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 management

검색결과 625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폰의 QoS를 위한 적응적인 버퍼관리 방식 (Adaptive Buffer Management Method for QoS of Internet Telephony)

  • 류태욱;이현관;이용구;김주웅;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84-387
    • /
    • 2002
  • 인터넷전화(Internet telephony)는 network를 통하여 음성데이터를 주고받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좋은 음질의 제공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음성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이 되면서 전송지연과 지연 편차등의 Jitter현상에 영향을 받아 음질의 저하를 유발하므로 수신측에서는 적절한 jitter buffer를 제공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전화에서 보다 양질의 음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 입장에서 버퍼관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현재 단말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압축알고리즘의 종류와 수신된 데이터만을 근거 자료로 수신데이터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반응하면서 음질을 향상할 수 있는 버퍼관리 알고리즘이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기존의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상황판단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

멀티미디어 파일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 버퍼 관리 (The Efficient Buffer Management for a Multimedia File System)

  • 홍철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743-1749
    • /
    • 2011
  •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연속적이고 대용량이며 실시간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문형 비디오(VOD)를 서비스하는 멀티미디어 서버에서는 잦은 디스크 입출력 및 프로세서와 디스크 사이의 속도 차이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디스크 접근을 줄이는 효율적인 버퍼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연속적이고 실시간 특성이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대상으로 버퍼의 적중률을 높여 디스크 접근을 줄이고, 동시에 서비스 받는 사용자수를 늘리며 시스템 전반에 걸친 버퍼 이용도를 높이는 버퍼 관리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자원 관리 알고리즘 및 정책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환경하에서의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공간 시간 근접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버퍼 관리 기법 (An Efficient Buffer Management Technique Using Spatial and Temporal Locality)

  • 민준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2호
    • /
    • pp.153-160
    • /
    • 2009
  • 효율적인 버퍼 관리는 시스템의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버퍼 관리 기법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제안된 기법들의 대부분은 시간 근접성만을 고려하고 있다.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환경에서는 시간 근접성뿐 만 아니라, 유사한위치에 있는 공간 객체들은 서로 같이 접근 될 가능성이 높다는 공간 근접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시간근접성과 공간 근접성을 같이 효과적으로 고려하는 버퍼 관리 기법인BEAT를 제안한다. 실제 데이터와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 결과는 BEAT의 효율성을 보인다.

Proposed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 Gballou Yao, Theophile;Kimou Kouadio, Prosper;Tiecoura, Yves;Toure Kidjegbo, August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호
    • /
    • pp.153-163
    • /
    • 2023
  • This study is situated in the context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where in-vehicle devices assist drivers to avoid accidents and therefore improve road safety. The vehicles present in a given area form an ad' hoc network of vehicles called vehicular ad' hoc network. In this type of network, the nodes are mobile vehicles and the messages exchanged are messages to warn about obstacles that may hinder the correct driving. Node mobilities make it impossible for inter-node communication to be end-to-end. Recognizing this characteristic has led to delay-tolerant vehicular networks. Embedded devices have small buffers (memory) to hold messages that a node needs to transmit when no other node is within its visibility range for transmission. The performance of a vehicular delay-tolerant network is closely tied to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nodes' transit buff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ssage transit buffer management model for nodes in vehicular delay tolerant networks. This model consists in setting up, on the one hand, a policy of dropping messages from the buffer when the buffer is full and must receive a new message. This drop policy is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mediate node to destination, queues and priority class of service. It is also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message (size, weight, number of hops, number of replications, remaining time-to-live, etc.). On the other hand, the model defines the policy for selecting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with the ONE opportunistic network simulator based on a 4000m x 4000m area of downtown Bouaké in Côte d'Ivoire. The map data were imported using the Open Street Map tool.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our model improves the delivery ratio of security alert messages, reduces their delivery delay and network overload compared to the existing model. This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within a network of vehicle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oad safety.

프로젝트 일정 단축을 위한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 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CCPM) (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as a New Paradigm for Reducing the Project Delivery Time)

  • 장성용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8-74
    • /
    • 2007
  •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은 기존의 사업관리 방법론인 PERT/CPM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각 과업의 예상 작업시간을 여유시간(padding)을 제거한 평균작업시간을 사용하고 핵심자원(Bottleneck)의 자원경합을 해소한 후 크리티컬 체인을 결정하고 일정계획을 수립하되, 각 과업의 여유시간의 일정 부분을 크리티컬 체인의 뒤에 공통의 프로젝트 버퍼(buffer)로 두어 일정관리 상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크리티컬체인에 포함되지 않은 비크리티컬 체인에 속한 과업들이 전체 일정의 지연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버퍼를 두어 변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원의 조달 상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해 자원 버퍼를 두고 있다. 프로젝트 버퍼 빛 공급 버퍼 관리를 통해 일상적인 일반변동 요인(common cause variation)에 일정 지연 흡수뿐 아니라 특별변동 요인(special cause variation)에 의한 위험의 관리 및 완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프로젝트 버퍼 및 공급버퍼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체인의 전체 길이 1/2을 사용한다. 버퍼관리가 프로젝트 실행 및 통제 매커니즘으로 활용된다. 버퍼관리에서는 버퍼길이를 OK 영역, 주시 및 계획 영역 그리고 행동영역으로 나누고, 프로젝트 상태가 주시 및 계획 영역에 진힙하게 되면 위험상태에 대비해서 비상조치계획을 수립하며, 행동역역에 들어가게 되면 계획된 비상조치계획을 실행함으로써 일정지연을 만화하게 된다. CCPM에서는 작업자들은 자신의 작업을 최선을 다해 열심히 일하고 과업 종료시 즉시 프로젝트 책임자에게 보곰함으로써 후속 과업이 조기에 작업을 개시할 수 있는 릴레이경주 방식의 작업 메커니즘을 따르도록 요청받게 된다. 또한 일정 지연의 가장 큰 주범인 멀티태스킹 작업은 철저하게 금지되도록 관리한다.

