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tic though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고대(古代) 의안(醫案)에 나타난 불교사상 연구 -의료윤리와 정신치료를 중심으로- (Research for the Buddhist Thought of Ancient Medical Record -Focus on Medical Ethics and Psychotherapy-)

  • 김근우;박서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9-122
    • /
    • 2013
  • Objectives : To research the needed Buddhistic ethical beliefs and psychotherapy from representative medical records of oriental medicine. Methods : The baseline data this research used is Myeong-Ui-Lyu-An, Sok-Myeong-Ui-Lyu-An, Ui-Bu-Jeol-Lok and from the variety of medical records; we extracted 22 medical records that refer to Buddhist thoughts. The sequence of medical records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ll medical records and grouping them by their categories. Results : The representative ethical mind that a doctor needs is the 'mercy thought' from Buddhism. This way, the doctor has 'pity' on patients and expects no reward for what he had done. 'Spells and religious beliefs developed into medical treatment procedures by Buddhism and oriental medicine psychotherapy. Using the belief that everything is made of the mind, which is the point of the 'Hwa-Eum' theory and the realization that the psychotic factors have a big role in the occurrence and progress of sicknesses, we emphasized supportive psychotherapy or more specifically, the suggestive therapy. 'Anguish' is an important point in the occurrence and progress of illnesses. To solve this, we used 'Zen family's 'Zen self-discipline' and ascetic life from Buddhism. According to Buddhism, a human's metal conflict and love or malingering from obsession is the cause of all mind illnesses. To heal these, a doctor must have an insight of the patient's mind more than the symptoms. Conclusions : Buddhistic thoughts suggested clearly the mentality necessary for oriental medical psychotherapist and medical ethics for a doctor.

'경험-학습' 이론에 비추어 본 『삼국유사』 설화의 수양론적 특징 - 낙산사·분황사·금산사에 얽힌 세 설화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 of cultivating theory in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reflected to "Experience-Learning" theory - In the central figure of Three Fables with Naksan temple, Bunhwang temple, and Geumsan temple)

  • 최승현;김영훈;신창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71-394
    • /
    • 2011
  • 한국의 전통교육에서 불교는 큰 영향력을 차지하고 있다. "삼국유사"는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민중성을 담보하고 있는 저작이다. 넓은 범위에서 민중성은 민중들의 수양교육으로 이어진다. 본고는 "삼국유사"에 나타난 불교적 민중성을 존 듀이의 '경험-학습' 모델에 근거하여 수양교육의 모습으로 검토한 것이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성인-되기'라는 '의미-경험'은 불교적 세계관인 생성의 지평에서 볼 때, 강력한 수양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다. 듀이의 이론을 현대화한 듀이-들뢰즈적인 수양교육은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삼국유사"의 세 설화와 민중성이라는 지점에서 만난다. 이는 서구의 교육론과 한국의 전통사상의 수양론이 상호 교차하면서 독해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승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민중의 성장과 성숙을 다루고 있는 "삼국유사"의 설화에는, '충동-관찰-지식-판단'에 이르는 수양 교육의 과정을 통해, 불국토(佛國土)의 성취를 염원한다. 이러한 일련의 '성인-되기'의 과정은, 그 삶 자체가 수양론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런 점에서 "삼국유사"의 설화는 한국의 전통 수양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서구의 교육이론과 접목할 수도 있는 수양교육의 담론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 (A Study on the Dao of Buddhism in Daesoon Thought)

