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get execution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예산 집행 관리 방안 연구 (Study on KSLV-II Program's Budget Execution Management)

  • 이효영;조동현;유일상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3권1호
    • /
    • pp.73-78
    • /
    • 2017
  • Space development program is a large and complex system consisting of a multi-disciplinary high-end technologies and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a program management system connected with systems engineering as well as to develop critical technologies. Major organizations in space fields carry out effective budget execu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rategy and objective of space development using information systems. Korea Space Launch Vehicle II(KSLV-II) has adopted a cost management plan using a system engineering to complete the program within the assigned schedule and budget. This paper introduces the budget execution management system applied to KSLV-II budget management and the budget execution dashboard system for supporting program decision making.

경찰의 예산분석 및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fficiency of Police Budget)

  • 박종승;김창윤
    • 시큐리티연구
    • /
    • 제38호
    • /
    • pp.7-32
    • /
    • 2014
  • 본 연구는 경찰의 효율적인 예산집행과 예산확보의 정당성 마련을 위해 경찰의 예산집행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경찰의 예산집행에 대한 국회예산정책처의 보고서를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경찰은 예산집행의 문제점으로 분류되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지적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집행관리의 부적절이 40%에 달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 기관에서도 많이 발생하는 예산의 과다/과소 계상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목적 외 사용을 포함한 법령위반 사항이 10%에 달했다. 부서별 분석결과, 교통국이 40%이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유형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교통국에 대한 효과적 예산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보이며, 생활안전국의 경우는 사업의 유사중복, 예산의 과다/과소 편성, 사업계획 부실 등 집행이전의 예산편성 단계에서의 문제점이, 기획조정관의 경우는 법 제도의 미비로 인한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예산정책처의 보고서 분석결과 교통안전 소통확보가 가장 많은 지적을 받고 있었으며, 경찰행정지원, 범죄예방 및 사회적 약자 보호, 전문경찰 양성, 치안 인프라 구축 순으로 많은 지적사항이 있었다. 이러한 경찰의 예산집행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시적으로 예산의 집행실태와 사업의 진행상황을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부적절한 예산의 사용 등이 발생했을 시에는 부서나 지방경찰청별로 예산을 삭감하거나 부서평가 점수를 감점하는 등의 패널티를 마련해 예산집행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집행과 관련된 문제의 일정부분이 예산의 편성단계에서부터 시작되므로 예산편성 당시 국가재정법과 기획재정부의 예산안 편성지침에 맞게 예산안을 작성해야만 한다.

  • PDF

기술용역 대가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A Study on Practical Ways to Improve Pricing Criteria for Technical Service Contracts)

  • 이태원;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33-43
    • /
    • 2014
  •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기타 공공기관 등이 필요로 하는 각종 시설공사, 물품, 용역 등의 조달은 국가예산을 사용하여 집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하여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 제1항 제2조에서 예정가격의 결정기준 중 원가계산에 의한 가격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이를 근거로 사업목적에 따라 소관부서별로 각기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의 결정을 위한 대가기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용역의 대가기준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용역비 산출방법을 도출하여 공공기관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예산집행을 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심 내 소공원 유지관리 실태에 관한 기초연구 - 김포시 소공원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Small Parks in the City Center - Focusing on Kimpo-si Small Park -)

  • 최정우;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15-924
    • /
    • 2021
  • Today, as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increases, many citied internationally are actively creating small parks, but their maintenance systems remain ineffective.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were deriv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overall urban park maintenance and management. Based on this,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mall parks through data surveys and field surveys related to budget execution on case sites. Then, we sought to clarify the actual stat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mall parks through data surveys and field surveys regarding the budget execution of case sites as a basis for research to prepare an efficient and systematic improvement plan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city parks.

국가과학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부 업무혁신 사례 - 연구비 집행절차 간소화 및 디지털화 - (A Case Study on the Business Innovation for increasing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power - Simplification and Digitalization of R&D Expenses Performance procedure -)

  • 김봉수;이은영;최운백;장보현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58
    • /
    • 2007
  • Considering innovation a key to raising living standards,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put in place various measures meeting the needs of the newly promoted Deputy Prime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measures include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as streamlining the work process to achieve the improvement in quality and efficiency: building the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o promote performance-or tented environment; and running the 1ifelong learning system for better competitiveness of government officials. Further to the innovation efforts at work, the number of steps of the R&D budget execution is streamlined from eight to five and its payment period is considerably reduced to 15 days from 60 days. In addition, the digitalized R&D budget management systems such as e-Contract System, One-click Processing Monitoring System,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rough Short Message Service (SM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R&D performance. And these systems are efficiently integrated into a portal interface named "Yeon-gu-ma-ru."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spearheading nationwide innovation, will continue efforts to make viable achievements of innovation.

