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t painting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7초

강진 무위사 극락전과 후불벽화의 조성배경 (A Study on the Sources of Creativity in Buddhist Mural Paintings of Muwisa and Geungnakjeon in Gangjin)

  • 배종민
    • 고문화
    • /
    • 58호
    • /
    • pp.119-136
    • /
    • 2001
  • 이 연구의 주제는 무위사 극락전의 건립과 후불벽화의 조성배경을 살펴본 것이다. 무위사 극락전이 건립된 것은 세종 12년(1430)의 일이었으며, 후불벽화는 성종 7년(1476)에 조성되었다. 그런데 이 시기는 억불정책이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었다. 따라서 무위사에서 어떻게 극락전의 건립이 가능하였고, 누가 벽화의 조성에 참여하였는지 궁금해진 것이다. 무위사 극락전의 건립은 지유와 대화주, 그리고 시주가 주도하였다. 이들 중 가장 중요시된 것은 지유었다. 특히 지유 효영은 효영대군 이보와 동일인물로 믿어진다. 무위사 극락전의 건립은 자복사와 수륙사로 공인된 데 힘입은 불사였다. 자복사는 왕실의 명복을 기원하는 원찰의 성격을 지닌 사찰이었으며, 수륙사는 수륙재를 베풀 목적으로 특별히 지정된 사찰이었다. 수륙재는 적을 포함한 전망자와 모든 망영을 위로하는 불교의식이었다. 자복사와 수륙사에는 국가로부터 각종 지원이 뒤따랐다. 따라서 효령대군의 무위사 불사참여도 이러한 배경에서 이해되는 것이다.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후불벽화는 강진으로 낙향한 양반과 토착세력이 주도하고 대선사와 양인 부여자, 부곡민과 노비가 동참한 불사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신분의 인물들이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무위사가 수륙사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수륙사에서 베풀어지는 수륙재는 모든 망영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왕실부터 서민에 이르는 폭넓은 참여계층을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세종 2년에 수륙재가 공인된 유일한 상예가 되면서, 왕실의 구병부터 전염병의 방지를 기원하는 재에 이르기까지 그 역할과 참여계층의 확대가 이루어 됐던 것이다. 무위사가 자리잡은 남해 연안지역은 왜구의 약탈이 극심한 지역이었다 이 당시에 아미타신앙과 지장신앙이 성행하였는데, 그 배경에는 왜구로부터 당하는 혹독한 고초로부터 벗어나려는 열망이 깔려있었다. 무위사가 수륙사로 지정되고, 대웅전이 아닌 아미타여래를 본존불로 하는 극락전이 건립된 까닭이 여기에 있었다. 이후 강진지역의 사람들은 신분의 구별 없이 무위사의 수륙재에 참여하면서 커다란 위로를 받았다고 믿어진다. 그리고 차츰 무위사 극락전을 수륙사라는 사격에 걸맞게 장엄하려는 공감대를 형성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무위사 극락전이 건립된 후 45년 만에 극락전의 내부가 개조되고, 아미타후불벽화가 조성될 수 있었던 것이다.

  • PDF

조선시대 괘불탱 및 괘불궤 수종에 대한 연구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 김순관;최재완;정아름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5-548
    • /
    • 2016
  •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수출회화로서 기산 김준근(箕山 金俊根) 풍속화 연구 (A Study on the Genre Painting by Gisan Kim, Jun-Geun as Export Painting)

