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planthopper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41초

벼멸구에 대한 여러 가지 침투성 살충제의 근부처리 효과 (Effects of Root Zone Applications of Some Systemic Insecticides for Control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Homoptera: Delphacidae))

  • 팜홍히엔;김종규;최병렬;송유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6-242
    • /
    • 2008
  • 벼 천적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벼멸구에는 최대한의 효과를 쭐 수 있는 침투성 살충제의 근권처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실험실과 온실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벼멸구의 사충률과 번식력, 약충의 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입제형의 5가지 약제(carbofuran, carbosulfan, diazinon, ethoprophos, imidacloprid)를 근권에 처리한 결과 carbofura이 모든 실험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diazinon과 ethoprophos는 벼멸구의 사충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Carbofuran 처리후 당일 벼멸구를 접종하였을때, 성충은 처리 7일 후에 거의 100% 사충률을 보였고, 처리 25일 후까지 약충은 $1{\sim}2$마리 발견되었다. Carbofuran처리 10일 후에 벼멸구를 접종하였을 때, 벼멸구 접종 1일 후 100%에 가까운 사충율을 보였고, 약충은 25일 후까지도 발생되지 않았다. Carbofuran은 벼멸구 접종 30일 전보다 10일 전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carbofuran의 근권처리는 천적에는 해를 입히지 않고 벼멸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벼논에서 벼멸구선충(Agamermis unka)의 분포 (Distribution of Agamermis unka (Nematoda: Mermithidae), a Mermithid Parasite of Brown Planthopper (Nilapawata lugens) in Korean Rice Paddies)

  • 이동운;조성래;추호렬;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벼멸구선충(Agamermis unka)은 우리나라에서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중요한 천적이다. 따라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그리고 2001년 우리나라의 논에서 벼멸구선충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고성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남해, 통영의 예찰포에서 월동 벼멸구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지역과 연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2001년 5개도 30개 시.군 예찰포를 대상으로 벼멸구선충의 월동 밀도를 조사한 결과, 전남의 장흥과 해남, 경남의 남해, 진주, 산청, 사천, 고성, 통영, 의령, 창원, 김해 지 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경남 남해지 역 이 1,045마리/㎥로 밀도가 가장 높았고, 진주의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고성 예찰포에서는 각각 947마리와 395마리/㎥가 발견되어 다른 지역의 예찰포보다 높았다. 벼멸구선충의 밀도는 무방제구가 살균제처리나 살충제처리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경남 지역 19개 시군의 예찰포에서 벼 수확 후의 벼멸구선충 밀도를 2001년 가을에 조사한 결과는 고성, 진주, 남해, 사천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었는데, 밀도는 남해지역이 692마리/㎥로 가장 높았다.

주요 벼 해충에 대한 약제저항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Insecticide resistance of major insect pests in paddy field)

  • 이시우;최병렬;박형만;유재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5-373
    • /
    • 2005
  • 현재 우리나라 주요 벼 해충은 벼멸구(Nilaparvata lugens),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끝동매미충 (Nephotetix cincticeps) 등 멸구류와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 등이며, 약제에 대한 위 해충들의 약제 감수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이미다클로프리드에 대해서만 일부 지역에서 68배의 높은 저항성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약제에 대해서는 1979년 이래 지역에 따라 $0{\sim}20$배 정도의 같은 감수성을 보이고 있어 저항성의 계속적인 발달은 없었다. 끝동매미충은 기존 carbamates, organophosphorus, pyrethroid 계통의 살충제에 대해서는 1976년 이래 감수성 저하가 없어 저항성 발달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벼물바구미의 대표적 약제인 fipronil 과 imidacloprid에 대해서는 두드러진 감수성 저하를 보였다. 벼물바구미는 1999년에서는 조사지역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 carbofuran, ethofenprox, fipronil, imidacloprid 등 시험약제 모두는 지역 계통에 관계없이 기준 약량의 4분의1 농도에서도 높은 살충력을 보였으나, 2002년에는 수원지역 계통이 carbofuran에 대해 현저한 감수성 저하 현상을 보였다.

