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an-gu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긴뚝갈(마타리과): 국내 미기록종 (Patrinia monandra (Valerianaceae):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김진석;이병천;정재민;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7-172
    • /
    • 2004
  •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상황봉, 보길면 보길도,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 종, 긴뚝갈(Patrinia monandra C. B. Clarke)을 도해 및 기재, 보고한다. 긴뚝갈은 잎의 모양, 악통의 색, 수술의 수, 열매의 형태 등에서 뚝갈[Patrinia villosa (Thunb.) Juss.]과 구분이 되며, 잎과 화서의 포가 뚝갈에 비해 긴 특징을 고려하여 긴뚝갈로 명명하였다.

소나무 침엽에서 분리된 3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Three Unreport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Conifer Leave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 박혁;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5-4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전북 부안군에 서식하는 소나무의 침엽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rDNA의 large subunit 영역, beta-tubulin 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3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Paracamarosporiumhawaiiense, Tubakia dryina, Zasmidiumfructigenum이다. 확인된 미기록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철원양파의 저장실험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torage Experiment of Cheorwon Onion)

  • 김동현;김연복;구현정;이희종;강창수;백현진;이정세;장광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27-33
    • /
    • 2019
  • 본 연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일교차가 큰 철원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양파와 각 지역별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남 창녕지역 양파의 생육특성과 저장 후 변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철원, 무안, 부안, 창녕 지역의 양파 저장 실험 결과 저장 전 과 후의 생육특성(구경, 구고, 구중)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전과 후의 당도는 저장 후에 당도가 약 1-2 brix 정도 감소되었다. 각 지역별로 저장 전과 후의 당도는 철원 양파가 높았고 저장 후에도 역시 같은 순이었다. 각 지역별로 저장 후 경도를 측정한 결과 철원(112.3g) > 무안(106g) > 부안(102.1g) > 창녕(92.6g)으로 철원양파가 높은 경도를 보였다. 경도의 차이는 지역별 낮과 밤의 온도차 및 재배농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장 용기별(양파망, 종이박스, 박스) 저장 실험 결과는 종이박스에서 부패수가 가장 적었다. 따라서 양파를 저장할 때 부패수를 줄이기 위해 종이 박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A survey of Heterophyes nocens and Pygidiopsis summa metacercariae in mullets and gobies along the coastal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 Guk, Sang-Mee;Shin, Eun-Hee;Kim, Jae-Lip;Sohn, Woon-Mok;Hong, Kwang-Sun;Yoon, Cheong-Ha;Lee, Soon-Hyung;Rim, Han-Jong;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205-211
    • /
    • 2007
  • The infection status of mullets Mugil cephalus (n = 139) and gobies (n = 35) Acanthogobius fIavimanus with metacercariae of Heterophyes nocens and Pygidiopsis summa was examined in 11 western,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using a digestion technique. Heterophyid metacercariae were highly prevalent in mullets from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Shinan-gun (100% for H. nocens and 100% for P. summa), Muan-gun (93% and 100%), Buan-gun (42% and 75%), Seocheon-gun (73% and 53%), Ganghwa-gun (47% and 100%), Sacheon-shi (47% and 77%), and Gangjin-gun (50% and 70%, respectively). Only 1 (10%) of 10 mullets from an eastern coastal area, i.e., Donghae-shi, was positive for P. summa metacercariae. Metacercarial densities were the highest in the trunk of mullets for H. nocens and the gill for P. summa. Gobies from Muan-gun were positive for H. nocens (40%) and P. summa metacercariae (40%), and gobies from Seocheon-gun revealed H. nocens metacercariae (20%). The metacercarial density was remarkably higher in mullets than in gob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H. nocens and P. summa metacercariae are prevalent in mullets and gobies from coastal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prevalence and intensity of infection vary according to geographical locality.

