 배양하면서 pH의 변화, ginsenoside의 함량, 지방산, phenol 화합물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엑기스를 소량 첨가하였을 때는 배지의 pH에 다소 영향을 주었으나 엑기스를 다량(10~20%) 첨가하였을 때는 pH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 parapsilosis는 홍삼엑기스의 사포닌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사포닌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사포닌 중량 첨가에 따른 생육 촉진경향 혹은 저해현상도 없었다. C. parapsilosis의 홍미삼엑기스의 유리당 이용 패턴은 glucose, fructose 등 단당류를 먼저 흡수 이용하고 다음에 sucrose, maltose 등을 2차적으로 이용하였다. 홍미삼엑기스의 대부분의 지방산은 C. parapsilosis 생육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중결합이 없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페놀화합물 중 maltol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 외에 vanillic acid, m-coumaic acid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산은 배양 전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특히 arginine은 완전 소진되었다.

  • PDF

안트라센 유도체-합성DNA의 결합형태와 에너지전달과정에서 구아닌 염기의 아민기의 역할 (Binding Properties of Anthryl Derivatives to Synthetic Polynucleotide and the Role of Guanine Amine Group in the Energy Transfer)

  • 조창범;손관수;한성욱;정맹준;정현숙;이길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5-51
    • /
    • 2000
  • 안트라센 유도체-합성DNA의 결합형태를 여러 가지 분광학적인 방법들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Methylamine과 methylethylenediamine, 즉, 길이가 다른 곁사슬을 가지는 안트라센 유도체들이 poly[d(A-T)2]와 $poly[d(G-C)_2]$의 이중나선에 결합했을 때의 분광학적인 특성은 흡광, 원편광스펙트럼에서 봉우리의 장파장으로 이동, 흡광도의 감소를 볼 수 있으며, 선편광스펙트럼에서는 DNA흡광 영역에서 강한 음의 봉우리가 나타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안트라센·유도체들이 위의 두 가지 DNA의 염기쌍 사이에 삽입이 되어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곁사슬의 길이에 따른 분광학적인 특성에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곁사슬의 길이는 결합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앓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강한 에너지의 전달이 $pdy[d(A-T)_2]$$poly[d(I-C)_2]$에는 일어나지만 $poly[d(G-C)_2]$에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poly[d(G-C)_2]$의 작은 흠쪽에 돌출해 있는 아민기가 DNA염기로부터의 에너지의 전달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소랄렌 유도체와 티민의 광화학 반응에 관한 이론적 연구(Ⅳ). 아자소랄렌과 티민의 광생성물의 구조 (Theoretical Studies on the Photochemical Reaction of Psoralen Derivatives with Thymine(Ⅳ). Photoadducts of Azapsoralen with Thymine)

  • 김자홍;손성호;양기수;홍성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38-343
    • /
    • 1995
  • 피부에 대한 광증감 효과를 나타내는 소랄렌의 유도체중 8-azapsoralen and 4,4',5'-trimethyl-8-azapsoralen과 티민의 전자상태를 반경험적 분자궤도법으로 고찰하였다. 소랄렌 유도체와 티민 사이의 분자착물 형성에서 가능성 있는 배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들뜬 상태의 azapsoralen과 바닥상태의 티민의 전하 이동량을 결정하고, 반응 위치인 3,4-탄소와 4'5'-탄소 이중결합과의 광부가 생성물의 입체구조는 trans-anti형의 Azaps(3,4)<>Thy(5,6) 결합과 4,4',5'-trimethyl-8-azapsoralen (3,4) < > Thymine(5,6) 결합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곁사슬에 모노-아조벤젠기를 갖는 비선형 광학 폴리퀴논디이민의 합성과 성질에 관한 연구 (Th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onlinear Optical Polyquinonediimine Containing Mono-Azobenzene Group in the Side Chain)

