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yeo-Gu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백제금동대향로의 조형성분석에 관한 연구(중국 금상감박산향로와 비교분석) (A study on a plasticity analysis for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ese Inlaid Gold Boshan Xianglu-)

  • 신대택;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325-331
    • /
    • 2013
  • 1993년 12월 23일 부여 능산리 고분군과 나성(羅城, 궁성을 감싸고 있는 성곽 사이 절터)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金銅大香爐)는 지금까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찬란한 백제미술의 진수였다. 이 사건은 1400년 동안 적막했던 세월의 시공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다가온 백제금동대향로는 마치 무덤 속에 누워있던 조상이 몸을 일으켜 우리 앞에 현신(現身)한 것처럼 무엇인가 강력한 힘으로 우리에게 메시지를 전달 한 것이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문화란 민족적이면서도 또한 민족을 뛰어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이 시대의 요청이다. 한마디로 민족없는 문화는 존재할 수 없지만, 민족만을 앞세운 문화 역시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는 길은 우리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그 중심에서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융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백제금동대향로의 조형적 특징을 인식하고, 향로에 내제된 백제인의 정신세계를 이해하며,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백제문화상품에 접목 우리의 금속공예를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잊혀져가는 한국공예문화의 정체성과 한국공예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양송이 재배주기에 따른 형태적 특성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 mushroom fruiting bodies in different harvest flush)

  • 전창성;박경주;김대겸;오연이;박혜성;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7-302
    • /
    • 2020
  • 국내 육성된 양송이 '새도' 등 5개 품종으로 수확주기별 버섯의 형태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농가현장 시험을 통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공시품종의 재배적 특성을 종합해보면 버섯발생 및 생육에 관련한 부분은 거의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균사 활력은 비슷하였으나 재배농가의 평가에서는 '새도' 품종이 강한 편이며, '새한' 품종이 약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자실체의 개체중은 품종특성 보다는 농가별 퇴비의 상태 및 발생량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품종간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었다. 자실체의 갓 직경, 갓 두께, 대 길이 등의 특성에서 달성군, 용인시, 보령시 지역농가의 경우는 품종에 관계없이 첫주기에 대비하여 주기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 굵기는 품종에 관계없이 첫 주기에 대비하여 2, 3주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경주는 품종과 주기에 따른 어떤 경향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부여에서는 갓 직경과 대 길이는 '새정'을 제외한 품종들은 주기가 진전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갓 두께와 대 굵기는 품종간 일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수확주기별 형태적 특성의 차이는 품종보다는 수확주기별로 배지에서의 양분의 공급량과 사용한 퇴비의 품질과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른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쌀 공동브랜드의 자산, 신뢰, 애착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ce Co-Brand Assets, Trust, and Attachment on Loyalty)

  • 김신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401-410
    • /
    • 2022
  • 오늘상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웰빙시대를 맞아 국민 주식(主食)인 쌀 브랜드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배경하에 쌀 공동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신뢰, 애착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의 검토하에 설문을 개발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의 쌀 전업농가 163명에게 설문을 배포 및 회수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가설 1의 '소비자의 쌀 공동브랜드의 자산은 브랜드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쌀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원산지효과를 제외하고 인지도 및 이미지는 지지하였다. 특히 통계값의 크기로 볼 때, 인지도> 이미지보다 소비자의 신뢰에 대한 영향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설 2의 '소비자의 쌀 공동브랜드의 신뢰는 애착 및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채택되었다. 여기서 브랜드 신뢰는 애착보다 충성도의 값이 높았다. 셋째, 가설 3의 '쌀 공동브랜드의 애착은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것이다'도 통계적 값에 따라 지지되었다. 전체 변수의 값은 브랜드 애착→충성도 영향>신뢰→충성도>신뢰→애착>인지도→신뢰>이미지→신뢰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전략적 함의는 첫째, 시중에 유통되는 쌀 공동브랜드를 바라볼 때, 소비자들은 유통 쌀의 지각된 품질에 불신을 갖고 있음에 따라 생산농가는 소비자들에게 신뢰의 단서(GAP 등 국가인증마크의 획득, 팸투어)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쌀 생산 원산지효과도 의문을 제기하므로 생산이력제/쌀 DNA 검증의 도입으로 쌀 품종의 혼입(단일미 유지)을 예방하는 조치가 요구된다.

