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bble wash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수확 후 블루베리의 미생물학적 품질향상을 위한 세척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shing System for Improving Microbiological Quality of Blueberry after Postharvest)

  • 천호현;박석호;최승렬;송경빈;박승종;이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86-1891
    • /
    • 2013
  • 본 연구는 블루베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 및 상품성 향상을 위해서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시스템을 개발 및 적용하여 저장 중 블루베리의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시스템으로 처리된 블루베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가 1.0 log CFU/g 이상 감소하였다. 그리고 저장기간 동안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에 의한 미생물 감균효과는 일정하게 유지함을 보였다. 한편 Hunter L, a, b 값 및 중량 감소율의 결과에 있어서 대조구, 버블-물 세척구,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버블-이산화염소수 세척시스템은 블루베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향상 및 고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오미자 등 다른 기능성 소과류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죠직 다시 쓰기 -아나 레티셔 바볼드의 「빨래하는 날」 (Rewriting Georgic: Anna Letitia Barbauld's "Washing-Day")

  • 신경숙
    • 영어영문학
    • /
    • 제56권5호
    • /
    • pp.947-971
    • /
    • 2010
  • Anna Letitia Barbauld's poem "Washing-Day" (1797) has sparked a variety of feminist critical endeavors over the past two decades. While many feminist literary critics try to salvage the poem as a successful tongue-in-cheek riposte directed at the male dominant literary world, more rigorous Marxist feminists accuse Barbauld of being limited by her own middle-class woman's view on women's domestic labor. Legitimate as they may be, these readings fail to elucidate Barbauld's place in a larger literary and intellectual discourse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In this paper I read "Washing-Day" as a woman's georgic, a genre or mode concerned with agricultural labor, the public value of which was highly recognized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Alluding to canonical texts by writers like Shakespeare, Milton, and Pope, Barbauld's "loaded lines" in mock-heroic form create a space in which the women's domestic labor of washing interrupts men's daily routines and disrupts their poetic assumptions. While she makes women's work visible, Barbauld also addresses its quintessential nature. Women's work is affective labor; women have to labor physically and mentally to produce the desired domestic comfort. By allowing the image of the soap "bubble" to echo with many "bubbles" in other writers' texts, from the soap bubbles the narrator used to play with as a child to the hot-air balloon "bubble" of the Montgolfier brothers, Barbauld pleasantly equates work and day-dreaming, men's toil and children's play, and finally public, scientific, and recognized labor and private, domestic, and imaginative activities.

세척방법에 따른 신선편이 슬라이스 더덕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Effect of wash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freshly cut sliced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during storage)

  • 최덕주;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차환수;윤예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51-759
    • /
    • 2013
  • 세척방법 차이에 따른 신선편이 슬라이스 더덕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0^{\circ}C$에서 저장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장 10일 후에 무세척구와 손세척은 전체의 80.3% 더덕이 부패되어 상품성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직감의 연화도 급격히 진행되어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버블세척구들은 20.4~30.1%의 중량 손실만을 보였으며, 특히 마이크로버블세척구는 저장초기에 비하여 11.1%정도의 조직감만 감소하여 저장 중 변화가 가장 적었다. 슬라이스 더덕의 표면색도 갈변화를 최소화시키며 저장 중 색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중 수분함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무세척구와 손세척은 각각 74.6, 78.3%로 수분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저장 중 미생물의 수도 마이크로버블세척, 일반버블세척, 손세척, 무세척구 순으로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와 video microscope system을 이용하여서도 마이크로버블 세척구는 이물질이 발견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다른 처리구들보다 세척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마이크로버블세척을 하여 슬라이스 더덕을 저장하는 것이 품질유지에 가장 적합하였으며, 저장수명도 10일($10^{\circ}C$ 저장시)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마이크로나노버블 토양세척시스템 및 산세척 복합공정의 산 농도변화에 따른 중금속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Acid Concentrations in a Micro-nano Bubble Soil Washing System and Pickling Process)