  • 이상배;양정성;박동규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737-74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곁사슬에 mono-azobenzene 그룹을 갖는 polyquinonediimine (PQDI)을 TiCl$_4$ 존재 하에서 축합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단량체와 고분자는 FT-IR과 $^1$H-NMR로 확인하였으며, 특히 적외선 스펙트럼에 의하여 고분자의 특성 피크인 1625$cm^{-1}$ / 부근에서 >C=N 이중결합이 형성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Mono-azobenzene이 양쪽 측쇄에 붙어있는 PQDI는 유전상수가 작은 극성용매에는 극히 부분적으로 용해성을 가졌으며 비극성 용매에는 거의 녹지 않았으나 황산과 $CH_3$SO$_3$H와 같은 강산에는 좋은 용해성을 보여주었다. GPC에 의한 분자량 분포는 1.74로 제법 넓은 분포를 가졌고, X-ray분석으로부터 날은 각도의 영역에서 부분적 결정성을 보였으며, 1$25^{\circ}C$로 열처리 후에는 무정형 고분자임을 확인하였다. 고분자의 열 분석에 의하면, TGA측정에서는 308$^{\circ}C$에서 분해온도가 나타나므로 열적으로 안정한 고분자임을 알 수 있으며, DSC에 의한 T$_{g}$ 값은 1$25^{\circ}C$이었고, mono-azobenzene이 유도체로 결합된 PQDI를 이 온도에서 분극 처리시킨 NLO-active한 PQDI의 SHG값은 8.6 pm/V 값을 가졌고, 경시 안정성의 측정 결과 초기 상태에서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100시간 후에는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 PDF

CLA의 생물학적 기능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 하영래;김정옥;김영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65-973
    • /
    • 2017
  • CLA는 탄소가 18개(C18)인 linoleic acid의 이중결합이 C9,C11; C10,C12 위치로 이동됨으로 생성되는 입체이성(c,c; c,t; t,c; t,t)체를 총괄적으로 일컷는 말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성체 중에서 c9,t11-CLA가 rumen bacteria, lactic bacteria, 버섯균 등의 linoleate isomerase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합성된다. 그러나 linoleic acid를 알카리 이성화로 합성한 CLA에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CLA 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중 c9,t11-CLA와 t10,c12-CLA가 약 45%씩 동일량 존재한다. CLA가 1939 년 linoleic acid의 elaidinization 반응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과학적인 이용가치가 없어 과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7년에 CLA가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으로 유도한 mouse skin carcinogenesis에서 항암성이 있다는 보고 이후 CLA에 관한 연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까지 약 6,100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CLA와 c9,t11-CLA 및 t10,c12-CLA 이성체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암성, 항당뇨성, 항혈압성, 항동맥경화성, 면역증강성, 항산화성, 체지방감소성, testosterone 생산성 등의 생물학적 기능이 갖는다고 밝혀졌다. 이들 생리활성에 c9,t11-CLA와 t10,c12-CLA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다른 활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합성 CLA에 소량 혼합되어 있는 t,t-CLA가 carcinogen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이나 암세포에서 다른 이성체 보다 강한 항암성을 보이는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CLA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39년부터 현재까지의 CLA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밝혀진 주요 기능성을 보고한다.

등줄숭어 란유의 Nonrandom 분포를 한 왁스에스테르 조성에 관한 연구 (Nonrandom Combination of Fatty Acid and Alcohol Moieties in Wax Esters from Liza Carinata Roe)

  • 조용계;이경희;조연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4-632
    • /
    • 1989
  • 등줄숭어알 지질조성은 왁스에스테르(56.6-62.2%), 인지질 (19.2-18.5%), 트리글리세리드 (17.8-14.4%)의 순이었다. 왁스에스테르의 주요지방산은 C16 : 1 (25.9-27.3%)>C18 : 1(14.7-18.5%)>$C20 : 5{\omega}3$(16.3-9.6%)의 순이었으며, 알콜은 C16 : 0(57.3-53.3%)>C18 : 0(9.3-11.7%)>C18 : 1(18.9-12.7%)의 순이었다. 이중결합 2개 이상의 고도불포화 알콜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홀수지방산(6.4-8.5%)과 알콜(7.4-7.5%)도 상당량 존재하였다. 수소첨가한 왁스에스테르는 탄소수별로 분리되었으나, 같은 탄소수를 가진 이성체는 분리되지 않았다. 왁스에스테르 분자종의 조성을 보면 시료 A의 경우는 C32(45.0%)>C34(19.2%)>C30(12.2%)순이었고, 시료 B의 경우는 C34(36.3%)>C32(31.4%)C36(18.1%)의 순이었다. 왁스에스테르는 구성지방산과 알콜이 nonrandom combination으로 에스테르화 되었으며, 이를 $360^{\circ}C$에서 40분간 가열하면 완전히 random화 됨을 알 수 있었다. 등줄숭어에 존재하는 왁스에스테르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는 기질인 지방산과 알콜 탄소수에 강한 특이성을 가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BN 코팅층의 광학 특성에 관한 연구

