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dock roo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Arctigenin from Burdock Root Exhibits Potent Antibacterial and Anti-Virulence Propertie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 Abdulrahman E. Koshak;Mahmoud A. Elfaky;Hossam M. Abdallah;Dina A. I. Albadawi;Gamal A. Mohamed;Sabrin R. M. Ibrahim;Abdulrahim A. Alzain;El-Sayed Khafagy;Azza A. H. Rajab;Wael A. H. Hegaz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8호
    • /
    • pp.1642-1652
    • /
    • 2024
  • Arctium lappa (Burdock) root is used in various culinary applications especially in Asian Cuisine. Arctigenin (ARC) is a polyphenolic compound abundant in the roots of the burdock plant from which it derives its name. The emergence of bacterial resistance is a growing global worry, specifically due to the declining availability of new antibiotics. Screening for the antibacterial candidates among the safe natural products is a promising approach.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ARC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exploring its effect on the bacterial cell membrane. Furthermore, the anti-virulence activities and anti-quorum sensing (QS) activities of ARC were in vitro, in vivo and in silico assessed against P. aeruginosa. The current results showed the ARC antibacterial activity was owed to its disruption effect of the cell membrane. ARC at sub-MIC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ormation of biofilm, motility, production of extracellular enzymes and in vivo protected mice against P. aeruginosa. These anti-virulence activities of ARC are owed to its interference with bacterial QS and its expression. Furthermore, ARC showed mild effect on mammalian erythrocytes, low probability to induce resistance and synergistically combined with antibiotics. In summary, the promising anti-virulence properties of ARC indicate its potential as an effective supplement to conventional antibiotics for treating severe P. aeruginosa infections.

전처리 근채류의 저장과정중의 품질평가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ld Root Vegetables during Storage)

  • 곽수진;박나윤;김기창;김행란;윤기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58-1167
    • /
    • 2012
  • 현재 전처리 농산물 중 소비비율이 높은 세척 근채류(연근, 우엉, 도라지)의 침지액의 효과 및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근채류의 품질변화는 근채류의 종류와 온도, 저장기간에 따라 pH, 색도, 경도 등의 변화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24^{\circ}C$에는 전처리 근채류의 품질변화가 빨라 $10^{\circ}C$에 저장한 근채류보다 품질유지기간이 평균 3~4일 정도 단축되었다. 침지액에 따른 미생물학적 품질변화 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ASC 처리에 의하여 근채류의 초기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가 가장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미생물 억제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다. 연근 도라지에 AA, CA, ASC 처리한 처리군은 초기 PPO 활성을 유의적으로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지만, 우엉의 경우 ASC 처리에 의한 갈변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AA 처리한 도라지의 경우 TW 처리군에 비하여 오히려 경도가 빠르게 감소하여 품목에 따른 침지 방법에 차이를 두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세척 근채류는 품목에 따라 저장온도와 침지방법이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저장온도 및 세척액 사용과 포장방법을 유지한다면 품질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전남 여수지역 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식품 및 음식의 기호도 조사 (Food and Meal Preference of Workers in the Chonnam Yeosu Industrial Area)

  • 한현미;최일수;정복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2-40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od and meal preference of workers (435 male and 212 female) in the Chonnam Yeosu industrial a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9.3% of the subjects were twenties, 28.3% were thirties, 28.8% were forties and 23.7% were fifties. Females liked rice rolled in dried laver, rice cakes, janchi-noodle and breads, on the other hand males liked thick beef soup, loach soup, an eel stew and soju. The young liked instant noodles, fried chicken, sweet and sour pork, pork cutlet, pizza, hamburger, ham, sausage and fruit beverage, on the other hand the old liked a fish pot stew, loach soup, eel stew, fish boiled in soy with spices, panfried fish, sea slug, ascidian, bunder, green laver and boiled burdock-lotus root in soy. Females who are young liked hamburger and sweet and sour pork whereas males who are young liked instant noodles, pork cutlet, ham, sausage and fruit beverage. Aged females liked fish boiled in soy with spices, panfried fish, bunder, green laver, boiled burdock-lotus root in soy whereas aged males liked a fish pot stew, loach soup, eel stew, sea mussel and oysters. Boiled rice was located within the middle irrespective of age and sex, but noodles, wheat flour meal, fast foods and fruits were situated at the young female side. Aged males liked soup and pot stew. Young males liked meats and eggs whereas fish and shellfish and kimch were located at the aged people side. Aged females liked sea weeds and most people disliked vegetables but females liked some vegetables irrespective of age. Processed foods, salted foods, and alcohol were generally disliked foods by subjects but males liked those foods. Soybean curd was liked more males than females, and teas, except coffee, was liked by mal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4) : 392${\sim}$405, 2009)

