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 of cultivating theory in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reflected to "Experience-Learning" theory - In the central figure of Three Fables with Naksan temple, Bunhwang temple, and Geumsan temple

'경험-학습' 이론에 비추어 본 『삼국유사』 설화의 수양론적 특징 - 낙산사·분황사·금산사에 얽힌 세 설화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8.13
  • Accepted : 2011.09.0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Buddhism have affected Korea traditional education very much. Sam Guk Yu Sa is a book which includes the public disposition grounded on world view of Buddhism. In the wide scope, the public disposition relates to their cultivating education. This paper reviewed cultivating education grounded on John Dewey "experience-learning" model about the Buddhistic public disposition appearing in Sam Guk Yu Sa. "Meaning-experience" as "adult-becoming" appearing in Sam Guk Yu Sa shows a strong characteristic of cultivating education when we see on a creative horizon in the Buddhistic world. Dewey-Deleuze's cultivating education which modernizes the theory of John Dewey meets at the place of the public disposition and three fables of Sam Guk Yu Sa grounded on the Buddhistic world. This could open possibility to interpret the cultivating theory of Korea traditional thought and western educational theory with interdigitation. Fables of Sam Guk Yu Sa dealt with growth and maturity of the public from Buddhist monk to folk wishes to achieve Bulgukto(佛國土; the land with Buddha) through the process of cultivating education which leads to "impulse-observation-knowledge-determination." In these series of process for "adult-becoming," life itself possesses characteristic of cultivating theory. In this respect, fables of Sam Guk Yu Sa shows Korea traditional cultivating theory and can be a role of a discourse book for cultivating educational theory which could relate to western educational theory.

한국의 전통교육에서 불교는 큰 영향력을 차지하고 있다. "삼국유사"는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민중성을 담보하고 있는 저작이다. 넓은 범위에서 민중성은 민중들의 수양교육으로 이어진다. 본고는 "삼국유사"에 나타난 불교적 민중성을 존 듀이의 '경험-학습' 모델에 근거하여 수양교육의 모습으로 검토한 것이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성인-되기'라는 '의미-경험'은 불교적 세계관인 생성의 지평에서 볼 때, 강력한 수양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다. 듀이의 이론을 현대화한 듀이-들뢰즈적인 수양교육은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삼국유사"의 세 설화와 민중성이라는 지점에서 만난다. 이는 서구의 교육론과 한국의 전통사상의 수양론이 상호 교차하면서 독해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승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민중의 성장과 성숙을 다루고 있는 "삼국유사"의 설화에는, '충동-관찰-지식-판단'에 이르는 수양 교육의 과정을 통해, 불국토(佛國土)의 성취를 염원한다. 이러한 일련의 '성인-되기'의 과정은, 그 삶 자체가 수양론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런 점에서 "삼국유사"의 설화는 한국의 전통 수양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서구의 교육이론과 접목할 수도 있는 수양교육의 담론서 역할을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