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achlor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2초

제초제에 의한 유채밭 잡초방제 (Chemical Control of Weed for Rapes ( Brassica napus L. ))

  • 안계수;권병선;김상곤;정동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6-191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icides on weed control,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rapes, after direct seeding it to the field. All herb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emergence period, bolting rate of rapes. The major weeds were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Stellaria media Villars, Larnium ampleicaule L., Lobelia chinensis Lour., Geranium wilfordii Maxim. and Capsellu bursa-pastoris (L.) Medicus. Rapes yield were increased somewhat more with alachlor-G, herbicide than the other hehicides and by hand weeding. Alachlor-G and alachlor-Ec were had no i j u r y but butachlor- G and simajin-Wp were slightly harmful for the rapes with recommended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all hehicides were harmful in the double dosage level.

  • PDF

전국 농경지 토양 중 농약 잔류량 모니터링 및 연차별 변화 (Long-term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rable Soils in Korea)

  • 박병준;이병무;김찬섭;박경훈;박상원;권혜영;김진효;최근형;임성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292
    • /
    • 2013
  • 작물재배지 토양에서 농약잔류량의 연차별 변동량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6년까지 8년간 4년 1주기로 전국의 논,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순으로 농경지 토양에 대하여 동일지점과 동일시기에 농약잔류분포와 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논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1999년도에 butachlor 등 14종 농약이 최고 0.25 mg $kg^{-1}$ 수준까지 검출되었고, 검출 빈도는 0~21.7%로 butachlor가 가장 높았다. 2003년에 논토양의 경우 7성분이 검출되어 0~36.0% 검출빈도를 나타냈고, 그 중 isoprothiolane과 oxadiazinon이 36.0과 33.3%로 가장 높은 검출 빈도를 나타냈다. 시설재배지에 대한 농약잔류는 2000년에 57종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65.3%로 토양살충제인 endosulfan과 살균제인 procymidone이 65.3과 50.0%로 높게 잔류되었다. 2004년에는 19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21.3%로 2000년에 비해 상당히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endosulfan과 procymidone의 검출빈도는 각각 21.3과 9.3%로 2000년에 비해 낮게 검출되었다. 밭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2001년도에 25종 농약이 최고 2.24 mg $kg^{-1}$까지 검출되었고, 검출빈도는 0~53.5%이었으며 endosulfan과 pendimethalin이 각각 53.5과 18.2%로 높게 검출되었다. 2005년에는 2001년과 같이 검출된 성분의 수는 동일하였으나 endosulfan 성분의 검출빈도가 70.0%로 높게 나타났다. 2002년 과수원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26종 농약이 검출되었고 endosulfan 성분이 최고 1.43 mg $kg^{-1}$ 수준까지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45.3%이었다. 2006년은 20종 농약성분이 검출되어 2002년보다 검출빈도가 낮았다. Endosulfan 성분은 2002년에 비해 5.3%로 낮게 검출되어 잔류분포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충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농가 관리실태 및 발생면적 조사 (A Survey on Farm Management and Occurrence Area of Herbicide Resistant Paddy Weeds in Chungbuk Province)