콩과 식물에서 추출한 사포닌의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Legumes and Plants Crude Saponin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 류병호;이병호;하미숙;김동석;신동분;남기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45-350
    • /
    • 1986
  • 4종과 콩과 6종의 식물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methyl-5H-pyrido[4, 3-b] indole(T-p-2), 3-amino-1-methyli-midazo[4, 5-f] guinoline(MeIQ) 및 Aflatoxin $B_1$을 이용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 98로서 돌연변원성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콩과 팥의 사포닌(2.0 mg/plate)은 aflatoxin $B_1$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6종의 식물의 사포닌을 대부분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식물에서 추출한 사포닌 중 토란, 우엉 그리고 인삼사포닌은($1.0{\sim}2.0\;mg/plate$)은 MeIQ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인삼과 칡의 사포닌은 우수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Aflatoxin $B_1$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는 더덕을 제외한 식물성 사포닌은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채소 식품의 건강 이미지가 기호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y Image on Preference and Intake of Vegetables)

  • 박모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1-15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mage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19 vegetables. A total of 359 usable surveys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females (51.8%), university students (50.7%), home residents (66.9%) and subject's spending 20,000~40,000 won on meals/week (41.5%) and eat out 2~3 times/week (29.5%). The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was 2~3 times per month. The healthy image of all vegetables was good overall and the average preference was 3.78 (out of 5 on the Likert). Tomatoes had the healthiest image, onions the highest preference, and Korean cabbage the highest intake frequency. For males, the vegetable with the healthiest image was sesame leaf, while the healthiest foods for females were broccoli and tomatoes. Elementary students had a healthier image of cucumber, bean sprouts, radish, sesame leaf, lettuce, radish leaf, and cabbage tha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Home residents had a healthier image of cabbage and burdock than other types of residents. Subject that st over 20,000 won per week on meals had a higher image of most vegetables. In terms of preference, males liked Korean cabbage, green pumpkin, balloon flower roots, radish leaf, and lotus root, but female liked tomatoes. In addition, elementary students, home residents, and subjects who eat out less often tended to prefer vegetables. In terms of intake,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intake for all vegetables in adults. Home residents specifically had a higher intake of cucumber, carrot, bean sprouts, spinach, green pumpkin, balloon flower roots, lettuce, radish leaf, broccoli, burdock, lotus root, and tomato. Overall, the healthy image of vegetab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Therefore, to encourage the intake of vegetables, direct or indirect variables should be examined.

Analysis of Oxalic Acid of Various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 Kim, Dae-Jung;Kim, Hoi-Kyung;Kim, Myung-Hee;Lee, Ju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50-654
    • /
    • 2007
  • Many vegetables contain oxalate at various levels depending on their type and family. Oxalate is known to reduce mineral bioavailability from foods.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oluble and total oxalate contents in 32 plant samples commonly consumed in Korea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hard, amaranth, and spinach contained total oxalate of >1,000 mg/100 g. Approximately 45% of the oxalate in amaranth is insoluble, whereas 74.46 and 92.45% of the oxalates in chard and spinach, respectively, was soluble oxalates, which may be removed by blanching. Eggplant, carrot, leak, ginger root, spinach, burdock, and sweet pepper contained more than 90% soluble oxalate in total oxalate content. However, all oxalates detected in lettuce and celery were insoluble. Oxalate was not detected in shepherd's purse, bellflower root, garlic, radish root, broccoli, cabbage, onion, lotus root, adlay, cucumber, kale, and pumpkin. These observations provide useful information needed for selection of vegetables.