  • 정진희;최호은;정병길;성낙창;이기철;최영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28
    • /
    • 2017
  •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changes in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at different acid concentrations in a micro-nanobubble soil washing system and pickling process that is used to dispose of heavy metals. For this purpose, the initial and final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5, 10, 20, 30, 60, and 120 min into the experiment. Soi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and extracted from 0~15 cm below the surface of a vehicle junkyard in the city of U was used in the experiment. The extracted soil was air-dried for 24 h, after which a No. 10 (2 mm) was used as a filter to remove large particles and other substances from the soil as well as to even out the samples. As for the operating conditions, the air inflow rate in the micro-nano bubble soil washing system was fixed at 2 L/min,; with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being adjusted to 5%, 10%, or 15%. The treatment lasted 120 min.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5%, the efficiency of Zn removal was 27.4%, whereas those of Ni and Pb were 28.7% and 22.8%, respec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10%, the efficiency of Zn removal was 38.7%, whereas those of Ni and Pb were 42.6% and 28.6%, respec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15%, the efficiency of Zn removal was 49.7%, whereas those of Ni and Pb were 57.1% and 42.6%, respectively. Therefore, the efficiency of removal of all three heavy metals was the highest when the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was 15%.

유류오염토양의 복원을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 공정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for Optimization of Ultrasonic Soil-Washing Process for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 박범국;손영규;황안나;김지형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01-105
    • /
    • 2011
  • 본 연구는 초음파를 이용한 토양세척 공정에서 주파수를 결정하고 그 조건에서 공정을 최적화 하기 위한 실험적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초음파 주파수는 35, 72, 100 kHz를 적용하여 최적 주파수를 결정하였다. 최적 토양 세척 조건을 위한 실험 설계는 $MINITAB^{(R)}$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초음파의 적용, 물리적 교반의 적용, 계면활성제의 적용의 세 가지와 각각의 조합이 적용되었다. 실험 결과 초음파의 최적 주파수는 35 kHz로 확인되었다. 높은 주파수에서 초음파의 공동화 기포 개수가 많아 효과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에너지를 가진 공동화 기포가 더 효과적이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입되는 에너지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한다. 통계적 요인실험설계법에 의해 설계된 실험 결과를 적용한 결과, 초음파와 물리적 교반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실제 공정을 위해서는 이 두 가지 공정에 대한 실내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버블에 의한 상추의 세척효과 및 저장 중 품질변화 (Wahsing Effect of Micor-Bubbles and Changes in Quality of Lettuce (Lacutuca sativa L.) during Storage)

  • 이선아;윤예리;권기현;김병삼;김상희;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1-326
    • /
    • 2009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척시간과 세척방법에 따라 처리한 상추의 세척효과와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척시간 설정을 위한 실험을 통해 마이크로버블로 1, 3, 5분간 세척하여 미생물변화, 관능검사, 세척된 정도를 측정한 결과 5분간 처리한 시료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세척방법에 따라 전처리한 상추의 미생물 변화는 세척처리 한 직후 무세척(CT)구는 4.30 log CFU/g, 손세척(HW)구는 4.10 log CFU/g, 일반버블세척(BW)구는 3.98 log CFU/g,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는 3.25 log CFU/g에서 저장 10일째에는 무세척(CT)구는 7.00log CFU/g, 손세척(HW)구는 6.19 log CFU/g, 일반버블세척(BW)구는 6.02 log CFU/g,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는 5.89 log CFU/g로 마이크로버블처리구가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일반버블세척(BW)구와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가 무세척(CT)구와 손세척(HW)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일반버블세척(BW)구와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잔류농약시험에서도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2-3배정도 제거효과를 보였다. 상추의 세척상태를 측정한 결과 손세척구와 일반버블처리구은 완전히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한 반면 마이크로버블처리구는 이물질이 보이지 않아 세척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압공기분사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Washing Techniques Coupled with High-Pressure Air Jet for Petroleum-contaminated Soils)

  • 최상일;김강홍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6호
    • /
    • pp.61-68
    • /
    • 2006
  • 유류오염토양에 대한 고압공기분사를 이용한 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를 위하여 저유소 주변의 실제 디젤오염토양을 사용하였으며 초기 오염농도는 $2,828{\pm}206\;mg/kg$으로 토양환경보전법상 가지역 우려기준 농도를 5배 이상 초과하였다. 세척공정의 기본 운전인자들에 대한 조건별 효율성 평가 및 최적조건 도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효율적인 세척을 위하여 impeller는 편심 및 기울어진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으며 교반속도는 높은 전단력(shear force)이 발생하는 고속교반조건(300 rpm)에서 세척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교반시간은 10분이 효율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조건으로 판단되었으며 1차 반응속도식에서 도출된 교반속도별 속도상수들간 증가율 감소를 확인하여, 저속 교반조건(30, 60 rpm)에서도 추가적인 물리적 탈착력이 더해진다면 고속교반조건에서와 같은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압공기 분사에 따른 세척효율은 소수성(hydrophobic)의 토양표면 유류물질이 수중의 공기방울 표면에 강하게 부착(attracting)되어 제거됨을 확인하였고 공기압이 높아질수록 반응기내 공기유량이 증가되면서 오염물질의 부착율이 향상되었다. Impeller에 의한 교반과 고압공기 분사 혼합공정에서는 60 rpm, $2\;kg/cm^2$ 조건이 가장 효율적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고압공기분사를 통한 토양세척기법은 유류오염토양 정화에 효율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Conventional Salted Cabbages)