  • 김은정;박재성;이채영;임상철;송범헌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7
    • /
    • 2013
  • 충북지역 벼 재배양식 및 제초제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저항성잡초 발생면적 및 초종을 파악하여 올바른 저항성잡초에 대한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조사한 결과이다. 본 조사는 충북지역 벼 재배 260농가를 대상으로 재배형태와 제초제 사용실태, 저항성잡초 발생현황을 농가 설문조사 하였고, 충북지역 400지점의 논토양을 채취하여 저항성잡초 발생면적을 추정하였다. 충북지역 벼 재배 농가의 경우 99.6%가 기계이앙을 하고 있었으며 제초제 사용은 이앙 전과 이앙 후 10일 이내에 2회 사용하는 농가가 전체의 78%를 차지하였다. 사용시기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는 이앙 전에는 butachlor가 46.6%, 중기제초제는 mefenacet + pyrazosulfuron-ethyl이 10.7% 였다. 경엽처리 제초제의 경우 bentazone 단제 및 혼합제가 62%를 차지하였다. 충북지방 논에서 우점하는 잡초는 피로 16.2%이었으며, 올챙이고랭이는 12.2%, 물달개비는 11.9%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잡초 중 저항성을 나타낸 잡초는 올챙이고랭이가 20%로 가장 높았고, 물달개비 19.2%, 벗풀 12.8%, 피 12.2%의 순이었다. 충북지역 저항성잡초의 발생 비율은 2011~2012년 2회 조사 결과, 평균 26.8%로 충북지역 논 면적 중 13,167 ha에 해당되는 것이다. 충북의 시군별 발생면적은 청주청원지역이 4,164 ha로 가장 넓었고, 가장 문제가 되는 저항성잡초는 물달개비와 올챙이고랭이로 66~67%가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저항성 피의 발생비율도 2011년 9.5%에서 2012년 조사에서는 13.4%로 증가하였다.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 물옥잠의 조기진단과 방제 (Rapid diagnosis and control of sulfonylurea resistant Monochoria korsakowii)

  • 박태선;문병철;조정래;김창석;김무성;김길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3-70
    • /
    • 2004
  • Sulfonylurea(SU)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물옥잠이 최근 한국에서 발생되고 있는데, 저항성 물옥잠 을 시기적절하게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신속 정확하고 실용적인 조기진단법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제초제 저항성 검증은 종자를 파종하여 어린식물에 제초제를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비실용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표로부터 $1\sim2cm$에서 식물체를 절단한 다음 제초제를 처리하여 식물체의 생존율과 재생된 초장에 의하여 저항성을 검증하는 신속 정확한 새로운 방법이다. 이 새로운 조기진단법에 의하여 SU계 제초제 저항성 물옥잠은 적어도 7일 이내 저항성 검증이 가능하였다. 제초제 저항성이 진단되면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식물 생육 단계에 맞는 제초제를 선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SU계 혼합 제초제 처리 후 생존한 저항성 물옥잠은 butachlor+pyrazolate 입제나 bentazone 액제와 2,4-D 액제를 혼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토양(土壤) , 수(水) , 농작물중(農作物中)에 있어서 잔류농약분석(殘溜農藥分析)을 위한 수증기(水蒸氣) 증류법(蒸溜法)의 응용(應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team Distillation for the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 Water and Crops)

  • 양환승;문영희;장익선;최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6
    • /
    • 1989
  • 토양(土壤), 수(水), 농작물(農作物)중 잔류(殘留)하는 각종(各種) 농약(農藥)의 분석(分析)을 위한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의 응용성(應用性) 및 정밀도(精密度)등에 대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하였다. 수증기증류(水蒸氣蒸溜)에 의하여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던 농약(農藥)은 PCNB, ${\alpha}-BHC$, ${\beta}-endosulfan$, IBP, diazinon, fenitrothion, fenthion, alachlor, butachlor, pretilachlor, metolachlor, pendimethalin, benthiocarb, molinate등이었으며 simazine, atrazine, nitrofen등은 불가능(不可能)하였다. 농약(農藥)의 증류(蒸溜)까지 요(要)하는 유출액양(溜出液量)은 농약(農藥)의 종류(種類)에 따라 크게 달랐으며, 일정량(一定量)의 유출액(溜出液)을 취(取)한 후 냉각관(冷却管)을 acetone으로 씻어 줌으로써 증류시간(蒸溜時間)을 단축(短縮)시킬 수 있었다.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은 소량(小量)의 유기용매(有機溶媒)로 농약(農藥)의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으며, 분석대상물질(分析對象物質)에 따라서는 기기분석시(機器分析時) 방해물질(妨害物質)이 검정(檢定)되기는 했지만 많은 경우 농축(濃縮)과 정제과정(精製過程)을 생략(省略)할 수도 있어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이라 하겠다.