나(羅)·당(唐) 군의 이동과 백제군 배비 - 서기 660년 - (Movement of the Silla-the Tang army and Baekje military deployment)

  • 윤일영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13호
    • /
    • pp.137-658
    • /
    • 2016
  • 1. Movement of the leaders of the Silla army The leaders of the Silla army traveled from Gyeongju(경주) to Icheon (이천), Deokjeokdo(덕적도) Island, and Hwangsanwon(황산원) during the period of the Against Baekje(백제) War that began in 660. Movement route between Gyeongju and Icheon : Gyeongju(경주)-Daegu(대구)-Gumi(구미)-Gimcheon(김천)-Chupungryeong(추풍령)-Geumdol Fortress(금돌성)-Boeun(보은)-Jincheon(진천)-Juksan(죽산)-Bubal-eup(부발읍) Movement route between Bubal-eup and Deokjeokdo Island : Bubal-eup(부발읍)-Ipo(이포) Ferry-Haengju(행주) Ferry-Palmido (팔미도) Island-Seonjaedo(선재도) Island-Yeongheungdo(영흥도) Island-Pido(피도) Island-Soyado(소야도) Island-Deokjeokdo(덕적도) Island Movement route between Deokjeokdo Island and Hwangsan: Deokjeokdo(덕적도) Island-Danghangpo(당항포)-Jincheon(진천)-Boeun (보은)-Okcheon(옥천)-Geumsan(금산)-Tanhyeon(탄현)-Hwangsan (황산)-Ganggyeong(강경)-Buyeo(부여) 2. Movement of the combat units of the Silla army Jincheon area : 4,325 persons of the Geupdang unit(急幢) and 611 persons of the Kaegeumdang unit(罽衿幢) were deployed. These units moved from Jincheon to Cheongju, Yeongi, and Gongju, and contained Ungjin Fortress(熊津城) (6,650 Baekje troops). Boeun area : 4,763 persons of the Daedang(大唐) unit, 3,548 persons of the Hajujeong unit(下州停), 3,017 persons of the Namcheonjeong unit(南川停), and 4,500 persons of the Saseoldang unit(四設幢) were deployed. These units moved from Boeun(보은) to Okcheon(옥천), Geumsan(금산), Tanhyeon,(탄현) and Hwangsan(황산). Geumdol Fortress area : 3,753 persons of the Sangjujeong unit(上州停), 5,762 persons of the Seodang unit(誓幢), 3,753 persons of the Guidang unit(貴幢), and 5,562 persons of the Nangdang uni(郎幢)t were deployed. These units moved from Geumdol Fortress to Hwanggan(황간), Yeongdong(영동), Geumsan(금산), Tanhyeon(탄현), and Hwangsan(황산). Jirye area: 3,017 persons of the Eumrihwajeong unit(音里火停) and 3,017 persons of the Ehwahyejeong unit(伊火兮停) were deployed. These units moved from Jirye(지례) to Juchiryeong(走峙嶺), Mupung (무풍), Muju-eup(무주읍), and Bunam-myeon(부남면) in Muju-gun. Goryeong area: 3,017 persons of the Samryanghwajeong unit(三良火停) and 3,017 persons of the Sosamjeong unit(召參停) were deployed. These units moved from Goryeong(고령) to Geochang(거창), Hamyang(함양), Namwon(남원), Sunchang(순창), and Jeongeup(정읍). 3. Movement of the Tang army Dangjin area(당진 방면) : 1,000 persons were deployed. These units moved from Dangjin(당진) to Myeoncheon(면천), Yesan(예산), and Imjon Fortress(임존성). Garijeo area(가리저 방면) : 1,000 persons were deployed in the Garijeo(加里渚) area. These units moved from Garijeo(가리저) to Myeoncheon(면천), Yesan(예산), and Imjon Fortress(임존성). Geumganggu area(금강구 방면) : 000 persons were deployed. These units moved from Geumganggu(금강구) to Ganggyeong(강경) and Sabi Fortress(사비성). 4. Baekje military deployment Total troops of the Baekje army : There were 60 thousand Baekje troops according to the Old Book of Tang(舊唐書). Troop deployment by the Baekje army: 62,230 persons were deployed in 15 regions: 1,000 in Dangjin(당진), 1,000 in Garijeo(가리저), 6,120 in Imjon Fortress(임존성), 1,120 in Namjam Fortress(남잠성), 1,350 in Dooryangyun Fortress(두량윤성), 870 in Wangheungsajam Fortress(왕흥사잠성), 6,650 in Ungjin Fortress(웅진성), 1,120 in Jinhyeon Fortress(진현성), 1,000 in Dooshiwonak(두시원악), 1,000 in Irye Fortress(이례성), 5,000 in Gosaburi Fortress(고사부리성), 5,000 in Gujiha Fortress(구지하성), 3,000 plus 3,000 in Gibeolpo and Yangan(기벌포 양안), 5,000 in Deukan Fortress(득안성), and 20,000 in Sabi Fortress(사비성).