살충제 살포가 수도해충과 천적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1] 벼멸구와 포식천적 황산적거미에 대한 몇가지 살충제의 선택독성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nsecticide Application on the Populations of the Paddy Rice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1] Selective Toxicity of Insecticides for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and Predaceous Paddy Spider, Pirate subpiraticus)

  • 장영덕;송유한;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9-152
    • /
    • 1979
  •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종의 수도용 살충제들에 대하여 벼멸구와 이의 주요천적인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을 실내에서 미량국소 처리방법으로 반치사약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 PAP(0.4), MPP (0.7), MEP(1.8), Diazinon(2.8) , Carbofuran(7.5), NAC(11.3), BPMC(17.5), Pyridaphenthion(35.9), MIPC(65.7)의 순이었으며 특히 MIPC, Pyridaphenthion은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해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 PDF

디지털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벼멸구류의 밀도측정 (Density Estimation of Rice Planthoppers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

  • 박영석;김황용;엄기백;박창규;이장명;전태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7-63
    • /
    • 2003
  • 해충의 발생시기와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예찰정보는 해충의 효율적인 종합적 방제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해충의 효율적인 발생 예찰조사를 위해 디지털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벼농경지에서 주요 해충인 멸구류를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밀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야외경작지에서 촬영한 입력영상에 대해 구성인자분해과정, 탑헷(top-hat)변환, 역치적용, 최소/최대 필터링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벼 잎에 붙어 있는 멸구 개체를 인식하고 개체수를 헤아렸다. 평균인식율은 95.8%를 보였다. 또한 인지된 각 멸구류 개체 크기를 측정하여 멸구류의 연령분포 추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벼멸구 생태형의 교잡종별 발육 및 수도 품종별 피해 (Development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ngens Sta$\{aa}$l, Biotypes and Their Hybrid Progenies Fed on Different Cultivars of Rice with Various Resistance Gene and Damage of Different Rice Cultivars)

  • 최주수;박영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47-354
    • /
    • 1997
  • Some attempt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gentic characteristics of the brown planthopper(BPH), Nilaparvata lugens Sta${\aa}$l, biotypes. In terms of egg and nymphal periods, egg hatcgability, emergence ratio, and population change of BPH and plant damage of rice cultivars by the infestation of BPH biotypes and their hybrid progenies in field conditions. The egg and nymphal periods of the three of BPH biotypes and their hybrid progenies on Dongjinbyeo with no resistance gene were shorter than on rice cultivars with resistance gene. But the periods of biotype-2(♀) X 2(♂) (E) on Samgangbyeo with Bph-1 gene and biotype-3(♀) X 3(♂)(I) on Mirying 63 with bph-2 gene were as short as on Dongjinbyeo. The egg hatchability and emergence ratio of the three Bph biotypes and their hybrid progenies on Dongjinbyeo were higher than on the other rice cultivars, and those of E on Samgangbyeo and I on Miryang 63 were as high as on Dongjinbyeo. In rice paddy field, biotype-1(♀) X 1(♂)(A)$\sim$I infested on Dongjinbyeo, E onSamgangbyeo, and I on Miryang 63 were increased their population densities remarkably in next generation. Dongjinbyeo infested by A$\sim$I, and Myryang 63 infested by I were hopperburned at 60 days after infestation and had a damage rating of 0.9. But Samgangbyeo infested by E was no hopperburn(damage rating: 7.3) though it showed high BPH population at 60 days after infestation.

  • PDF

품종간(品種間) 멸구.매미충의 발생상(發生相) 조사(調査) (Different Occurrences of Plant-Leafhoppers in Two Rice Varieties, 'Milyang 23' and 'Chucheongbfeo' in Chinju)

  • 엄기백;이문홍;최궤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3-98
    • /
    • 1986
  • 경남(慶南) 진주지방(晋州地方)에서 1977년(年), 78년(年)에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인 밀양(密陽) 23호(號)와 일반계(一般系) 품종(品種)인 추청(秋晴)벼를 재배(栽培)하여 4종(種)의 멸구 매미충의 밀도(密度)를 조사하였다. 애멸구는 전체적(全體的)인 발생량(發生量)이 적었으나 추청(秋晴)벼에서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끝동매미충은 추청(秋晴)벼, 흰등멸구 벼멸구는 밀양(密陽) 23호(號)에서 각각 밀도가 높았다. 시기별(時期別) 분포(分布)에서 추청(秋晴)벼에서는 6, 7, 8월(月)에 끝동매미충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으며 9월(月)에는 벼멸구가 많았다. 밀양(密陽) 23호(號)에서는 7, 8월(月)에는 흰등멸구가 8월(月)하순(下旬) 부터 9월(月)에는 벼멸구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다.

