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ao of Buddhism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

  • Kim, Gui-man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 Lee, Gyung-won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17.10.15
  • Accepted : 2017.10.3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Currently, the whole world is being swept away by spiritual movement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s, Korea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ree Teachings". But during the modern times, the word "The Three Daos" began to be widely used alongside the expression "The Three Teachings" within various circles of New Korean Religions. Regarding this, Daesoon Thought is particularly noteworthy due to its description of the religious realm spoken of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figurehead of that realm, the "Gwan-wang (Crowned 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 distinction no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Teachings" and "The Three Dao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Gwan-wang" in Daesoon Thought and to facilitate the study Buddhism as both a religion and a religious principle within the context of "The Gwan-wang of the Three Daos". Chapter II, details the conceptions of "Dao" and "Teaching" in the Eastern tradition and "Religion" in the Western tradition. This chapter includes a discussion of how the word "The Three Daos" could be approached as a "Theory of the Three Daos" that explains the religions of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comprehensive principles. Chapter III goes through descriptions in the Jeon-gyeong of Buddhistic faiths, doctrines, monks, and temples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Dao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as contained in the Jeon-gyeong. In chapter IV, the Buddhistic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is clarified in three ways: the Dao of Buddhism as the "substance of form", oneness as "growth and nurturing", and "Jinmuk" as the leader of the Dao of Buddhism. From this discussion, it is shown that research on the Dao of Buddhism in Daesoon Thought is a crucial avenue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Daesoon Thought.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Daesoon Thought is not irrelevant to the Dao of Buddhism or to Buddhism proper, but Daesoon Thought should instead be understood as pursuing the state of Gwan-wang (Crowned King), which has the Dao of Buddhism as an axis characterized as "the substance of form" or as "growth and nurturing". Also, it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by which the various aspects of Buddhism as a modern day religious phenomenon of can be understood under the principle of the Dao of Buddhism.

한국은 삼국시대 이래로 '삼교(三敎)'의 영향아래 놓여있었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삼교'라는 표현과 함께 '삼도(三道)'라는 술어가 한국의 신종교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대순사상에서는 '유불선'과 함께 '관왕(冠旺)'이라고 하는 종교적 경지에 대한 언급이 있어 주목된다. 이 연구는 '삼교'와 '삼도'를 구분하고 그 차이점에 착안하여, 대순사상에 나타난 '관왕'이라는 경지를 이해하며, '삼도관왕'의 관점에서 종교로서의 불교와 종교적 원리로서의 불도를 밝혀보고자 한다. II장에서는 먼저 동양전통에서 '도'와 '교' 그리고 서양전통의 '종교(Religion)' 개념을 확인하고, 근대 시기 한국의 종교가를 중심으로 퍼진 '삼도'라는 술어가 동양과 서양의 종교를 포괄적 원리로 말하기 위한 관점으로서의 '삼도론(三道論)'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III장에서는 『전경』 전반에 걸쳐 언급되는 내용에서 불도 혹은 불교문화적인 의의를 불보살 신앙과 불교교리, 승려 그리고 사찰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IV장에서는 대순사상의 불도관 특징을 불지형체(佛之形體)로서의 불도, 불지양생(佛之養生)으로서의 불도 그리고 불도 종장(宗長)으로서의 진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볼 때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는 대순사상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관점을 제기하고 있다. 즉 대순사상의 위상은 불도나 불교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불도가 지닌 '형체' 혹은 '양생'의 특징을 하나의 축으로 한 관왕의 경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오늘날의 종교현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의 불교를 불도의 원리 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2. 『대순진리회요람』
  3. 『삼국사기』
  4. 『삼국유사』
  5. 『주역』
  6. 『중용』
  7. 『중용장구』
  8. 강대공, 「번뇌와 길상을 통해 본 108법수의 기원과 발전」, 『인도철학』 39, 2013. http://uci.or.kr/G704-001529.2013..39.009
  9.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개론』,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2.
