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검색결과 40,960건 처리시간 0.056초

창업보육기업의 창업자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to Business performance of business incubator company via CEO's Characteristics)

  • 김민수;황보윤;김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2호
    • /
    • pp.33-57
    • /
    • 2010
  • 본 연구는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창업보육기업의 핵심 성공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창업자의 특성은 주로 심리적 특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와 달리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이외에 행위적 특성과 경력 특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창업보육센터의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특히 성취욕구와 위험 감수 능력이 높을수록 기업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자 창업 경험이 풍부할수록 기업 성과가 높은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표본이 주로 충남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향후 연구는 포괄적인 범위에서 연구 대상을 설정하고 아울러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독립변수를 고려한 장기간의 광범위한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 PDF

경영 교육을 위한 경영 모의 게임의 활용 방안: 개발 과정 및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How to use Business Simulation Game for Business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Business Education Method)

  • 김상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41-63
    • /
    • 2005
  •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다양한 에듀테인먼트 유형의 컨텐츠가 경영 교육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현실 세계를 가상 게임화 해서 기업 경영을 체험해 보는 경영 모의 게임(business simulation game)이 경영 교육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외국의 많은 대학과 기업에서는 경영 모의 게임을 경영 교육 도구로서 널리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년 반 동안 산학 협동으로 개발한 경영 모의 게임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경영 교육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경영 모의 게임의 개발 방법, 구조, 진행 방법을 중심으로 경영 모의 게임의 개발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다음에 경영 모의 게임을 경영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교육 효과, 장점/단점, 교육 대상, 교육 효과 강화 방안, 경영 미션, 교육 계획안, 평가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네트워크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재해석: 가입자 개념을 중심으로 (Reinterpretation of Business Models: Network Subscriber Perspective)

  • 김재영;한재민;김유정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93-102
    • /
    • 2012
  • 네트워크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새로운 제품, 기술, 서비스와 더불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는 기업이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기업들은 네트워크가 가져온 시공간의 제약 해결 등을 얻기 위해 기존의 비즈니스를 네트워크 공간으로 옮기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들은 전에 없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출현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모델 변화를 위해서는 고객이 아닌 새로운 네트워크 가입자 개념으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비즈니스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 없이 네트워크의 특성만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고객의 니즈를 잃어버리는 구조적 관성에 빠질 수 있다. 하지만, 사례 기업은 고객이 원하는 가치가 무엇인가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객을 새로운 네트워크 가입자의 개념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나아가 기업간 관계 형태를 변화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관점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과정 및 가치곡선과 고객경험사이클을 적용하여 이에 따른 성과를 설명함으로써 네트워크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재해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모바일 명함제작 및 관리시스템 (A Hybrid Mobile Business Card Production and Management System)

  • 김목련;박영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7-128
    • /
    • 2008
  • 최근, 사람과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이 증대됨에 따라 개인의 명함이 개인정보교환의 매개체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이 소유하게 된 명함의 수는 방대해져 중요한 명함이 유실되거나, 원하는 명함의 검색이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다. 그리고 명함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이므로, 사람들은 개성이 담겨 있는 명함을 만들고자 하는 요구가 많다. 따라서 이런 오프라인 상 명함관리의 문제점 해결과 개성표현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명함제작과 관리를 통합시킨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명함전송, 명함요청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개인이 창작한 사진과 동영상을 담은 명함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개인정보표현 표준 규격인 vCard를 따름으로써 vCard를 지원하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제작된 명함의 이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명함에 삽입된 동영상과 사진의 내용기반검색을 통한 새로운 명함검색 기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표준화를 지원하는 명함에서부터 개인의 개성을 표현한 명함의 제작 및 관리까지 만족시키는 하이브리드형 명함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e-Business 환경에서 e-Business 인력의 능력 측정을 위한 방법론 (A Methodology to Measure e-HR Capability in an e-Business Environment)

