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for Optimization of Ultrasonic Soil-Washing Process for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유류오염토양의 복원을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 공정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 박범국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손영규 (멜버른 대학교 화학과) ;
  • 황안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김지형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0.11.11
  • Accepted : 2010.11.2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Determination of ultrasonic frequency and experimental design approach to optimization of ultrasonic soil-washing process for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were investigated. Ultrasonic frequencies of 35, 72, and 100 kHz were used for determination of optimal frequency. $MINITAB^{(R)}$ program was used for experimental design of optimal washing condition. The optimal ultrasonic frequency was 35 kHz. Even though the number of cavitation bubble is little, however cavitation bubbles involving larger energy compared with high frequency was generated. Therefore, the removal efficiency at low frequency was higher than at high frequency. However the input energy has to be considered when the process is applied. The statistical tests from a factorial experiment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ultrasound and mechanical mixing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sign of an ultrasonic soil washing process. The lab-scale experiments are required to get the optimal condition of ultrasound and mechanical mixing for application of ultrasonic soil washing process.

본 연구는 초음파를 이용한 토양세척 공정에서 주파수를 결정하고 그 조건에서 공정을 최적화 하기 위한 실험적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초음파 주파수는 35, 72, 100 kHz를 적용하여 최적 주파수를 결정하였다. 최적 토양 세척 조건을 위한 실험 설계는 $MINITAB^{(R)}$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초음파의 적용, 물리적 교반의 적용, 계면활성제의 적용의 세 가지와 각각의 조합이 적용되었다. 실험 결과 초음파의 최적 주파수는 35 kHz로 확인되었다. 높은 주파수에서 초음파의 공동화 기포 개수가 많아 효과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에너지를 가진 공동화 기포가 더 효과적이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입되는 에너지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한다. 통계적 요인실험설계법에 의해 설계된 실험 결과를 적용한 결과, 초음파와 물리적 교반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실제 공정을 위해서는 이 두 가지 공정에 대한 실내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병길, 노기현, 성낙창 (2009) 초음파세척을 이용한 오염토양 내TPHs 및 중금속 제거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논문집, 한국환경과학회, 제18권, 제4호, pp. 473-478.
  2. 조상현, 손영규, 남상건, 최명찬, 김지형 (2010) 디젤오염토양 복원 효율 증진을 위한 음이온/비이온 계면활성제 토양세척공정에 초음파 적용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논문집, 한국환경과학회, 제19권, 제2호, pp. 247-254.
  3. Price, G.J., McCollom, M. (1995) The Effect of High-Intensity Ultrasound on Diesel Fuels, Ultrasonics Sonochemistry, Vol. 2, pp. 67-70. https://doi.org/10.1016/1350-4177(95)00027-4
  4. Mason, T.J., Collings, A., Sumel, A. (2004) Sonic and Ultrasonic removal of chemical contaminants from soil in the laboratory and on a large scale, Ultrasonics Sonochemistry, Vol. 11, pp.205-210. https://doi.org/10.1016/j.ultsonch.2004.01.025
  5. Feng, D., Aldrich, C. (2000) Sonochemical treatment of simulated soil contaminated with diesel, Adv. Environ. Res., Vol. 4, pp. 103-112. https://doi.org/10.1016/S1093-0191(00)00008-3
  6. Feng, D., Lorenzen, L., Aldrich, C., Mare, P.W. (2001) Ex Situ Diesel Contaminated Soil Washing with Mechanical Methods, minerals Engineering, Vol. 14, pp. 1093-1100. https://doi.org/10.1016/S0892-6875(01)00114-5
  7. Na, S., Park, Y., Hwang, A., Kim, Y., Khim, J. (2007) Effect of Ultrasound on Surfactant-Aided Soil Washing, Jpn. J. Appl. Phys, Vol. 46, pp. 4775-4778. https://doi.org/10.1143/JJAP.46.4775
  8. Collings, A.F., Farmer, A.D., Gwan, P.B., Sosa Pintos, A.P., Leo, C.J. (2006) Processing contaminated soils and sediments by high power ultrasound, Minerals Engineering, Vol. 19, pp. 450- 453. https://doi.org/10.1016/j.mineng.2005.07.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