  • PDF

애멸구 대량 비래후 살충제 처리와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발생 관계 조사 (Evaluation of Pesticide Treatment for Control of Rice stripe virus after Mass Migration of Small Brown Planthoppers)

  • 정태우;김병련;한광섭;강동우;정임영;임현섭;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45-249
    • /
    • 2012
  • 애멸구는 벼 생산에 있어서 흡즙에 의한 피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매우 중요한 해충이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은 애멸구 발생과 매우 일치하므로 벼 농사에 벼줄무늬잎마름병 예방에 애멸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1년 6월 충남 태안읍 근흥면 고남면 일대에 설치된 공중포충만을 이용하여 애멸구의 이동 및 바이러스 보독률을 조사하였으며, 애멸구 대량비래 후, 살충제(동부한농 etofenprox(10%))의 처리 횟수, 처리 시기에 따른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보독률을 조사하였다. 태안군 일대에서 애멸구 대량 비래후 약 1,217마리가 포획되었으며 이중 7.7%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4.4%는 벼검은줄오갈바이러스의 보독률을 보였다. 대량비래 후 2차례 살충제 처리는 벼줄무늬잎마름병 보독률의 변화가 1차례 처리와 차이는 없었으나 처리 시기를 대량 비래후 5-7일 사이에 처리하였을 경우 RSV의 피해감소 효과를 무처리 대비 87.6%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애멸구 대량 비래후 5-7일 사이에 한 번의 살충제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방제라 하겠다.

살충제(殺蟲劑)의 체계적(體系的) 처리(處理)에 의(依)한 벼멸구 개체군(個體群) 밀도(密度) 억제효과(抑制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수종(數種) 침투성(浸透性) 살충제(殺蟲劑)의 약효(藥效) (Effects of Temperature Conditions on the Growth and Oviposition of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 배윤환;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2
    • /
    • 1987
  • 벼의 초기(初期) 발생해충군(發生害蟲群)의 방제(防除)를 위(爲)하여 쓰이고 있는 몇가지 침투성(浸透性) 살충제(殺蟲劑)의 초기(初期) 비래(飛來) 벼멸구에 대(對)한 방제효과(防除效果)를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carbofuran(3G)과 disyston(3G)를 이앙직전(移秧直前)(5월(月) 27일(日)) 토중혼입(土中混入)과 수면시용(水面施用)하였고, omethoate 50% EC는 이앙(移秧) 6일후(日後)에 엽면산포(葉面散布)한 다음 6월(月) 11일(日), 21일(日), 7월(月) 2일(日), 11일(日), 25일(6月 11日, 21日, 7月 2日, 11日, 25에 pot당(當) 벼멸구를를 10쌍식(雙式) 접종(接種)하고 10일후(日後)부터 벼멸구의 밀도(密度)를 조사(調査)하였다. 최종밀도(最終密度)를 기준(基準)으로 생각할 때 산포후(散布後) 약(約) 10일경(日頃)까지는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엽효(葉效)가 인정(認定)되었으나 그 이후(以後)에는 carbofuran 처리구(處理區) 이외(以外)에서는 효과(效果)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carbofuran처리구(處理區)에서는 수면시용(水面施用)에 비(比)하여 토중혼입구(土中混入區)에서 약효지속기간(藥效持續期間)이 약(約) $45{\sim}60$일간(日間) 지속(持續)되어 6월중순(月中旬)$\sim$하순(下旬)까지 비래(飛來)하는 벼멸구에 대(對)한 밀도억제효과(密度抑制效果)를 기대(期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