  • 배영주;정순석;유지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3-300
    • /
    • 2009
  • 기업 인력의 e-Business 적용 능력은 e-Business 환경에서 개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업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Business 인력의 측정도구, 측정체계 및 방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e-Business 인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16 개의 측정항목을 갖는 측정 도구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의 적용성과 활용성은 실제 e-Business 환경의 기업에서 근무하는e-Business 인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e-Business 환경의 기업에서 근무하는 인력의 e-Business 능력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공헌할 것이다.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es)

  • 김선호;이석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33
    • /
    • 2003
  • A business process is classified into two processes; the private process which is implemented within an enterprise and the public process which is implemented between enterprises. The public process commonly used for B2B e-business is defined as a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 To date, the collaborative business process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We have categorized the research trends into two viewpoints, i.e.,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and B2Bi (business to business Integration). In this paper, research trends in inter-organizational workflow are analyzed from the EAI point of view, and research trends in message-based business process and transactions from the B2Bi point of view.

  • PDF

A Study on the Business Strategy of Smart Devices for Multimedia Contents

  • Lee, Hong-Jo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7권3호
    • /
    • pp.543-548
    • /
    • 2011
  • Information technology is changing the business value chain and business systems. This situation is due to the business value chain and the value creation factors in business. Technology companies and researchers are developing new businesses, but many companies and researchers cannot find successful ways to analyze and develop a business in a specific way. In this paper, first, the value creation motive in business is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business attributes are analyzed, while considering the value creation motive and the business factors in management. Finally, the business attributes of information technology are studi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papers on this topic.

Analysis of Business Attributes i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s

  • Lee, Hong-Jo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7권2호
    • /
    • pp.385-396
    • /
    • 2011
  • Information technology is changing the business value chain and business systems. This situation is due to the business value chain and the value creation factors in business. Technology companies and researchers are developing new businesses, but many companies and researchers cannot find successful ways to analyze and develop a business in a specific way. In this paper, the following will be explored. First, the value creation motive in business is analyzed through a literary review. Second, business attributes are analyzed while considering the value creation motive and business factors in management. Finally, the business attributes of information technology are studi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on this topic.

e-business직종의스킬 분석을 통한 특성화 로드맵 연구 (e-business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ecialized Road Map through Skill Analysis about Job Family of e-business (Focusing on e-business Specialized High School))

  • 안재민;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9-402
    • /
    • 2011
  •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시대에서 e-business 기술과 인력의 확보는 국가 e-business 산업 확산과 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e-business 분야의 인력 양성은 이론과 기술 중심의 대학과 대학원 중심체제에서 실무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과정에의 인력양성에 대한 필요성과 연구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변화되고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e-business 정책과 더불어 e-business 분야의 특성화 체제의 변화를 위해 필요한 직무와 요구되는 스킬을 분석하여 특성화학과와 교과에 대한 기본 연구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 고등학교나,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e-business 특성화 고등학교 체제로 변화 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하여 국가 사회적인 e-business 기술과 인력의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 PDF

제조업종의 표준 업무프로세스 개발 연구 (A Study on Process-driven Standardiz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ies)

  • 김훈태;정한일;한정우;양은찬;임춘성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CALS/EC KOREA
    • /
    • pp.277-288
    • /
    • 2001
  • Nowadays, for the competitive power of an enterprise, there are many attempts to implement information system that could support business innovation by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However, there is no effort to standardize the core business processes of enterprise based on standards of data, documents. These facts make it difficult to introduce and implement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 designed by business processes of the higher level. Therefore, standardization of business process by analyzing the functionality and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important and necessary. The results of our research are summarized as process-driven standardization (standardization of core business processes) and development of a repository. In process-driven standardization, we proposed the reference model by analyzing the business processes of the leading enterprises for core business processes. The reference model focuses on core business processes, such as sales management, procurement management, production management, logistics management, and customer support in manufacturing industry. We developed a knowledge-based system as a repository for 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business process. And this repository was built up web-based system for the purpose of both reference and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