박피 유무에 따른 우엉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Burdock (Arctium lappa L.) Powder in the Peeling Process)

  • 황동주;김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902-910
    • /
    • 2015
  • 우엉을 식재료로 이용함에 있어서 당연시 수반되었던 박피 과정으로 인한 급격한 갈변현상과 조직의 연화, 미생물의 오염 등으로 양질의 우엉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좋은 품질의 우엉을 좀 더 쉽고, 간편하게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박피 여부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박피에 의한 차이가 없었고,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총식이섬유의 함량은 박피하지 않은 우엉이 박피한 우엉에 비해 높았다. 고형분($^{\circ}Bx$), pH, 그리고 총 산도는 박피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색도에 있어 L값은 박피한 우엉이 박피하지 않은 우엉에 비해 더 높아 명도가 밝은 반면에 a값과 b값은 낮았다(p<0.05). 무기질 함량의 경우, 박피하지 않은 우엉의 K, Ca, Fe, P 함량은 박피한 우엉보다 높았지만(p<0.05), Mg과 Na 함량은 박피한 우엉이 더 높았다(p<0.05). 총 지방산의 경우 우엉의 박피에 의한 함량 차이는 없었다. Palmitic acid 함량은 박피하지 않은 우엉이 박피한 우엉보다 높았다(p<0.05). 하지만 oleic acid는 이와는 다른 양상이었다(p<0.05). 총 유리당 함량은 박피 유무에 따라 그 값이 달랐는데(p<0.05), 박피하지 않은 우엉의 fructose, glucose 함량이 박피한 우엉보다 높았고, sucrose 함량은 박피한 우엉이 높았으며, maltose 함량은 박피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D-Malic acid와 acetic acid를 제외한 oxalic, citric, succinic acid의 유기산은 박피하지 않은 우엉이 더 높았고, 유리 아미노산은 박피한 우엉이 필수, 비필수아미노산 모두 높게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결과에 이어 박피 여부에 따른 기능성 및 생리활성, 조리적성, 관능평가 등과 같은 식품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 시판 중인 근채류의 중금속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Root Vegetables on the Retail Markets in Korea)

  • 김덕웅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65-47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mercury(Hg), cadmium(Cd), lead(Pb), arsenic(As), zinc(Zn), copper(Cu), chrome(Cr) and manganese(Mn)' in root vegetables which were produced in Korea. The levels of heavy metals were determined using a mercury analyzer, an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and an AAS(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fter wet digestion. The values of heavy metals 'mean(minimum-maximum)' mg/kg(ppm) in root vegetables (radish, turnip, carrot, ginger, edible burdock, taro, Chinese yam, east indian lotus) were as follows ; Hg : 0.0019(0.0002${\~}$0.0062), Cd : 0.0088(ND${\~}$0.0402), Pb : 0.021(ND${\~}$0.1070), As : 0.0401(ND${\~}$0.1732), Zn : 1.865(0.4186${\~}$6.9319), Cu : 0.648 (0.1826${\~}$4.0172), Cr : 0.121(0.0132${\~}$1.2030), and Mn : 2.730(0.0477${\~}$10.0468) mg/kg. These results showed that Hg were generally similar to and Cd was lower but Ph, As, Zn, Co, Mn were little higher than the levels of those reported contents in root vegetables on retail markets in Korea. Although the tolerable limit of Cd and Hg is not set in a regulation of WHO/FAO, the tested mean levels(Pb, As, Zn, Cu) were lower than the regulated ones of WHO/FAO, Pb '0.1-2.0', As '1.0', Zn '5.0', and Cu 0.1${\~}$50 mg/kg from vegetables. Therefore, root vegetables sold in the retail markets were evaluated as safe in terns of the heavy metal contents.