  • 김경태;이성훈;이건환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2-12
    • /
    • 2002
  • hexagonal Boron Nitride (hBN), rhombohedral Boron Nitride (rBN)과 고밀도의 wurzitic Boron N Nitride (wBN), cubic Boron Nitride (cBN) 등의 다양한 상을 갖는 Boron nitride는 그 결정구조에 따라 저밀도, 고밀도 박막으로 분류되며 이중 hBN과 rBN은 층간 결합이 약한 $sp^2$ 결합특성을 가지고, wBN 과 cBN은 강한 $sp^3$ 결합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sp^3$결합을 갖는 BN의 우수한 특성을 응용하기 위한 수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다. 특히 cBN은 다이아몬드에 버금가는 높은 경도뿐만 아니라 높은 화 학적 안정성 및 열전도성 등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마찰.마모, 전자, 광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의 산업적 응용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BN박막의 기계적 물성과 관련한 연 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전기.전자적,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N박막의 또 다른 웅용 분야를 탐색하고자 ME - ARE (Magnetically Enhanced A Activated Reactive Evaporation)법 에 의 해 합성 된 BN박막의 광학적 특성 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BN박 막합성 은 전자총에 의 해 증발된 보론과 질소.아르곤 플라즈마의 활성 화반응증착(Activated Reactive E Evaporation)에 의해 이루어졌다. 기존의 ARE장치와 달리 열음극(hot cathode)과 양극(anode)사이에 평 행자기장을 부가하여 플라즈마의 증대시켜 반웅효율을 높였다. 합성실험용 모재로는 기본적인 특성 분 석을 위해 p-type으로 도핑된 (100) Si웨이퍼를 $30{\times}40mm$크기로 절단 후, 10%로 희석된 완충불산용액 에 10분간 침적하여 표면의 산화층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으며, 광학특성 분석을 위해 $30{\times}30mm$의 glass를 아세톤으로 탈지.세척한 후 사용하였다. 박막합성실험에서 BN의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공정변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판바이어스 전압, discharge 전류, $Ar/N_2$가스 유량비 등을 달리하여 증착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FTIR 분석을 통하 여 결정성을 확인하였으며, AFM 분석을 통하여 코팅층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UV - VIS spectormeter를 이용하여 투광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루테늄 지르코니아 불균일 촉매를 이용한 알켄 또는 알킨의 효과적인 산화절단반응 (Efficient Oxidative Scission of Alkenes or Alkynes with Heterogeneous Ruthenium Zirconia Catalyst)