  • 김수영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8호
    • /
    • pp.89-119
    • /
    • 2009
  • Kim, Jun-Geun(Gisan) was a late 19th century Chosen dynasty painter who created numerous genre paintings for West European clients in the newly opened treaty ports of Wonsan, Busan and Inchon. The treaty ports in the late 19th century Chosen represented of the crossroads the economy, values, and the institutions of the West European powers. In particular, the agriculture-based economy, Confucianism, and land-owner noble class started being eroded by a commerce-based economy, the values of Christianity, West European institution, and a new class of people who amassed wealth from commerce. As Kim, Jun-Geun's paintings were created for sale to West European clients, they exhibit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genre paintings in terms of presentation styl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matters. The export genre painting originated in the 18th century around Guangdong, China. Broadly, there are two styles of genre paintings: the Guangzhou style and Ningbo style. Kim, Jun-Geun's paintings resemble the Ningbo style. The Ningbo style tends to highlight the main subjects, form an album of small paintings, and provide a simple treatment of the scenes without the background. Kim, Jun-Geun's paintings cover most aspects of life of common people of his time, ranging well beyond the subjects matters of the traditional genre paintings. His subject matters include the scenes of funeral, folk games, Buddhist and ancestor worship, prison and punishment, shaman custom, debauchees, government officials' formal trips, beggars and handicapped, etc. Many of the subjects are the neglected and the oppressed of the society. And he presents in detail the dress and its ornament that the subjects wear, and all the utensils and things around them. Besides, his subjects' faces are generally expressionless, and their postures are stiff; as such, the feeling of liveliness or movement is lacking. It may be the results of Kim, Jun-Geun's taking the other perspective, namely of his West European clients, rather than his own. The adoption of the other perspective may in turn be a product of the Social Darwinism and the new sense of values that accompanied the infusion of Christianity and West European institutions. Kim, Jun-Geun's portrayals of his subjects appear to reflect the attributes with which the West European Orientalists' of the period characterized the people of the Far East, namely, backwardness, barbarity, irrationality, violence, and mysticism.

  • PDF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perties of Bracket Mural Paintings of Daeungjeon Hall in Gaeamsa Temple, Buan

  • Lee, Hwa Soo;Yu, Yeong Gyeong;Han, Kyeong-Soon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5-54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bracket murals in Daeungjeon Hall, Gaeamsa Temple by conducting a analysis of their wall structur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ainting layers. Wall was a single-branch structure with support layer, middle layer, finishing layer, and painting layer. The support layer, middle layer and finishing layer, were produced by mixing sand (quartz, feldspars etc.), and loess. The ratio of above medium sand to below fine sand was approximately 0.7 : 9.3 in the support layer, 4 : 6 in the middle layer and 6 : 4 in the finishing layer, which had a more percentage of above medium sand than the support layer. The analysis of the painting layer showed that natural soil pigment was used to establish a relatively ground layer of up to 50 ㎛, and pigments such as Lead sulfate, atacamite and mercury sulfide were painted on top of the layer. This study's results confirmed that the bracket mural paintings in Gaeamsa Temple are within the category of the production style of murals during the Joseon period. However, the points that the middle layer was formed several tim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absence of chopped straw in the support layer are a feature of bracket mural paintings in Gaeamsa Temple. These properties of murals as material and structure may be viewed for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amage to wall structure of mural painting and would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to diagnosis the conservation conditions of murals or prepare conservation treatments.

수타사 삼신불괘불도(三身佛掛佛圖) 초본(草本) 연구 (A Study on the Sketch of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Suta-sa Temple)