  • 김귀만;이경원
    • 대순사상논총
    • /
    • 제29집
    • /
    • pp.101-140
    • /
    • 2017
  • 한국은 삼국시대 이래로 '삼교(三敎)'의 영향아래 놓여있었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삼교'라는 표현과 함께 '삼도(三道)'라는 술어가 한국의 신종교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대순사상에서는 '유불선'과 함께 '관왕(冠旺)'이라고 하는 종교적 경지에 대한 언급이 있어 주목된다. 이 연구는 '삼교'와 '삼도'를 구분하고 그 차이점에 착안하여, 대순사상에 나타난 '관왕'이라는 경지를 이해하며, '삼도관왕'의 관점에서 종교로서의 불교와 종교적 원리로서의 불도를 밝혀보고자 한다. II장에서는 먼저 동양전통에서 '도'와 '교' 그리고 서양전통의 '종교(Religion)' 개념을 확인하고, 근대 시기 한국의 종교가를 중심으로 퍼진 '삼도'라는 술어가 동양과 서양의 종교를 포괄적 원리로 말하기 위한 관점으로서의 '삼도론(三道論)'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III장에서는 『전경』 전반에 걸쳐 언급되는 내용에서 불도 혹은 불교문화적인 의의를 불보살 신앙과 불교교리, 승려 그리고 사찰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IV장에서는 대순사상의 불도관 특징을 불지형체(佛之形體)로서의 불도, 불지양생(佛之養生)으로서의 불도 그리고 불도 종장(宗長)으로서의 진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볼 때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는 대순사상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관점을 제기하고 있다. 즉 대순사상의 위상은 불도나 불교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불도가 지닌 '형체' 혹은 '양생'의 특징을 하나의 축으로 한 관왕의 경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오늘날의 종교현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의 불교를 불도의 원리 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불타(佛陀)의 재가아동관(在家兒童觀) (Buddha's View on Children in the Family)

  • 백경임
    • 아동학회지
    • /
    • 제2권
    • /
    • pp.55-66
    • /
    • 1981
  • Research on children should be perferably made in reference with the past thinking if it is to be affirmed by the present and to predict the future. In this respect, Buddhism, which is one of the major original thinkings in the Orient as well as the most influential religion upon Koreans daily lives and attitudes, deserves to be researched in the light of education of children. In this thesis, I have made a trial to delve into the original Buddhistic scriptures to find out Buddha's outlook on home children and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1. Concerning human development stages, Buddha regarded the starting point of human life from fertilization instead of birth, even at that ancient time, and the fetal life was devided into 4, 5, or 8 stages. 2. In spite of the numerous scriptures by Buddha, very little is written about children, and even these teaching did not regard the child as an independent entity. In addition, since Buddha was a person of superior enlightenment, he did not regard the age of human beings as of great importance. 3.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Buddha warned the extra ordinary attachment of parents toward children, because such attachment would be an obstacle in the search of truth. This idea was originated from his though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not a single fixed one but of unlimited variation through numerous life times of reincarnation. This idea gives some illumination upon the problems of today's education where parent's exclusive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and over-protection are hindrance for successful education. 4. Buddha put emphasis on parents' social duty, by which he meant that parents should care and accept not only their biological children but all children and all living things as if they were their own children. 5. Regardeding the children's role to their parents, Buddha taught that children should respect and support their parents under any condition. Buddha also emphasized that true filial piety was to help parents to improve their religious status by helping them attain the truth, morality, and wisdom. It is my intention to investigate Buddha's View tin children of entering pristhood.

  • PDF

동양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한국도시경관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ownscape in Perspective of the Oriental World View)