  • 모비나 이르샤드;최봉길;강온유;홍석복;황성연;허영민;김정원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59-663
    • /
    • 2016
  • 알켄 또는 알킨의 산화 반응이 루테늄 지르코니아 불균일 촉매에 의해 매우 선택적이며 효율적으로 전환되었다. 절단반응을 통해, C-C 이중 결합은 알데히드 관능기로, 삼중 결합은 다이케톤 또는 카르복시산으로 전환되었는데, 다양한 기질들이 $30^{\circ}C$에서 $PhI(OAc)_2$ 산화제와 dichloromethane 및 물(각각 5 mL와 0.5 mL)의 혼합 용매 조건에서 반응이 수행되었다. 사용된 촉매 $Ru(OH)_x/ZrO_2$는 이 절단 반응에 대해 기존의 다른 루테늄 기반 불균일 또는 균일 촉매들보다 더 좋은 활성과 선택성을 보였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제조된 촉매의 기계적인 물성은 안정적이었고, 금속의 침출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불포화된 탄화수소들의 산화적 절단에 대해, 합성된 촉매는 여러 번 재사용해도 그 촉매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인산염계 기능성 단량체가 첨가된 수종의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 세라믹 사이 열순환 전후 전단결합강도 비교 (Evaluation of shear-bond strength between different self-adhesive resin cements with phosphate monomer and zirconia ceramic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 이지훈;김민경;이정진;안승근;박주미;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18-324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인산염계 기능성 단량체가 첨가된 5종의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 사이의 열순환 전후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Airborne particle abrasion ($50{\mu}m$ $Al_2O_3$)을 시행한 디스크 모양의 Y-TZP 지르코니아 블록을 총 100개 준비하였다. 그리고 composite resin cylinder ($Filtek^{TM}$ Z250, 3M ESPE, St. Paul, MN, USA) 100개를 준비하였다. 서로 다른 인산염계 기능성 단량체가 첨가된 5종의 이중 중합형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 즉, Permacem 2.0 (DMG, Hamburg, Germany), $Clearfil^{TM}$ SA Luting (Kuraray Medical, Tokyo, Japan), $Multilink^{(R)}$ Speed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RelyX^{TM}$ U200 Automix (3M ESPE, Neuss, Germany), G-Cem $LinkAce^{TM}$ (GC Corporation,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블록과 composite resin cylinder를 접착하고 1군당 20개의 시편을 갖는 5개의 군을 만들었다. 시편을 $37^{\circ}C$ 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각 군의 시편 절반(n=10)은 곧 바로 그리고 나머지 절반(n=10)은 5000회 열순환(5 - $55^{\circ}C$) 후에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면은 FE-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통계분석은 레진시멘트 종류 및 열순환 유무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비교를 위해 Two/One-way ANOVA를 시행하고 Tukey HSD post-hoc test를 이용하여 사후 검정하였으며, 열순환 전후의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alpha$=.05). 결과: 열순환 전과 후 모두 $Multilink^{(R)}$ Speed 군은 나머지 4종류의 시멘트 군 보다 큰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G-Cem $LinkAce^{TM}$ 군은 열순환 전과 비교하여 열순환 후에 유의하게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4종류 군은 열순환 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인산염계 단량체를 포함한 대부분의 이중 중합형 자가 접착 레진시멘트는 지르코니아와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이고 열순환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아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접착에 유용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다중 적층형 박막 실리콘 태양 전지의 터널 접합 특성 연구 (The Study of the Tunnel Recombination Junction Properties in Multi-Junction Thin Film Silicon Solar Cells)

  • 황선태;심현자;정진원;안세원;이헌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2.2-62.2
    • /
    • 2010
  • 박막 실리콘 태양 전지는 저가격화 및 대량생산, 대면적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단점으로 지적되는 낮은 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광흡수층의 밴드갭이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박막을 적층하여, 넓은 파장 대역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광변환 효율을 올리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서로 다른 밴드갭의 광흡수층을 가진 p-i-n 구조를 다중 적층하여 고효율의 태양 전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n-도핑층과, p-도핑층 간에 전자와 정공이 빠르게 재결합할 수 있는 터널 접합(Tunnel Recombination Junction)의 형성이 필수적이며, 이때 광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해야한다. 만약 터널 접합이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으면 결합되지 않은 전자와 정공이 도핑층 사이에 쌓이게 되고, 도핑층 사이의 저항 증가로 태양 전지의 광변환 효율은 크게 하락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터널 접합이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n-도핑층 및 p-도핑층 박막의 특성과, 터널 접합의 특성에 따른 적층형 태양 전지의 광효율 변화를 확인하였다. 광흡수층 및 도핑층은 TCO($SnO_2:F$, Asahi) 유리 기판 위에 PECVD를 사용하여 p-i-n 구조로 RF Power 조건에서 증착되었고, ${\mu}c$-Si 광흡수층의 경우에는 VHF Power 조건에서 증착되었다. 광흡수층이 a-Si/${\mu}c$-Si의 구조를 가지는 이중 접합 태양 전지에서 ${\mu}c$-Si n-도핑층/${\mu}c$-Si p-도핑층 사이의 터널 접합 실험 결과 n-도핑층 및 p-도핑층의 결정화도와 도핑 농도를 조절하여 터널 접합의 저항을 최소화했고, 터널 접합 특성이 이중 접합 셀의 광효율 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광흡수층이 a-Si/a-SiGe/${\mu}c$-Si의 구조를 가지는 삼중 접합 태양 전지 실험의 경우 a-Si과 a-SiGe 광흡수층 사이에 ${\mu}c$-Si n-도핑층/${\mu}c$-Si p-도핑층/a-SiC p-도핑층의 구조를 적용하여 터널 접합을 형성하였으며, ${\mu}c$-Si p-도핑층의 두께 및 박막 특성을 개선하여 광손실이 최소화된 터널 접합을 구현하였고, 삼중 접합 태양 전지에 적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