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ial Diseases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9초

A Case of Significant Endobronchial Injury due to Recurrent Iron Pill Aspiration

  • Kwak, Joo-Hee;Koo, Gun Woo;Chung, Sung Jun;Park, Dong Won;Kwak, Hyun Jung;Moon, Ji-Yong;Kim, Sang-Heon;Sohn, Jang Won;Yoon, Ho Joo;Shin, Dong Ho;Park, Sung Soo;Pyo, Ju Yeon;Oh, Young-Ha;Kim, Tae-Hy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4호
    • /
    • pp.440-444
    • /
    • 2015
  • Gastric mucosal damage by iron pills is often reported. However, iron pill aspiration is uncommon. Oxidation of the impacted iron pill causes bronchial mucosal damage that progresses to chronic bronchial inflammation, necrosis, endobronchial stenosis and rarely, perforation. We reported a case of a 92-year-old woman with chronic productive cough and significant left-sided atelectasis. Bronchoscopy revealed substantial luminal narrowing with exudative inflammation of the left main bronchus. Bronchial washing cytology showed necroinflammatory exudate and a small amount of brown material. Mucosal biopsy showed diffuse brown pigments indicative of ferrous pigments, crystal deposition, and marked tissue degeneration. After vigorous coughing, she expectorated dark sediments and her symptoms and radiological abnormalities improved. There are a few such reports worldwide; however, this was the first case reported in Korea. Careful observation of aspiration-prone patients and early detection of iron pill aspiration may prevent iron pill-induced bronchial injury.

만성 기침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 아토피와 비만의 상관관계: 두 기관 연구 (The Association of Obesity,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Atopy in Chronic Cough Patients: Results of a Two-Center Study)

  • 박소영;박종원;오연목;이양근;이영목;박용범;임성용;천식연구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1호
    • /
    • pp.24-29
    • /
    • 2011
  • Background: The rising prevalence of asthma worldwide may be associated with the rising prevalence of obesity in developed nations.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a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obesity, controversy still remai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asthmatic factors such as atopy, eosinophilia, serum total Ig E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ronic cough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 two centers done between January 2007 and June 2008. The subjects included individuals who had a chronic cough. We examined body mass index (BMI) to measure obesity and pulmonary function. We did a metacholine provocation test for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a skin prick test for atopy, and tests for blood eosinophils and serum IgE. Results: A total of 1022 subjects were includ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was not related with obesity (p=0.06), and atopy incidence was significant higher in non obese patients (p=0.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IgE and blood eosinophil counts between obese and non obese patients. Forced expiratory volue in one second ($FEV_1$)/forced vital capacity (FVC)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obese patients (p=0.03), but FEV1 and FVC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bese and non obese patients. Conclusion: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he nonobese group appears to have more atopy.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atopy need further investigation.

기도 이물의 임상적 고찰 (A Retrospective Review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 손창영;위정욱;김수옥;오인재;박창민;김규식;김유일;임성철;임상철;김영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600-606
    • /
    • 2005
  • Background : The development of bronchoscopic equipment along with the precision of radiographic techniques had reduced the mortality rate of patients with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but has been no change in the incidence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since their 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 tracheo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modality in children and adults.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64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oscopic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aspirated foreign bodies from December 1994 through March 2004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 There were 47 males and 17 females, aged from 1 month to 78 years. Most of the patients had no underlying illness except for one patient with a cerebrovascular accident that contributed to the foreign body aspiration.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which was noted in 54 patients (84.3%). The other presenting symptoms were dyspnea (48.8%), fever (20.3%), sputum (14%), vomiting (7.8%), and chest pain (4.6%). Those whose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more than 2 days after the aspiration (21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pneumonia than those whose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within 2 days (p = 0.009). Foreign bodies were visualized in the plain chest radiographs in 12 cases (18.8%), while others showed air trapping (21, 32.8%), pneumonia (15, 23.4%), atelectasis (7, 10.9%), and normal findings (9, 14.1%). The foreign bodi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right bronchial tree (36) compared with the left bronchial tree (22, p = 0.04).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bodies, twenty (31.2%) cases were removed using flexible bronchoscopy, while 42 (65.6%) and 2 (3.2%) cases required rigid bronchoscopy and surgery, respectively. Conclusions : Tracheo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had a bimodal age distribution in the infancy and old age around 60 years. They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right bronchial tree. In addition, patients whose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more than 2 days after the aspiration were more likely have a infection. Rigid bronchoscopy is the procedure of choice for uncooperative children and for those with foreign bodies lodged deeply in the small bronchial tree.