  • PDF

증건 횟수에 따른 우엉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 연구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During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dures)

  • 이금양;손양주;전유호;강희진;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6-344
    • /
    • 2015
  • 우엉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재배가 쉬운 특징이 있어 각광받고 있으나, 아직은 가공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엉과 같은 근채류의 일종인 인삼, 도라지, 더덕 등이 증숙 및 건조과정 의해 생리활성 성분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증건 공정을 우엉에 적용하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우엉의 활용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증건 우엉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숙(3 h, $90-95^{\circ}C$)과 열풍건조(20 h, $60^{\circ}C$)를 9회 반복 수행하여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wet basis)의 경우, 81.95%의 함량을 보였으며, 증건함에 따라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4%의 함량을 보였다. 일반성분 함량을 건량으로 환산한 결과, 생 우엉의 탄수화물 함량은 85.58%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9회 증건 시 77.80%의 함량을 보였다. 한편, 조섬유의 경우 0회 증건시 10.14%의 함량에서 가공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최종 9회 증건한 우엉에서 26.22%의 조섬유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초기 8.53%에서 점차 증가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16.69%의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 역시 증건과정을 거침에 따라 증가하여 0회 증건 시 0.74%에서 9회 증건 시 1.72%의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회분 함량은 0회 증건 시 5.16%에서 9회 증건 시 3.79%로 감소하였다. 추출 수율은 생 우엉에서 68.95%이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27.10%를 나타내었다. 총 수용성 당, 환원당, 이눌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 우엉은 총 수용성 당의 약 86%가 이눌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증건 과정을 거침에 따라 열작용에 의해 이눌린이 분해되고 환원당이 생성되어 4-9회 증건 시료에서 총 수용성 당의 81-96%가 환원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말색도의 경우, 명도는 초기 84.49에서 9회 증건 처리 시 39.41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4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열수추출물의 갈색도는 7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포닌은 5회 증건 시료에서 6.17%의 최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은 3, 5회 증건 처리 시료에서 약 18-19 mg GAE/g의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유사하게 DPPH,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FRAP활성에서도 3, 5회 증건 시료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 우엉 및 초기 증건 시료에서 풋내, 뿌리채소 냄새, 쓴맛, 떫은, 금속성의 특성이 있었으나, 이후 증건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반면에 단 냄새, 구수한 냄새, 캐러멜 향미 및 바디감의 특성 정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생 우엉의 경우 이눌린의 생리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3-5회 증건한 우엉에서는 총 폴리페놀 및 사포닌 함량의 증가로 인한 높은 항산화 활성과 단맛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엉 증건 횟수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우엉의 이용 가능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예측모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edictive Model for Foodborne Pathogens in Preprocessed Namuls and Wild Root Vegetables)

  • 엔크자갈 라왁사르나이;민경진;윤기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90-1700
    • /
    • 2013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처리 나물류 중 고사리 경우 $13^{\circ}C$에서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가, $8^{\circ}C$에서 S. aureus는 성장하지 않았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성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도라지와 취나물에서 LT, SGR 및 MPD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우엉은 $13^{\circ}C$에 저장한 경우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고사리의 경우, 17, 24, $35^{\circ}C$ 온도에서 B. cereus 포자의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 값보다 2배 연장된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4^{\circ}C$$35^{\circ}C$의 상온에서는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포자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보다 연장되었고, SGR 값은 포자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3^{\circ}C$$17^{\circ}C$에서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가 고온에 비하여 연장되어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3^{\circ}C$ 이하의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B. cereus와 S. aureus 영양세포의 성장특성 비교 결과, $13^{\circ}C$ 이하에서는 B. cereus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S. aureus는 $8^{\circ}C$에서도 성장하였다. 전반적으로 $13^{\circ}C$에서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는 B. cereus의 유도기가 S. aureus 의 유도기보다 3배 이상 연장되었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개발된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 성장예측모델을 구토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실험값으로 검증한 결과, 도라지와 고사리의 LT 모델과 고사리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 값이 허용범위(0.07~1.15)에 속하여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포자 성장모델이 구토형 B. cereus 영양세포, 포자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8{\sim}35^{\circ}C$ 사이에 개발된 S. aureus의 성장예측 모델을 실험에 사용하지 않은 온도(18, $30^{\circ}C$)로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도라지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와 Af 값이 가장 이상적인 1에 가까운 값으로 나타나 실험값과 예측값 사이의 일치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발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의 성장예측 모델은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준과 규격 설정 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전처리 나물류의 HACCP 공정의 CCP(critical control point) 및 CL(critical limit)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