고창 연안에서 중하(Metapenaeus joyneri) 포획용 시험어구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organisms caught by the trial fishing gear for Metapenaeus joyneri in the coastal water of Gochang)

  • 주영환;장호영;김민선;조현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3호
    • /
    • pp.221-230
    • /
    • 2023
  • Although the abundance of Metapenaeus joyneri resources with high commercial value was recently confirmed in the outer waters of Gomso Bay, located between Buan-gun and Gochang-gun, Jeollabuk-do, Metapenaeus joyneri resources have not been efficiently utilized due to the absence of fishing gears and methods for a selective Metapenaeus joyneri captu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dopted shrimp dredge as a trial fishing gear for the Metapenaeus joyneri capture, and analyz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luster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organisms caught by the shrimp dredge, from May to September 2021 at the coastal waters of Gochang-gun, Jeollabuk-do.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28 types of marine species of 29,190 individuals and 250,136 g of total biomass were caught. Among them, the population of Metapenaeus joyneri, the target species, dominated by 80.7%, followed by Thrysa chefuensis with 7.1%, and Leiognathus nuchalis with 6.0%, confirming that the fishing ratio of Metapenaeus joyneri was the highest among all species.

전북지역 사육 소에서 첫 럼피스킨 발생 보고 (The first outbreak of lumpy skin disease in Jeollabuk-do, Korea)

  • 추금숙;정우리;양승혁;이명찬;손구례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9-348
    • /
    • 2023
  • The outbreak of lumpy skin disease (LSD), caused by LSD virus (LSDV), in Jeollabuk-do was first confirmed at a Korean cattle farm in Buan-gun on October 24, 2023. Afterwards, thirteen cases (twelve cases in Gochang-gun and a case in Imsil-gun) were further confirmed, resulting in a total of fourteen cases over 25 days until November 17, 2023. Clinical examination were conducted on infected and co-habitting cattle from the LSD-affected farms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presence of nodules throughout the body such as head, neck, chest, femur, head, and perineum. As a results, abnormal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in fifteen cows: loss of appetite in six cows, high fever in three cows, eye mucosal nodules in a cow, nasal mucosal nodules in six cows, nodules on perineum in five cows, scrotum nodules in two cows, papillary nodules in a cow, and/or skin nodules in eleven cows. By the PCR methods, the common gene of capripox virus and/or the specific gene of LSDV were detected in 35 of the 69 cows tested this study. In the Farm1, capripox virus-specific gene, LSDV wild strain-specific gene, and LSDV vaccine strain-spcific gene were simultaneously detected in affected cows, indicating the cattle farm was affected by various strain of LSDV. As a result of combining clincal examination and PCR test, it was found that clinically and subclinically infeted cows coexist in the LSDV-infected farms. These finding in this study will be a great help in diagnosis and prevention of the LSD in Korean cattle farms.

새만금 해역 조수 웅덩이의 어류 (Tide-pool Fishes from Saemangeum Waters)

  • 최윤;임환철;라혜강;양재삼;최강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2-147
    • /
    • 2005
  • 새만금 방조제 축조에 따른 조간대 어류 군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조수웅덩이가 잘 발달된 전북 군산시 내초도와 전북 부안군 해창의 조수웅덩이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매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를 기존의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부안군 해창의 조수웅덩이에서 종의 수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가 우점종으로 나타난 점은 종전에 비해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전북 군산시 내초도의 조간대에서는 종 수의 감소 외에도 우점종이 두줄망둑 T. trigonocephalus에서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로 바뀌었고, 특히 모래 바닥을 서식처로 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감소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부안군 해창의 조간대에는 감성돔의 유어들이 본 조사 기간에도 다량 출현하고 있었지만, 내초도 조간대의 경우 1994년과 2000년에 조수웅덩이에서 다량으로 채집되었던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와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유어들이 채집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내초도 조간대는 이들 어류의 성육장으로서의 기능이 갈수록 소실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전반적인 결과는 부안 해창에 비해 군산 내초도의 조간대가 펄에 의한 퇴적이 더욱 심하여 조간대 어류의 서식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양잠전업부락 부안군 산내면 유유마을의 실태에 대한 조사보고 I. 뽕밭 토양의 화학성분과 시비실태에 관하여 (Investigation of Sericultural Foundations in Yuyu Village Located in Sanne myun, Buan gun, Jeonbuk I. About Som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nd Fertilizer Rate applied on Mulberry Field)