  • 김진희;박건영;최혜선;양지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59-663
    • /
    • 2010
  •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5개 업체의 절임배추를 구입하여 염도 등 일반특성과 미생물학적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시중 구입된 절임배추는 대부분 천일염을 사용하였으며, 일부 식염 혼합, 해수를 사용하는 업체도 있었다. 세척 방법으로는 지하수 4회 세척, 자동 세척 후 3단 세척, 버블 후 3단 세척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척수로는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15개 업체 중 3개 업체 제품은 HACCP 인증을 받았다. 시중 절임배추의 염도는 0.5%에서 2.0%로서 저염도를 나타났다. pH는 최저 5.32에서 최대 6.47을 나타내었다. 물성은 최저 1,997 g에서 최대 3,665 g을 나타내었다. 일부 제품은 재세척이 필요한 제품도 있었고, 애벌레, 흙 등의 이물이 나오기도 했다. 시중 절임배추의 일반세균은 최저 3.37 log CFU/g에서 최대 6.05 log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은 불검출에서 최대 2.93 log CFU/g로 나타났다. 이 중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병원성균 등은 불검출로 나타났다.

염수를 이용한 공기방울 세척이 딸기의 저장 시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 Bubble Washing with Brin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ies during Storage)

  • 강성원;이병호;허호진;천지연;성태종;최성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81-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냉장 및 상온 저장 시 일반세균, pH, color, firmness 등의 품질특성에 있어 염수 세척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료는 세척하지 않은 대조구, 염수세척 시료구, 염수세척 후 물기제거한 시료구 세 가지 종류로 준비하였다. 일반세균의 경우 염수세척 후 물기제거한 경우에 염수세척 시료구와 비세척 대조구에 비해 세균수가 저감화되었으며, 대수증식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pH의 경우, 비세척 대조구와 염수세척 시료구에서는 다소 감소했으나, 염수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시료구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는 비세척 대조구와 염수세척 후 물기제거 시료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염수세척 시료구에서는 감소되었다. 경도의 경우 $4^{\circ}C$에서 저장했을 때, 저장 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딸기를 염수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할 경우, 저장기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근접요구도와 버블다이어그램을 적용한 1300식 규모의 학교급식 시설 설계 모델 (A Facility Design Model for 1300 Capacity School Foodservice with Adjacency and Bubble Diagrams)

  • 장선희;장혜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8-112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1300 scale of a middle school foodservice facility floor plan which was compliant to the principle of HACCP, as well as ensuring food and work safety, and the flow of personnel and food materials. which consisted of 46 nutrition teachers and 6 experts, responded with a questionnaire on the relationship of functional area and space. Using their opinions, key principles for the design of the facility were single direction movement of food materials, customers and workers; minimization of the cross-contamination through the separation of functional space; and securement of customer-focused efficiency; staff-centered convenience and efficiency; and work and food safety. After the completion of an adjacency diagram, bubble diagram and program statement, the functional areas of a 1300 scale middle school food-service facility were allocated as follows: $9.9\;m^2$ for the receiving area, $56.1\;m^2$ for the pre-preparation area, $10.5\;m^2$ for the food storage area, $6.0\;m^2$ for the supplies storage area, $97.8\;m^2$ for the cooking area, $33.6\;m^2$ for the service area, $52.5\;m^2$ for dish washing area, cafeteria $410.5\;m^2$, $4.5\;m^2$ for the front room, for a total of $725.8\;m^2$. Expert groups have pointed to limitations within this model as there are no windows in the office for the influx of fresh outside air and a need for the straight line installation of steam-jacket and frying kettles on the sides of windows. This study can be useful as the guidelines for estimat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facility and placing the placement of functional areas and equipment in the renovation of the facility. It can be also useful data for a methodology of foodservice facility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