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699건 처리시간 0.038초

급행버스 노선의 정류장 위치 및 배차간격 결정에 관한 연구 (노선별 정류장간 O-D 자료를 활용하여)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Bus-stop Location and Headway of Bus Rapid Transit Using Bus-stop-based O-D Data)

  • 조혜진;이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63-74
    • /
    • 2005
  • 급행버스시스템을 도입함에 있어서 정류장의 위치나 배차간격이 적절하지 않으면 버스 운영자 및 이용자의 불필요한 비용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적인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승객의 기 종점에 기반하여 정류장 위치 및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새로운 버스카드 시스템의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버스운행이력 및 이용자 이동경로의 자료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대중교통 통행수요의 정류장 기반 O-D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객의 기 종점을 고려한 급행버스의 최적 정차위치 및 완 급행버스 배차간격 결정방법론을 수립하고자하였다. 전체 과정을 초기조건 입력, 정류장 위치 대안 생성, 완 급행 O-D배분 및 배차간격설정, 총교통비용 산출 및 최적해 도출의 4단계로 구성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프로그램언어로 구현한 후, 승객의 통행패턴이 현저히 다른 두개의 노선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급행버스의 노선 계획에 있어서 승객의 이동거리분포를 검토하여 볼 필요성이 있음을 정책적인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딥러닝과 교통정보 Open API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버스 탑승 보조 시스템에서 딥러닝 알고리즘 성능 비교 (Comparison of Deep Learning Algorithm in Bus Boarding Assist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Deep Learning and Traffic Information Open API)

  • 김태홍;여길수;정세준;유윤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8-390
    • /
    • 2021
  • 본 논문은 키패드, 도트매트릭스, 라이다센서, NFC 리더기를 부착한 임베디드 보드와 공공데이터포털 Open API 시스템과 딥러닝 알고리즘(YOLOv5)를 사용하여 시각장애인의 버스 탑승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용자는 NFC 리더기 및 키패드를 통해 희망하는 버스번호를 입력한 뒤, Open API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해당 버스의 위치 및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해놓은 음성 출력을 통해 얻는다. 또한 도트매트릭스로 버스번호를 출력하여 기사와의 상호작용을 대기함과 동시에 딥러닝 알고리즘(YOLOv5)은 정차하는 버스 번호를 실시간 인식하고 거리센서로 버스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정차유무정보를 확인,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온칩버스를 이용한 런타임 하드웨어 트로이 목마 검출 SoC 설계 (Run-Time Hardware Trojans Detection Using On-Chip Bus for System-on-Chip Design)

  • ;박승용;류광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43-35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감염된 IP로부터 악성 공격을 감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온칩버스를 기술한다. 대부분의 상호-연결 시스템(온칩버스)은 모든 데이터와 제어 신호가 밀접하게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말웨어 공격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보안 버스는 개선된 아비터, 어드레스 디코딩, 마스터와 슬레이브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AHB (Advanced High-performance Bus)와 APB(Advance Peripheral Bus)를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또한, 보안 버스는 매 전송마다 아비터가 마스터의 점유율을 확인하고 감염된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관리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하드웨어는 Xilinx ISE 14.7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Virtex4 XC4VLX80 FPGA 디바이스가 장착된 HBE-SoC-IPD 테스트 보드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TSMC $0.13{\mu}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로 합성한 결과 약 39K개의 게이트로 구현되었으며 최대 동작주파수는 313MHz이다.

ACE-BIS: 최적의 버스 노선을 선택하기 위한 비용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개발 (ACE-BIS: A Cost-Effective Bus Information System)

  • 이종찬;박상현;서민구;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7호
    • /
    • pp.655-667
    • /
    • 2006
  • 최근, 모바일 기술 및 GPS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다양한 버스 노선 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대중교통 정보 시스템 ACE-BIS(A Cost-Effective Bus Information System)를 제안한다. 높은 통신비용과 서버의 과부하를 초래하는 기존의 교통 정보 시스템과는 달리, ACE-BIS는 모바일 기기 내에 저장된 버스 정류장 및 노선 데이타를 이용해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노선 정보 및 예상 소요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통신비용을 부담하려는 사용자에게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버스의 현재 위치 및 도로 체증 상황 등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반영한 좀 더 정확한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서버 내에서 관리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 시점의 경로 정보에 대한 서비스도 제공한다. 현실 세계의 특성을 반영한 가상 데이타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안된 시스템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증한다.