  • 김창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112-131
    • /
    • 2009
  • 강원도 홍천군 수타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삼신불괘불도는 베 바탕이 아닌 종이 바탕인데다, 채색방법 또한 조선시대 불화의 가장 일반적인 진채화법(眞彩畵法)의 그림들과는 다르게 밑그림본인 초본(草本) 형식에 담채기법(淡彩技法)을 사용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자체의 화기(畵記)라든가 "수타사사적(壽墮寺史蹟)" 또는 "수타사고기록(壽墮寺古記錄)"등 어느 곳에도 이 삼신불괘불도 조성에 대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조성시기가 불명확하였을 뿐만 아니라, 진채화법의 그림이 아니라서 다른 괘불도들과의 본격적인 양식 비교 역시 원활하지 못하여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소개 정도에 그쳤었다. 그러나 최근 보존처리 시 그림 뒷면의 배접지를 제거하는 과정 중에 크기가 세로 118cm 가로 87.5cm인 별도의 한지에 써서 붙인 묵서명(墨書銘)이 발견되었다. 내용은 부처님 법을 올바르게 따르기 위하여 지켜야 할 몇 가지 금지 행위를 알리는 일종의 '방(榜)'으로서 1690년 4월 15일에 썼음이 밝혀졌다. 이 묵서명은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조성년대를 추정케 해주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자, 그림의 정확한 내용 분석 및 성격 파악 등 구체적인 접근을 위해서도 필요한 중요한 단서이다.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현상과 형식 및 양식적 특징을 고찰한 다음 이 묵서명을 바탕으로 괘불도의 조성시기를 추정해 본 결과 첫째,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화기 대신 뒷면에 첩부되었던 '방'으로 미루어 보아 1690년경을 즈음하여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둘째, 조선시대 삼신불괘불도 중 공주 갑사 삼신불괘불도(1650년) 이후 가장 기본적인 도상을 보여 주는 최초의 입불형식(立佛形式) 삼신불괘불도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3불(佛)의 형태라든가 화면 구성력과 배경처리, 근엄한 듯 자애로운 얼굴표정 묘사, 조화롭고 적당한 신체 비례 등에 있어 유사한 형식의 18세기 삼신불괘불도는 물론, 19세기 삼신불괘불도에 이르기까지 진채화법 괘불도들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비록 완성본이 아닌 밑그림(초본(草本)) 형태이기는 하지만 필선(筆線)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전형적인 담채기법을 보여주고 있어 필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자료적 가치 및 불교회화사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비록 형식 및 표현기법 상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와 동일한 유형의 괘불도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서 충분한 비교 고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조선시대 18-9세기 입불형식 삼신불괘불도 연구에 밑받침을 이루고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조선 말기 괘불(掛佛)의 새로운 도상(圖像) 전개 (The evolvement of new composition of painting in Gwaebul (Buddhist Ceremonial Painting) at late Joseon dynasty)