  • 김한배;이규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5-68
    • /
    • 1994
  •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the city form especially in the preindustrial age resembled their own world view, either in the western or the eastern cultural sphere. So, we aimed to re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world views compared with the western one, in order to find the relative nature of the Korean townscapes. It is said that the both world views(of western and oriental) are composed of the contrastive binary concepts in common, but there seems to have been nearly contrary differences in these two world views. Wheareas the former was based on the passively segregational and oppositional dualism, the latter, on the dynamically harmonious and complementary dualism, called generally as 'Yin(陰) and Yang(陽)'. Thus, the oriental world view can be thought as the 'philosophy of the relationship', which aim to unify the dualism ultimately with the help of this relationship. So, we can assume a certain third and intermediate concept between these dual concepts of the world view, which can unify these two into the one holistic whole. And the focuses of the most traditional oriental philosophies were concentrated on this, so called, 'the third concept', namely Taoistic 'Tochu(道樞)', Buddhistic 'Kong(空)' or Confucian 'Chung(中)'. And this triple concept, including the third one, of the oriental world view revealed a more concrete form of the cosmological relationship, as the triple structure; 'Heaven(天), Earth(地), and Man(人)', in which the 'Man' is thought as the middle or the center of the world. In this manner, we could found this oriental 'triple world view' was revealed in the real topology of most places in the Korean traditional city and the whole townscape itself. So, in the scale of houses and the roads around them, we can construe the 'Maru(a central board-floored room)' and the 'Madang(a inner court)' as the 'third and intermediate space(中)' between the interior space(陰) and exterior space(陽) in the former, and between the private house(陰) and the public residential road(陽) in the former case, and between the dual parts(陰,陽) of the city representing the contrary social classes and the contrastive visual landscapes. So, we insist that this 'triple world view' represented in the townscape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townscape. And this third intermediate spaces, which generate the active social contact and the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the people, can be the most important cues, as the central pla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townscapes even in contemporary circumstance, which inherits its spatial and social frame more or less from the preceding one.

  • PDF

동아시아 사유에 있어 의식 공간의 경계 문제 (Boundaries of Conscious Space in East-Asiatic thoughts)

  • 이명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62호
    • /
    • pp.209-229
    • /
    • 2016
  • 이 논문은 동아시아적 사유를 통해 경계의 의미에 대하여 접근함으로써 경계 담론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한다. 사람에게는 우선 '나'라는 '자기 경계'가 있다. 그 몸 경계 속에 정신활동의 경계가 있어서 타자를 대상으로 여기거나 대상을 그려낸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원초적으로 경계는 국경, 강계(疆界)를 가리키는데, 그것은 물론 불교의 공(空)의 세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경계는 동아시아 사유에서 '인간의 의식이 향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고, 그것은 정치, 사회, 문화, 예술 방면에 걸친 것이어서 그리 단편적이지도 않다. 사람에게 생명이 있는 한, 참으로 다가가지 않으면 안 되는 '경계'도 있고, 정신적으로는 욕망, 의지, 관념이 빚어내는 경계도 있다. '경계' 의미에는 사람의 사물 인식 체계에 관계되는 것도 있다. 눈, 코, 입, 귀, 신체 등 오감의 인식 과정에 의한 경계도 있다. 그런 경우라면 다분히 불교적인 맥락에 기초한 사물 인식 차원에 관한 접근인데, 그 같은 인식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경계'는 궁극적이거나 바람직하지 않아서 탈피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이 같은 점에 유의하여 경계의 의미, 인간의 의식이 불가피하게 만드는 경계, 부정적인 인식의 경계 등을 성찰하면서 우리가 진정으로 만들어야 하거나 탈피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계 문제를 이 논문은 접근한다.

사찰림 관리자와 일반인의 인식조사를 통한 불교수목원 조성방안 (Establishment of a Buddhist Arboretum through a Survey of Temple Managers and Laypersons)