도시철도 및 버스의 안내체계 개선방안 (Guidance system improvement method of subway and urban bus)

  • 한우진;권오현;박정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7-1782
    • /
    • 2007
  • Since July in 2004, starting with urban bus reorganizatio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chang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ntegrates the urban bus and the subway of the metropolis are being continued. But the integration of such bus and the subway is staying to only a fare system mainly, and the guidance system of the subway and the bus has not changed. So we propose the concept of the new guidance system following public transportation change tendency. At first we introduce the new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guide city railroad and bus altogether, and we propose new system which can guide divided by the trunk line and the branch line instead of bus and subway. Last high-functional guidance system which can give passengers tip and hint for various and effective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more complicated city transit network is introduced. This new guidance system can increase competitiveness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stretch transportation share of it. And that guidance system is high-class contents that all public transportation business can utilize, so it can originate new industry. In conclusion, this new innovative guidance system is important field that government, local administr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business must be concerned and develop.

  • PDF

정보화시대의 대중교통정책 : 광주광역시의 버스준공영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 Traffic Policy in Information Age: Focused on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전정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19-33
    • /
    • 2010
  • 시내버스는 과거 시민들에게 교통편익을 제공하는 가장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이었지만 최근 자가용의 급속한 증가와 지하철 건설 등으로 버스 이용자는 감소 추세에 있다. 따라서 시내버스업체의 경영여건은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으며, 시민에 대한 교통서비스 수준 역시 낮게 평가되어 왔다. 이에 서울과 부산 및 각 광역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운영의 합리화와 지하철과의 연계 등 대중교통 시스템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경쟁적으로 도입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대도시들에서 채택하고 있는 버스준공영제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및 앞으로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시내버스 운영형태와 외국(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일본 동경도)의 사례를 먼저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대도시들에서 도입한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운영현황, 실시효과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광주광역시의 대중교통현황과 준공영제의 운영 내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대중교통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위치 인식 기반 버스 안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tion-Aware Smart Bus Guide System)

  • 최주연;정자현;박성미;창병모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 인식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안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위치 인식 기반의 서울시 버스 안내 시스템을 PDA와 GPS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버스 정류장 및 선택한 버스 정류장의 노선 정보 등을 안내한다.

  • PDF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주변장치 관리를 위한 Inter-IC Bus Interface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IC Bus Interface for Efficient Bus Control in the Embedded System)

  • 서경호;성광수;최은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535-536
    • /
    • 2006
  • In the embedded system, external device interface that operates serial protocol with lower speed than the general computers is used commonly. This paper describes I2C bus protocol that is a bi-directional serial bus with a two-pin interface. The I2C bus requires a minimum amount of hardware to relay status and reliability information concerning the processor subsystem to an external device.

  • PDF

목표 및 비 목표 모선의 분산전원 최대 Hosting capacity 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istributed Generation Maximum Hosting Capacity of Target and Non-Target Bus)

  • 김지수;오윤식;조규정;김민성;김철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9호
    • /
    • pp.1317-1324
    • /
    • 2017
  • These days, a penetr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DG) has increased in power system. Due to increased penetration of DG, a whole system is forced to install the maximum hosting capacity of DG. Therefore analysis between the maximum hosting capacity of DG at the target bus and the whole system is important. If we know the maximum hosting capacity, it will be able to satisfy the demand of system planner and customer. In this paper, we use a genetic algorithm to calculate the hosting capacity with optimization program using Design Analysis Kit for Optimization and Terascale Applications(DAKOTA). To consider a real system, we establish constraints and use IEEE 34 node test system. In addition, throu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arget bus and the other buses, when capacity of DG at the target bus increases, we analyze which capacity of DG at the other buses will be decreased.

다중 MIL-STD-1553 버스 구조를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의 설계 (A Design of Interface Module for Multiple Level MIL-STD-1553 Bus Topology)

  • 성기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045-105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MIL-STD-1553 data bus 네트워크의 다중화를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 모듈의 설계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일반적으로 MIL-STD-1553 네트워크는 단일 레벨의 버스 토플로지를 사용하지만 응용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데이터 버스의 다중화가 요구된다. 버스의 다중화를 위해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사용되며,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추가 기능이 요구된다. 설계된 인터페이스 모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사용 없이 통신용 트랜시버와 간단한 전자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하드웨어 테스트 및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통하여 설계 제작된 모듈의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