  • PDF

차근육묘를 위한 자재 및 배지 종류가 토양환경과 '설향' 딸기 자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oot Restriction Materials and Media on Soil Environment and Growth of Runner Plantlets during Propagation of 'Seolhyang' Strawberry)

  • 박갑순;채수천;오찬식;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11-517
    • /
    • 2015
  • '설향' 딸기 차근육묘에서 배지 및 차근자재의 종류가 자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필름이 차근자재인 조건에서 팽연왕겨, 사양토 및 양질사토 등 세 종류 배지가 자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또한 폴리에틸렌 필름(PE), 부직포(NF), 유공비닐(PP) 및 방근시트(RPS)의 네 종류 차근자재를 설치하고 팽연왕겨를 배지로 충진한 후 배지의 함수량 및 근권온도 변화와 자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도 구명하였다. 런너에서 발생한 자묘를 세 종류 배지에 고정시키고 20일 및 40일 후 조사한 자묘의 생장에서 팽연 왕겨 처리가 착근 20일 후의 엽 면적과 관부 직경, 그리고 40일 후의 관부 직경, 근중 및 생체중 등 지상부 및 뿌리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네 종류 차근 자재를 깔고 팽연왕겨를 충진한 후 관수 주기별 배지의 수분함량(volumetric water content, VWC)를 조사한 결과 PE 처리는 관수 후 55%로 측정된 VWC가 관수 직전 26%로 낮아졌으며, PP는 10-16%, NF 및 RPS는 관수 후 다음 관수까지 10% 미만의 VWC를 유지하였다. 육묘 기간 중 PE 처리가 NF, PP 및 RPS 처리보다 차근 자재에 영향을 받은 오후 2-5시 사이의 배지온도가 약 $1^{\circ}C$ 낮았고, 주 야간 온도차는 $1.5^{\circ}C$ 적었다. 자묘의 초장, 생체중 및 근 중은 PE 처리가 가장 크거나 무거웠다. NF 및 PP 처리는 뿌리가 차근되지 않아 자묘 뿌리가 차근자재 윗부분에 제한적으로 존재하지 못하고 자재 밑으로 많은 근계가 형성되었다. 이상과 같이 PE를 차근자재로 삼은 경우 팽연왕겨가 바람직한 배지이고, 차근 자재로써 PE가 NF, PP 및 RPS 보다 자묘의 생장에 더 우수한 영향을 미쳤으며, 본 연구 결과는 딸기 양질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차근육묘를 위한 배지의 깊이 및 착근 시기가 '설향' 딸기 자묘 소질과 정식 후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 (Medium Depths and Fixation Dates of 'Seolhyang' Strawberry Runner Plantlets in Nursery Field Influence the Seedling Quality and Early Growth after Transplanting)

  • 박갑순;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18-524
    • /
    • 2015
  • '설향' 딸기 차근육묘에서 팽연왕겨 배지의 깊이 및 착근시기가 자묘의 생장과 본포 정식 후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지 깊이에 따른 자묘 생장에서 초장은 50, 70, 및 90mm 처리가 컸고, 엽수, 관부 직경, 및 1차 근수는 처리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뿌리 생체중은 배지 깊이를 70, 90, 및 110mm로 조절한 처리가 30 또는 50mm로 조절한 처리들 보다 뚜렷하게 무거웠고, 근장은 90과 110mm 처리가 가장 길었다. 지상부 생체중은 70mm 처리에서 가장 무거웠고 이 보다 얕거나 깊은 배지 깊이 처리들에서 생장량이 적어졌다. 착근시기에 영향을 받은 자묘의 생장에서 착근 시기가 빠를수록 초장, 엽면적, 관부 직경 및 생체중 등 생장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1차 근수 및 뿌리 생체중은 7월 1일, 7월 15일 및 8월 1일의 세 처리간 통계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착근시기가 빠를수록 근권의 왕겨 부착량이 많았으며, 체 진동기를 사용하여 왕겨의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7월 1일과 7월 15일 처리는 40% 미만, 8월 1일 및 8월 15 처리는 각각 64% 및 70%로써 정식 시 왕겨 제거를 위한 노동력 요구도가 높았다. 착근시기가 다른 자묘를 본포에 정식하고 45일 후 생육을 조사한 결과 7월 1일 및 15일 그리고 8월 1일 착근한 처리의 1화방 출뢰율은 93-100%, 8월 15일 처리는 67% 였다. 본 실험 결과 팽연왕겨 차근육묘의 적절한 배지 깊이는 70mm, 그리고 착근시기는 7월 20-25일이며, 이상의 결과를 활용하여 육묘농가의 시행착오가 감소하고 양질묘가 생산될 수 있다고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