  • 이영경;이병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04-114
    • /
    • 2014
  • 오늘날, 산림자원은 생물종 다양성과 관광 및 휴양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사찰림은 우리나라 산림의 1.3%를 차지하고 자연생태가 매우 양호하나, 관리가 미비한 실정이다. 근래 불교계 내부에서는 사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기여하면서 산림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활용대안으로서 불교수목원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수목원의 조성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찰림 관리자 105명과 일반인 130명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불교수목원을 통해 사찰림 관리자는 불교문화 홍보와 사찰의 이미지 향상에 대한 관심이 더 높고, 일반인은 휴양과 교육에 대한 기대가 더 높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전통사찰의 유산가치 보존과 사찰림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특히, 두 집단 모두 불교수목원의 필요성을 시급성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사찰림 관리를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불교수목원은 배타적이지 않은 이용을 도모하고 사찰지역의 자연생태적 특성을 감안하여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불교수목원의 계획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불교수목원은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하면서 불교 내부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과 일반인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진행하여야 한다. 둘째, 사찰림 보전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설정하며, 이와 함께 휴양과 교육기능을 강조하여야 한다. 셋째, 배타적이지 않은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 불교수목원은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혼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 만족을 높이고 교육효과를 달성하여야 한다. 넷째, 불교경전 식물 등 불교와 관련있는 식물을 통해 불교적 정체성이 있는 수목원을 조성하도록 한다. 다섯째, 식물수집에 있어서도 사찰의 이미지와 자원특징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 사찰림의 보존 및 관리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불교수목원은 보존 수집형 수목원과 전시 교육 휴양형 수목원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I) - 15신위와 양위상제를 중심으로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Outlook on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II) - Focusing on 15 Godship and Yang-wui Sangje (Sangje in two Godship) -)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23권
    • /
    • pp.241-292
    • /
    • 2014
  • This article as an attempt to analyze Jin-beop-joo(眞法呪, incantation of true law) and the view of Yang-wui Sangje(兩位上帝, Sangje in two Godship) corresponds to the second preliminary work prior to the research on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The poin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Jin-beop-joo and 15 Godship(神位) based hereupon are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comprising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Since the other Jeungsan line religious orders except Daesoonjinrihoe does not use 15 Godship in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Jeungsan, this fact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Daesoonjinrihoe. Second, 15 Godship is the important installation to assemble Sangje and the other gods in the same place. In Buddhism temples and China-Taoism temples, the gods each are placed in a separate palace. Whereas Sangje and the gods are concentrated in the same place, Yound-Dae(靈臺) which is the shrine of Daesoonjinrihoe. This fact shows Sangje takes the reins to the gods visually. 15 Godship facilitates that system. Third, the number 15 of 15 Godship symbolizes the natural laws of the cosmos. Thus the shrine of Daesoonjinrihoe implies the law of universe emblematically. Forth, 15 Godship shows that the Highest God in Daesoonjinrihoe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unctional gods ruling over nature like mountain, sea, season, the Great Dipper, and Taoistic or Buddhistic gods like Ok-hwang Sangje(玉皇上帝, The Great Jade Emperor), Seoga-Yeorae(釋迦如來, Tathāgata Buddha), Kwan-seong-Jegoon(關聖帝君, Holy god Guan Yu), along with various envoys and ancestral gods. Besid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15 Godship consists of the Eastern deities, it verifies the view of Sangje in Daesoonjinrihoe is built in the Eastern religions. Fifth, whereas the other Jeungsan line religious orders have a tendency of understanding Jeungsan as Ok-hwang Sangje, Daesoonjinrihoe worships Jeungsan as Gu-cheon Sangje(九天上帝), not as Ok-hwang Sangje. This accords with the following fact; Jeungsan is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Gu-cheon, whereas in Jinbeonju, which was handed down from Jeungsan, the highest ruling entitiy in Gu-cheon is expressed as a different being from Ok-hwang Sangje. Sixth, Daesoonjinrihoe understands Sangje as the form of two Godship, Yang-wui Sangje, which are Gu-cheon Sangje and Ok-hwang Sangje. Judging from the form of salutation, the status of these two Sangjes are the same. Yet, the object of belief is Gu-cheon Sangje as the highest God, while Ok-hwang Sangje is stipulated as the one who has wielded a true law succeeding to the Gu-cheon Sangje's will. The religious term of Yang-wui Sangje don't imply meaning Gu-cheon Sangje and Ok-hwang Sangje are the same rank. Yang-wui Sangje is the term expresses Sangje in two Godship and involves the orthodox heritage of Daesoonjinrihoe.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Outlook on the Highest Ruling Entity in Daesoonjinrihoe (I), this article is written, while giving a thought to construct the religiography on the highest God in Daesoonjinrihoe. I hope this article accompanied with the previous one, can be contributed to the fertilization of the soil in the field of Daesoon religious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