  • 이은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223-284
    • /
    • 2005
  • 조선시대 말기인 1885년에서 1926년에 조성된 괘불은 18점이 현존하고 있는데, 그 중 12점이 서울 경기지역 사찰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초기의 능침사찰(陵寢寺刹)과 원찰(願刹)은 왕실의 후원을 받았으나 태종의 오교양종(五敎兩宗)의 혁파로 인해 불교의례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사찰도 피폐해졌다. 그러나 18세기 말부터 다시 왕실과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존속해온 사찰은 다시 번창하게 되었다. 국내 외의 사회적인 혼란했던 이 시기는 국가 및 왕실의 안녕을 빌고 망자(亡者)의 극락왕생을 위한 대중적인 사상이 괘불에서는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괘불에 보이는 새로운 도상은 1853년 남호당 영기(南湖堂 永奇)(1820~1872)가 삼각산 내원암에서 판각 간행한 ${\ll}$아미타요해경(阿彌陀要解經)${\gg}$ 권수 판화에 그려진 아미타삼존도로부터 시작된다. 고려 말에 유행한 수월관음도의 재등장은 망자추선(亡者追善)과 제난구제(諸難救濟)의 역할과 허응당 보우의 〈수월도장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水月道場空華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이라는 도량의식의 '수월도양공화불사(水月道揚空華佛事)'의 허상과 망상이라는 도량의식,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만일회의 성행 등이 괘불 도상과 연관되면서 새로운 도상 출현은 조선 말기 괘불에 새로운 이슈로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괘불의 화풍도 진하고 탁하고 채색과 음영법, 초본을 여러 번 활용한 동일한 도상에서 중앙집권적화된 화사계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도 이 시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용주사(龍珠寺) <삼세불회도(三世佛會圖)>의 축원문(祝願文) 해석(解釋)과 제작시기(製作時期) 추정(推定) (Interpretation of Praying Letter and Estimation of Production Period on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 강관식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155-180
    • /
    • 2019
  • 용주사 <삼세불회도>는 유교적 이념과 불교적 이념, 궁중화원 양식과 산문화승 양식, 고유한 전통화법과 외래적 서양화법 같은 다양한 이원적 요소들이 창조적으로 융합되어 이룩된 기념비적 걸작으로서 조선 후기의 회화 발달과 혁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 작품의 하나이다. 그러나 화기(畫記)가 없기 때문에 현존 <삼세불회도>의 제작시기와 작가를 비정하고 양식 특징을 분석하는 문제를 놓고 연구자마다 견해 차이가 심해 지난 50여 년 간 논쟁이 끊이지 않음으로써 회화사적 의미와 가치가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존 <삼세불회도>의 제작시기를 추정하는 문제는 모든 논의의 기본적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불화와 달리 화기(畫記)가 없고, 작가에 대한 기록이 문헌마다 다르며, 화승들의 전통적인 불화 양식과 화원들의 혁신적인 서양화법이 혼재되어 있어 작가와 양식을 일치시켜 이해하는 문제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제작시기를 추정하는 문제는 특히 논란이 많은 쟁점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현존 <삼세불회도>는 일반적인 불화와 달리 수미단 중앙에 왕실(王室) 존위(尊位)의 축원문(祝願文)을 써놓아 주목되며, 애초에 썼던 "주상전하(主上殿下), 왕비전하(王妃殿下), 세자전하(世子邸下)"의 삼전(三殿) 축원문을 지우고 '자궁저하(慈宮邸下)'를 '왕비전하(王妃殿下)' 앞에 추가해서 고쳐 써넣어 더욱 주목된다. 따라서 이 축원문은 현존 삼세불회도의 제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객관적 단서의 하나이다. 그리하여 최근에 새롭게 제시된 19세기 후반 제작설은 1790년의 용주사 창건 당시에는 순조(純祖)가 '원자(元子)' 신분이었고 1800년 1월 1일에야 '세자(世子)'로 책봉되었기 때문에 '세자(世子)'라는 존호가 쓰여있는 현존 <삼세불회도>의 축원문은 세자 책봉 이후에 쓰여진 것으로 보아야 하며, 형식과 도상이 19세기 후반기 화승들이 그린 청룡사나 봉은사의 <삼세불회도>와 유사하고 서양화법은 후대에 개채된 것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현존 <삼세불회도>는 19세기 후반기의 화승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불화(佛畫) 화기(畫記)의 축원문을 광범위하게 조사해보면, 불화 제작 시점에 왕실에 실존한 인물의 신분(身分)과 생년(生年), 성씨(姓氏)까지 구체적으로 쓰는 것이 통례였기 때문에 19세기 후반에는 용주사 <삼세불회도>의 축원문처럼 수십 년 전에 승하한 사람들을 생전의 존호(尊號)로 고쳐 쓸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1790년 전후에는 원자(元子)나 세자(世子)의 유무(有無)와 무관하게 의례적으로 "주상전하(主上殿下), 왕비전하(王妃殿下), 세자저하(世子邸下)"의 삼전(三殿) 축원문을 쓰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에 현존 <삼세불회도>의 축원문에 '세자저하(世子邸下)'의 존호가 쓰여있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왕실 위계와 달리 '자궁저하(慈宮邸下)'가 '왕비전하(王妃殿下)'보다 앞에 쓰여있는데, 이는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비극으로 인한 정조와 혜경궁(자궁(慈宮)), 왕비 세 사람의 특수한 관계로 인해 정조가 혜경궁의 왕실 위상을 왕비 앞에 오도록 하여 정조대에만 사용된 특별한 왕실 전례였기 때문에 현존하는 삼세불회도의 축원문은 정조대에 개서(改書)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애초에는 당시의 일반적인 불화 축원문처럼 의례적인 삼전(三殿) 축원문을 썼다가 이를 지우고 다시 '자궁저하(慈宮邸下)'라는 특별한 존호를 넣어 개서(改書)하는 매우 특별한 일이 일어났는데, 이는 현륭원(顯隆園)의 재궁(齋宮현륭인 용주사의 가장 중요한 주인공이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와 부인인 혜경궁(惠慶宮)(자궁(慈宮))임에도 불구하고 축원문에 의뢰적인 삼전(三殿)만 쓰여있고 혜경궁이 빠져있는 것을 보고 정조가 지시하여 개서(改書)했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개서(改書)는 정조가 현륭원과 용주사가 준공된 뒤 처음으로 현륭원에 원행(園幸)하여 원소(園所)를 두루 돌아보고 돌아오는 길에 잠시 용주사에 들러 <삼세불회도>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친견했던 1791년 1월 17일에 정조가 지시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믿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특수한 내용과 형태로 이루어진 축원문은 현존 <삼세불회도>가 1790년의 창건 당시에 그려진 원본 진작임을 말해주는 가장 확실한 객관적 증거라고 할 수 있다.