  • 이운주;이상풍;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0-54
    • /
    • 1982
  • 본 조사는 양잠전업마을인 전북 부안군 산내면 유유마을의 시비실태와 토양화학성을 조사분석하여, 시비양개선과 토양개량을 통해 생산성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쓰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마을 전체 금비시비량은 N-P$_2$O$_2$-K$_2$O로 환산하여 40.8-13.7-13.9kg/10a로 질소를 편중시비하는 경향이었다. 토양중의 유효인산은 모든 농가가 7ppm이하였으나, 47% 농가가 11kg 미만의 인산질비료를 시비하였다. 토양중의 치환성 K는 평균 0.68me/100g으로 비교적 높으며, 20kg 이상의 칼리질을 시비하는 9개 농가 중 7개 농가가 0.4me/100g 이상이었다. 토양의 평균 pH는 5.3이었고, 전농가의 토양이 pH6.5 이하로 낮은 경향이었다. 치환성 Ca와 Mg는 각각 3.62, 0.83me/100g으로 매우 낮았고, 10a당 석회소요량은 269kg이었다. 평균 유기물함량은 2.55%이며, 72% 농가는 3% 미만이었다.

  • PDF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초본군락과 식물상 분석 (Analysis on Herbaceous Communities and Flora around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 유주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5-324
    • /
    • 2005
  •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물상과 초본군락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생지 복원 및 보전대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상 조사결과, 가장 많은 분류군을 보인 지역은 괴산군 율지리(III)로 48과 91속 99종 15변종 등 총 11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진천군 용정리(V)로 28과 49속 47종 7변종 등 총 5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초본군락의 우점종은 환삼덩굴과 쑥(괴산군 추점리 I), 주름조개풀(괴산군 송덕리 II와 영동읍 매천리 IV), 대사초${\cdot}$${\cdot}$쑥(괴산군 율지리 III), 덩굴닭의장풀(진천군 용정리 V), 조릿대(부안군 중계리 VI)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쑥과 대사초, 조릿대와 김의털, 조릿대와 청미래덩굴, 김의털과 청미래덩굴이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유사도지수 분석결과, 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은 것은 III과 VI지역으로 $27.27\%$를 보였다. 환경요인과 식물종수간의 회귀분석 결과, 해발고도와 식물종수의 설명력은 약 $70.0\%$였다.

Effect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anghun;Bae, Hui-Su;Lee, Soo-Hwan;Oh, Yang-Yeol;Ryu, Jin-Hee;Ko, Jong-Cheol;Hong, Ha-Chul;Kim, Yong-Doo;Kim, Sun-Li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18-627
    • /
    • 2015
  • Soil salinity i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crop production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Subsurface drainage system is recognized as a powerful tool for the process of desalinization in saline soi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2012 and 2014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Buan, Korea. Subsurface drainage was installed with four treatments: 1) drain spacing of 5 m, 2) drain spacing 10 m, 3) double layer with drain spacing 5 m and 10 m, and 4) the control without any treatment. The levels of water table showed shorter periods above 60 cm levels with the deeper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ater soluble catio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exchangeable forms and soluble Na contents, especially in surface layer, were greatly reduced with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Subsurface drainage system improved biomass yield of corn and withering rate. Thus, the biomass yield of corn was improved and the shoot growth was more affected by salinity than was the root growth. The efficiency of double layer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drain spacing of 5 m. The economic return to growers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was the greatest by the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5 m drain spacing.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drain space of 5 m spacing would be a best management practice to control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