  • PDF

Buffer Management Algorithms in Unbounded Buffers

  • Kim, Jae-H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6호
    • /
    • pp.721-724
    • /
    • 2010
  • In a network router, packet loss may occur when it overflows due to sudden burst traffic. This paper studies how much large buffers are required to eliminate the packet losses. There are buffers on which packet arrive and one output port to which a packet is transmitted at a time. The buffer management algorithm should determine one of the buffers whose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port at each time. The front packet belonging to the buffer determined by the algorithm is transmitted. The goal is to minimize the sum of the lengths of buffers to transmit all the packets. We provide an optimal off-line algorithm and also we show the lower bounds of on-line algorithms. The on-line algorithm has no prior information of the packets having arrived in the future. Its performance is compared to that of the optimal off-line algorithm.

Optimal Buffer Allocation in Tandem Queues with Communication Blocking

  • Seo, Dong-Won;Ko, Sung-Seok;Jung, Uk
    • ETRI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86-88
    • /
    • 2009
  • In this letter, we consider an m-node tandem queue (queues in series) with a Poisson arrival process and either deterministic or non-overlapping service times. With the assumption that each node has a finite buffer except for the first node, we show the non-increasing convex property of stationary waiting time with respect to the finite buffer capacities. We apply it to an optimization problem which determines the smallest buffer capacities subject to probabilistic constraints on stationary waiting times.

  • PDF

Stencil Buffer를 이용한 형상의 복셀화 (Hardware accelerated Voxelization using a Stencil Buffer)

  • 장동고;김광수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266-271
    • /
    • 2002
  • We propose a hardware accelerated voxelization method for various 3D object model such as surface models, solid models, and volumetric CSG models. The algorithm utilizes the stencil buffer that is one of modern Open히 graphics hardware features. The stencil buffer is originally used to restrict drawing to certain portions of the screen. The volumetric representations of given 3D objects are constructed slice-by-slice. For each slice, the algorithm restricts the drawing areas constructed inner region of 3D objects using the stencil buffer, and generates slices of the volumetric representation for target objects. As a result, we can provide volume graphics support for various engineering applications such as multi-axis machining simulation, collision detection and finite element analysis.

  • PDF

SAN 환경의 대용량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위한 광역 버퍼 관리기의 설계 (Design of Global Buffer Manager in SAN-based Cluster File Systems)

  • 이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404-2410
    • /
    • 2011
  • 본 논문은 SAN 기반의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 $SANique^{TM}$의 설계 고려사항을 설명하고 특히 대규모의 호스트들이 연결된 상황에서 광역 버퍼 관리기의 데이터 공유 문제점을 기술하고 클러스터 환경에서 확장성과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광역 버퍼 관리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광역 버퍼 관리 기법은 $SANique^{TM}$ 시스템의 로크 관리기에서 관리되는 로크 정보를 활용하여 부가적인 통신 및 시간소요 없이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규모 클러스터 환경에 적용 가능한 광역버퍼 관리기법의 의사코드 및 데이터 공유 예제를 통하여 본 방법의 효율성을 보였다.

멀티미디어 저장 시스템에서 참조 유형을 고려한 혼성 버퍼 교체 기법 (Hybrid Buffer Replacement Scheme Considering Reference Pattern in Multimedia Storage Systems)

  • 류연승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47-56
    • /
    • 2002
  • 멀티미디어 저장 시스템을 위한 기존의 버퍼 캐시 기법들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순차적 접근만을 고려하고 반복 참조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 영상 학습의 경우 사용자가 어떤 장면을 반복 구간으로 설정하면 자동으로 수회 반복 상영하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순차 참조와 반복 참조가 혼재하는 멀티미디어 저장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버퍼 교체 기법인 HBM(Hybrid Buffer Management)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응용 수준에서 파일의 참조 유형을 파일 시스템에게 알려주고 HBM이 각 파일에 적절한 버퍼교체 정책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 HBM은 DISTANCE나 LRU와 같은 이전 버퍼 교체 기법보다 캐시 적중률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