16세기 탱화에 나타난 조선전기 복식연구 (Study on the Costume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16th Century Taenghwa)

  • 김소현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45-63
    • /
    • 2014
  • In the Taenghwa(Buddhist paintings), the clothing habits of the times can be observed since it depicts the lives of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These 16th century Taenghwas were draw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itual costumes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works such as oryeui Se-jong-sil-lok; Sejong chronicles and Gyong-guk-Dae-jon. It shows the perception of various types of clothing such as the Myeon-Bok(King's Full Dress), Won-yu-gwan-bok(King's Ceremonial Dress), and Gon-ryong-po(royal robe at work), and describes the early King's Won-yu-gwan-bo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equips Bang-sim-gok-ryong(Round Neck Band). Various officials' uniforms and various men's coats are described. From it, one can visually verify the records of Joong-jong-sil-lok; Joongjong chronicles that describes the appearances of various hats and coats. They also tell us that Chang-ot(light outer coat) was worn prior to the 17th century. It also shows us that the ritual costume of women in Koryo was passed down to early Joseon. Also, in regards to the Buddhist priest costumes, the jang-sam's gray color and ga-sa's red color has been passed down until today.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for clothing materials were horsehair, silk, ramie, hemp, and cotton.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의 의상에 나타난 문양연구 (A Study on Dress Pattern in SU WOL KWAN EUM DO of Koryo Dynasty)

  • 박옥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122
    • /
    • 1992
  • Studying the dress style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SU WOL KWAN EUM DO (Drawings on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who is watching the Moon reflected in the still water), it is composed of a splendid, jewel crown with five colors, a light and flimsy, non-colored veil with many kinds of gold·plated patterns. This gold·plated carapace figures on a scarlet ground are drawn on the veil and the oval-type flower figures mixed with a scarlet lotus blossom ard arranged. An arabesque pattern of BOSANGHWA (an imaginary, Buddhistic flower figure) is mainly used for both line decorations and necklace. Like this, various kinds and types of figures are in harmony in spite of many changes in figure design. The SU WOL KWAN EUM DO in Koryo dynasty is full of colorful, subtle, harmonious figures which are unique style, which cannot be found in japan, China, and so on. In other words, most of most of dress patterns which are shown in SU WOL KWAN EUM DO are China ink paintings with mountains and waters as its setting. In case of color painting, figure designs are seldom used. The dress pattern in SU WOL KWAN EUM DO of koryo dynasty is characteristic of its variety and magnificent colors.

  • PDF

한(韓).일(日) 목조(木造)건축의 색채장식(色彩裝飾)에 대한 비교 - 근세 불사(佛寺)건축의 단청의장(丹靑意匠)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or Decoration of Korean and Japanese Wooden Architecture)

  • 김정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4호
    • /
    • pp.151-163
    • /
    • 1998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lor design of Korean and Japanese wooden architecture.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of color decor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Danchung' in the modern ages. In carrying this study into execution, I examined the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analysed the elements, techniques and principles of color de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Danchung' was originated from the practical functions in Chinese wooden architecture, and developed to embody sensuous beauty in Buddhist temple. The techniques and principles of color design and color tone of Korean and japanese Danchung had been similar in the ancient ages. But little by little they have differed in its function and color tone. So they are very different in modern times. 2. The dominant colors of Korean Danchung are red and green as 'Sang-nok Ha-dan(上綠下丹)', but Japanese's is only red as 'Bak-gan Juk-sun(白間赤線)' 3. Korean Danchung expresses and accentuates the important structural elements in three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japanese Danchung takes two dimensional decoration on the unstructural elements 4. When seen in general, in Korean Danchung colors and their light and shade are simple and patternized. In the meantime, Japanese Danchung has many configurational expressions in general and is closed to paintings or pi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