  • PDF

국립공원 기초통계자료분석을 기반으로 한 해상·해안형 국립공원 관리운영개선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How to Improve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Basic Statistical Data on National Parks)

  • 이희원;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751-763
    • /
    • 2019
  • National parks, which are preserved areas of $6,726.298km^2$($3,972.589km^2$ on land and $2,753.709km^2$, at sea), take up 6.71% of the national territory, and they are classified by type into 17 mountain parks, 4 maritime or coastal parks, and 1 historical site park. Of them all,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which are preserved areas covering wide tracts of maritime, lately attract increasing numbers of visitors. In this light, this study identifies the issues with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such as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unbalance involved in the budget execution, based on the visitors to the national parks and the specifics of budget executed for them. On this basis, the study has conducted the research with a view to suggesting improvements for more useful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As a result, the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o accommodate those who want to visit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the tour infrastructure needs to be expanded to guide the visitors' use of the facilities by focusing on their touring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Second, budget should be acquired through diversifying revenue structure to eliminate hugely unbalanced budget. Third, visitors nowadays come to national parks for recreational experience or to tour nature, but the maritime or coastal national parks focus on cultural facilities. To accommodate the visitors' needs, the parks should get diversified visitor facilities that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Multi-Stakeholders in Public and Cultural Diplomacies as Seen through the Len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A Comparative Case Study of Germany and South Korea

  • Kim, Hwa Jung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7권1호
    • /
    • pp.68-93
    • /
    • 2018
  • With the emergence of partnerships with private actors in public and cultural diplomacies, complexity in the relations among the various stakeholders involved has arisen, and yet the relevant research is insufficient to shed any beneficial light on such issues. By looking at public-private partnerships,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that resource dependence, trust, and risk a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feasibility of partnerships, and inductively developed propositions on their effects. In an explorative case study, Germany (decentralized mode of governance) and South Korea (centralized mode of governance) were compared as exemplary contrasting system designs. The results revealed that risk and trust are likely to affect the feasibility of partnerships, whereas resource dependence is not. The following additional findings also were made: (1) there are cultural actors in a 'for profit, but with non-profit purposes' sector; (2) an interpersonal level of trust positively affects partnerships; (3) 'taking risks' brings about 'innovation'; (4) the existence of international commonalities between any two cases depending on the actors' shared role, whether public or private; (5) public actors' emphasis on mutual trust, program budget and execution, innovations coming from taking risks, commitment and ownership, and unexpected situations; (6) private actors' consideration of 'publicness' and grant-seeking or financial support as important incentives, and their desire that public actors to show more trust, professionalism, and ownership with less control over budget execution. With its qualitative approach and in-depth analysis, the present study yielded new insights, notwithstanding the relatively small sample data.

재정지출의 시점 간 재원배분 조정에 따른 경기조절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temporal Reallocation of Fiscal Expenditure in Korea)

  • 김성태;허석균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5권2호
    • /
    • pp.71-105
    • /
    • 2013
  • 최근 유로지역의 재정위기 등으로 재정건전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경기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추경과 같은 통상적인 재정확장 수단 이외에 재정의 조기집행이 강조되고 있다. 원칙적으로 재정의 조기집행은 재정건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예산범위 내에서 시점 간 재원배분 조정을 통해 경기변동에 대응하는 재정정책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정의 조기집행과 같이 재정지출의 시점 간 재원배분 조정이 경기조절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통합재정수지 자료를 이용하여 계절적 요인을 제외한 1년 이내 주기의 변동을 추정한 후, 이를 시점 간 재원배분 조정 규모로 정의하고 종속변수인 실질 경제성장률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정지출의 시점 간 재원배분 조정의 경기조절효과는 정책효과의 시차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거시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특정 시점의 재원배분 변동은 동일 회계연도의 인접 시점에 반대 방향으로의 재원배분 조정이 있을 것임을 의미하는바, 전체적인 경기조절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점 간 재원배분 조정은 주요 거시경제변수의 변동성을 하락시켜 거시경제 안정화에 일부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안정화 효과는 금융위기 기간에는 명확하게 나타난 반면, 통상적인 경기변동 기간에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기술혁신체제 하에서의 국가연구개발 평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개발 예산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overnment's R&D Budgeting Evaluation System in Korea)

  • 박병무;이기종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19-839
    • /
    • 2009
  • R&D 규모의 확대는 평가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가 전제이다. R&D 예산 및 사업에 관한 시스템 평가는 예산의 조정 배분과 사업의 성과에 대한 평가로 구분된다. 이 논문은 예산의 조정 배분과 관련한 예산평가 시스템의 운영 측면에서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는 것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예산평가 시스템의 핵심 관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후행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과 평가의 관점을 예산평가에 보다 긴밀하게 연계시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이를 위해서 전반적인 종합조정의 시스템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예산은 정책 기획 집행으로 연결되는 과정이다. 사업을 매개체로 하여 정책에 부합하는 기획내용에 따라 예산을 활용하여 집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연구개발사업의 구조 체계와 예산항목(코드) 구조와의 연계 강화가 중요하다. 이것은 의사결정 시스템 차원에서 정책과 예산의 연계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예산의 조정 배분, 정책과 사업의 성과평가, 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관련 시스템 상의 연계 강화와 운영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의 기능이 정책기획 중심이 되어야 하며 정책부터 평가까지의 전과정상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운영지원 체계로 개편되어야 한다. 조정 배분과 성과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평가 시스템이 되려면 이들의 집행일정과 조사 분석의 내용과 시기가 보다 효용성이 높아져야 한다.

  • PDF

학교시설 유지관리 법제화 방안 연구 (A Study Regarding the Legislation of Maintenance for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25
    • /
    • 2014
  • The recent trend has been consistently raised by the media of educational environment issues such as deteriorated existing school facilities, water-leaks due to the lack of proper maintenance and poor toilet facilities.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budget to be used for maintenance of school facilities, an effort to extend the life of the facility to the max is needed. However, current maintenance system of school facilities is to deal with the defects after discovered, and consequently the durable period is shortened due to early deterioration of facilities and efficient budget execution cannot be realized. For this reason, the result emphasizes the need to improv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school facilities, and proposes a systematic bill of school facilities maintenance according to expert investig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school facilities maintenance-related information that is distributed to a number of l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