  • PDF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Chlorflurenol"을 이용(利用)한 제초제(除草劑) 살초력(殺草力) 증대(增大) 및 사용량(使用量) 절감방법(節減方法) 연구(硏究) (An Approach for Increasing Herbicidal Efficacy by Adding Plant Growth Regulator "Chlorflurenol")

  • 김동수;김순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2-68
    • /
    • 1984
  • 제초제(除草劑) 사용량(使用量)을 줄일수 있는 방법(方法)을 찾기위해 비교적(比較的) 최근(最近)에 개발(開發)된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인 Chlorflurenol과 논제초제(除草劑)의 주종(主從)을 이루고 있는 butactlor, thiobencard 및 bentazon의 혼합효과(混合效果)를 1981~1982, 2개년(2個年)에 걸쳐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다. 1. 피(E. crus-galli)., 올챙고랭이(S. hotarui) 알방동산이(C. difformis), 마디꽃(R. idnica), 물달개비(M. Vaginalis), 밭뚝외풀(L. procumbens)등 일년생제초(一年生除草)가 많이 발생(發生)되는 논에서는 chlorflurenol을 사용(使用)하므로서 butachlor와 thiobencarb 사용량(使用量)을 추천량의 50~75%까지 줄이더라도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效果)를 90%이상(以上) 유지(維持)할 수 있었다. 2. Chlorflurenol과 bentazon의 혼합효과(混合效果)는 결항적반응(結抗的反應)을 보였으며 bentazon의 피(E. crusgalli)에 대(對)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거의 없었다. 3. Chlorflurenol이 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있어서는 마른무게에는 그다지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으나 주요동화기관(主要同化器官)인 엽면적(葉面積)을 감소(減少)시켜 엽신중(葉身重) 비율(比率)을 떨어뜨렸다.

  • PDF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과 손이앙답간(移秧沓間)의 잡초발생생태(雜草發生生態) 차이(差異) (Weed Dynamics in Hand - and Machine - Transplanted Lowland Rice)

  • 김순철;최충돈;이수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8
    • /
    • 1984
  • 기계이앙답(機械移秧沓)과 손이앙답간(移秧沓間)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생태차이(生態差異)를 구명(究明)하여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체계(防除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이앙답(移秧沓)에 많이 사용(史要)되고 있는 butachlor, thiobencarb, oxadiazon 등 11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공시(公試)하여 1983년(年) 영남작물(嶺南作物) 시험장(試驗場) 수도포장중(水稻圃場中)에서 1년생잡초(年生雜草)와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가 우점된 포장(圃場)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방법(移秧方法)(기계이앙(機械移秧), 손이앙(移秧))에 따른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벼를 재배(栽培)하지 않은 자연방임구(自然放任區)가 $m^2$당(當) 잡초수(雜草數)가 8326 본(本) 건물중(建物重)이, 1643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기계이앙구(機械移秧區), 손이앙구(移秧區) 순(順)이었으며 벼재배(栽培)에 의(依)한 잡초발생(雜草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는 기계이앙구(機械移秧區),가 50%, 손이앙구(移秧區)가 55%이었다. 2. Simpson지수(指數)와 군락우점도(群落優點度)(Community dominance)는 손이앙(移秧)을 함으로써 군락우점도(群落優點度)는 점차 특정(特定) 초종(草種) 즉 올챙고랭이 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었다. 3.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과 벼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지수함수적인(指數函數的)인 관계(關係)를 보였으며, $m^2$당(當) 잡초건물량(雜草建物量)이 300g일 때 벼수량(數量) 감소(減少)정도는 손이앙구(移秧區)가 26%, 기계이앙구(機械移秧區)가 32%였으며, 잡초발생수(雜草發生數)에 따른 벼수량감소(數量減少)는 기게이앙구(機械移秧區)와 손이앙구간(移秧區間)에 별차이(差異)가 없었다. 4. 무제초(無除草) 방임구(放任區)에서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依)한 벼수량감소(收量減少)는 기계이앙답(機械移秧沓)이 41%, 손이앙답(移秧沓)이 33%로써 벼수량감소율(收量減少率)이 기계이앙답((機械移秧沓)에서 7% 더높았다. 5. 공시(供試)된 제초제중(除草劑中)에서 이앙방법간(移秧方法間) 잡초발생량차이(雜草發生量差異)가 가장 적었던 제초제(除草劑)는 butachlor(E.C)와 CG 113/oxadiazo이었고 이앙방법간(移秧方法間)에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依)한 감소율(減少率)은 제초제(除草劑) 종류(種類)에 따라 다소 차이(差異)는 있으나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 PDF