  10. 권선향, 「송대 리학의 본체론에 끼친 불교의 영향」,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 권오민, 『인도철학과 불교』, 서울: 민족사, 2012.
  12. 길희성, 『인도철학사』, 서울: 민음사, 2009.
  13. 김귀만, 「강증산 사상에 나타난 선도관 연구」, 『선도문화』 21, 2016. http://uci.or.kr/G704-SER000001102.2016.21..006
  14. 김방룡, 「증산교와 진묵대사」, 『신종교연구』 4, 2001.
  15. 김석근, 「대승불교에서 주자학으로」, 『정치사상연구』 1, 1999.
  16. 김용옥,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통나무, 1994.
  17. 김용옥, 『중용 인간의 맛』, 서울: 통나무, 2011.
  18. 김탁, 「한국종교사에서의 불교와 증산교의 만남」, 『동양고전연구』 3, 1994.
  19. 나광, 『유가의 형이상학』, 안유경 옮김, 서울: 기창, 2006.
  20. 뢰영해, 『불교와 유학』, 김진무. 류화송 옮김, 서울: 운주사, 2010.
  21. 류성민, 「종교학 방법론 소고-한국적 정황을 중심으로」, 『종교학연구』 13, 1994.
  22. 류승국, 『유가철학과 동방사상』,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23. 류승국, 『한국유학사』,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24. 무르띠, 『불교의 중심철학: 중관 쳬계에 대한 연구』 김성철 옮김, 서울: 경서원, 1995.
  25. 민영규. 조명기 감수, 『불교대사전』, 서울: 명문당, 1995.
  26. 박광수. 조성환, 「근대 일본의 '종교' 개념과 종교의 도구화」, 『신종교연구』 34, 2017. http://doi.org/10.22245/jkanr.2016.34.34.207
  27. 아서 라이트, 『중국사와 불교』, 양필승 옮김, 서울: 신서원, 1997.
  28.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종교의 의미와 목적』, 길희성 옮김, 칠곡: 분도출판사, 2009.
  29. 윤석산 역주, 『도원기서』,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2.
  30. 은정희. 송진현 역주,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서울: 일지사, 2000.
  31.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32. 한자경, 「대순진리의 통전적 종교정신과 삼도관왕」, 『제2회 동아시아 신 종교 국제학술대회』,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2015.
  33. 이능화, 『백교회통』, 강효종 옮김, 서울: 운주사, 1989.
  34. 이봉순, 『보살사상 성립사 연구』, 서울: 불광출판부, 1998.
  35. 이정호, 『원문대조 국역주해 정역』,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6.
  36. 이찬수, 「고대 인도의 영혼관-초기 대승불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전학』 10, 2004.
  37. 장립문, 『도(道)』, 권호 옮김, 서울: 동문선, 1995.
  38. 장석만, 「개항기 조선사회의 '종교'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39. 정인택, 「한국 근대의 미륵신앙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40. 조성환, 「중국적 사상형태로서의 교(敎)」, 『철학사상』 11.12, 2007.
  41. 최영성, 「』정역』과 한국사상-사상적 연원 탐구」, 『율곡학연구』 34, 2017.
  42. 최정규, 「증산도의 관왕삼교론」, 『증산도사상』 5, 2001.
  43. 한자경, 『불교 철학의 전개』, 서울: 예문서원, 2005.
  44. 한자경, 『불교의 무아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7.
  45. 함현찬, 「성리학의 태동과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 『동양철학연구』 67, 2011.
  46. 혜능. 단칭선사, 『혜능 육조단경』, 김진무 옮김, 서울: 일빛, 2010.
  47. 홍병화. 김성우, 「조선후기 대형요사 형성배경과 분류」, 『대한건축학회론문집: 계획계』 25-4, 2009. http://uci.or.kr/G704-A00167.2009.25.04.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