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oundaries of Conscious Space in East-Asiatic thoughts

동아시아 사유에 있어 의식 공간의 경계 문제

  • 이명수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6.02.28
  • Accepted : 2016.03.23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thesis is to discover the meanings of boundary through East Asian thought so as to make rooms for discoursing on it. First of all people have their own boundaries of 'Me', and they make others as persons or objects in their thoughts. Originally boundary has represented nation's frontier, and it indicated the worlds of space in Buddhism of East Asian culture. It is represented by loka or visaya in Sanskrit and region, dominion, boundary, border in English, which means the worlds that people would fancy in their minds over domains of politics, societies, culture, arts ect, not to be simple. Accordingly we must not approach to its meaning simply like 'beyond border'. There are many boundaries, which are similar to the sublime, for us to arrive in our lives. Spiritually there are also many boundaries(regions) that are made by our desires, wills and concepts. In a while there are limit or problem in our recognizing things, for example, of human's five senses that would be, to an extent connected with Buddhistic understanding of boundaries. Boundaries resulted from partiality in understanding of objects must be got rid of eventually. In regard of these matters, this thesis discusses the meanings of boundary, those that are inevitably made by human's consciousness, and negative ones to be got over from recognition systems of person or any groups.

이 논문은 동아시아적 사유를 통해 경계의 의미에 대하여 접근함으로써 경계 담론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한다. 사람에게는 우선 '나'라는 '자기 경계'가 있다. 그 몸 경계 속에 정신활동의 경계가 있어서 타자를 대상으로 여기거나 대상을 그려낸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원초적으로 경계는 국경, 강계(疆界)를 가리키는데, 그것은 물론 불교의 공(空)의 세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경계는 동아시아 사유에서 '인간의 의식이 향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고, 그것은 정치, 사회, 문화, 예술 방면에 걸친 것이어서 그리 단편적이지도 않다. 사람에게 생명이 있는 한, 참으로 다가가지 않으면 안 되는 '경계'도 있고, 정신적으로는 욕망, 의지, 관념이 빚어내는 경계도 있다. '경계' 의미에는 사람의 사물 인식 체계에 관계되는 것도 있다. 눈, 코, 입, 귀, 신체 등 오감의 인식 과정에 의한 경계도 있다. 그런 경우라면 다분히 불교적인 맥락에 기초한 사물 인식 차원에 관한 접근인데, 그 같은 인식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경계'는 궁극적이거나 바람직하지 않아서 탈피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이 같은 점에 유의하여 경계의 의미, 인간의 의식이 불가피하게 만드는 경계, 부정적인 인식의 경계 등을 성찰하면서 우리가 진정으로 만들어야 하거나 탈피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계 문제를 이 논문은 접근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