상수중 Trihalomethanes, 농약, 중금속 및 합성세제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수처리 방법 제 2보. -상수중 농약, 중금속 및 합성세제의 효율적인 제거방법-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al of Trihalomethanes, Pesticides, Heavy Metals and Detergent in Drinking Water (2). -Effective Removal Method of Pesticides, Heavy metals and Detergent in Drinking Water-)

  • 박종우;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80-486
    • /
    • 1994
  • 상수원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몇가지 농약과 중금속 및 계면활성제를 상수처리 과정을 달리하였을 때 효율적인 제거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수처리시 많이 사용되는 여러 산화제를 처리하고 응집제 및 수중의 유기물의 농도를 변화시켰을 때 이들 오염물질들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BP, diazinon과 CNP의 경우에는 $Cl_2$ 처리에 의해 $68{\sim}100%$ 제거되었으며 diazinon은 모든 산화제에 의해 매우 잘 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utachlor은 모든 산화제 처리에 의해 $20.3{\sim}26.7%$ 정도로 영향을 적게 받았다.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는 오존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산화 제거되었으나 다른 산화제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하였다. 중금속(Cd, Pb, Cu, Zn)의 경우에는 산화제에 대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수중에 유기물의 농도와 응집제의 투여량을 변화시켰을 때 농약과 계면활성제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중금속의 경우 응집제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제거량이 증가하였으나 수중 유기물의 농도를 증가시켰을 때에는 중금속의 응집제에 의한 제거효율이 감소되었다.

  • PDF

남한강지류 복포천유역의 농약잔류량 조사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water and soil at the Bokpocheon watershed in Yangpyong)

  • 박경훈;김찬섭;박병준;이병무;최주현;정미혜;김병석;박현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0-237
    • /
    • 2007
  • 남한강 지류인 복포천 하천수와 토양을 대상으로 3년간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하천수에서 벼농사용 농약인 butachlor, carbofuran, diazinot fenitrothion, fenobucarb, ipobenfos, isorothiolane, molinate, tricyclazole 등 9종이 $0.1{\sim}22.7\;ppb$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전국 하천수를 대상으로 한 농업과학기술원의 농약잔류량 조사결과(1998년)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농약사용기인 5, 6, 7, 8월에만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수준은 우리나라 먹는 물의 수질기준보다는 낮은 수준이었고, 이지역의 관정수에서는 농약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논 토양에서는 butachlor, diazinon, dimeperate, dimethometryn, fenitrothion, iprobenfos, isoprothiolane, molinate, parathion, piperophos, thiobencarb 등 11종의 농약이 $0.002{\sim}0.55\;ppm$의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전국 논토양과 시설하우스 토양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과 환경 노출성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Exposure in Paddy Field Soils and Greenhouse Soils)

  • 박병준;이지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4-139
    • /
    • 2011
  • 분석대상 농약의 토양중 잔류분석법에 따른 검출한계는 0.001~0.005 ppm이었으며 2007년에 전국 논토양 150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살균제 carpropamid 등 4종, 살충제 buprofezin 등 4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3종 농약이 검출 되었다. 검출빈도는 oxadiazon 성분이 19.3%로 가장 높았고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8.0%, isoprothiolane 2.7%순이었고 검출된 농도는 oxadiazon 0.836 ppm, isoprothiolane 0.810 ppm과 buprofezin 0.5 ppm 수준으로 최고 농도를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 2008년에 전국 시설재배지 토양 152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조사한 결과 살균제 hexaconazole 등 6종, 살충제 cadusafos 등 16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7종 농약이 검출 되었고 검출빈도는 endosulfan 38.8%로 가장 높았으며, oxadiazon 성분이 13.2%,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10.5%, isoprothiolane 7.2% 순이었다. 검출된 농도는 chlorfenapyr 5.087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chlorothalonil 2.565 ppm, oxadiazon 0.715 ppm, isoprothiolane 0.208 ppm 수준을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