폐 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내 평활근종 1례 (1 Case of Bronchial Leiomyoma with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 정보용;김도환;박은서;한승효;김영통;오미혜;이석열;최재성;나주옥;서기현;김용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78-683
    • /
    • 2006
  • 기관지 평활근종과 폐 격리증은 두 질환 모두 희귀한 질환으로 같이 동반된 증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적은 없다. 저자들은 호흡곤란, 기침, 화농성 객담을 주소로 개인의원에서 폐렴 치료 후 호전 없어 본원으로 전원 후, 흉부 CT 촬영과 기관지내시경에서 좌폐하엽의 허탈을 동반한 좌측 주기관지의 말단부위에 1.5 cm크기의 종괴와 대동맥에서 나오는 이상 동맥을 발견하여 이상 동맥 결찰과 좌하엽 절제술을 시행하여 호전되었던 폐 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 평활근종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량객혈로 인한 기관지 동맥 색전의 중재적 방사선시술 (Interventional radiology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due to massive hemoptysis)

  • 민병윤;이상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17-24
    • /
    • 2010
  • 호흡기 질환환자에서 비교적 흔한 증상인 객혈은 여러 치료법에도 불구하고 사망의 위험성이 높은 임상증상이다. 기관지색전술은 내외과적 치료에도 객혈이 멈추지 않을 경우, 즉각적인 지혈목적 외에도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나 수술전 환자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시간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매우 유용한 시술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은 J병원의 2007년 0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발생한 대량 객혈로 인한 기관지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60명으로 하였다. 이들은 하루 400ml이상, 한번에 200ml이상의 대량객혈이 있었거나 객혈양이 하루 400ml이하였지만 10일 이상의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던 경우였다. 평균연령은 60.5세였으며, 원인질환별로는 결핵, 기관지확장증, 폐렴, 폐암 등이었다. 색전부위는 Rt bronchial artery 19예, Lt broncial artery, both bronchial artery, Rt Intercostobronchial artery, 여러 혈관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였다. 색전물질은 PVA(conteour)와 microcoil을 이용하였다. 환자 60명중 76.6%에서는 시술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출혈이 멈추었으며, 4예(6.6)에서는 시술 후 재출혈로 인한 재색전술을 시행하였다. 기관지 동맥 색전술은 객혈 치료에 있어서, 높은 조기 성공률과 객혈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 대량 객혈로 인한 출혈에 효과적인 응급치료법으로 사망률을 줄이는 좋은 시술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일차적으로 내과적 치료와 같이 병행하여 시도한다면 대량 객혈로 인한 출혈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망률을 줄이는 좋은 중재적 방사선 시술 방법이 될 것이다.

기관지확장증과 동반된 식도기관지루 1례 (A Case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Associated with Bronchiectasis)

  • 정혁준;구성현;이선민;박광주;황성철;이이형;한명호;김영진;이철주;이기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5호
    • /
    • pp.729-734
    • /
    • 1999
  • 저자들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35세의 남자 환자에서 기관지경, 식도내시경 및 식도조영술로 기관지확장증에 의한 식도기관지루를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정상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콜히친의 Interleukin-1 수용체 길항제 생성자극 (IL-1Ra Elaboration by Colchicine Stimulation in Normal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 이재형;김상헌;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2호
    • /
    • pp.145-153
    • /
    • 2007
  • 연구배경: 천식은 기류장애, 기도과민성 및 기도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콜히친은 안전하고 저렴한 항염증 면역조절제로서 천식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IL-1Ra는 천식을 포함한 인체 내 염증질환에 있어 항염증효과를 매개하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도 내에서 콜히친에 의한 항염증작용이 IL-1Ra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와 RAW 264.7 세포, BALB/c 쥐에게 콜히친을 투여한 후 IL-1Ra의 생성을 ELISA, Western분석, RT-PCR 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콜히친의 투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한 투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IL-1Ra의 생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IL-1Ra의 증가는 대표적인 MAPK경로 억제제인 PD98059에 의해 억제되었다. 콜히친의 IL-1Ra 자극효과는 BALB/c 쥐의 기관지 폐포세척액과 폐조직에서도 관찰되었다. 결론: 기도에서 콜히친은 생체 내와 생체 외에서 IL-1Ra의 생성을 유도하고 IL-1Ra를 통한 항염증 작용을 할 것으로 보이며, 적어도 콜히친에 의한 IL-1Ra의 생성에는 MAPK경로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발견된 2부위의 기관지 병변에 관한 연구 (Double Bronchial Lesions Detected by Bronchoscopic Examination)

  • 이창희;윤종길;곽영임;김현각;이춘택;이진오;강태웅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77-288
    • /
    • 1994
  • 연구목적 : "Field Cancerization"의 개념에 따르면, 폐암의 경우에도 여러 기관지들이 발암물질에 동시에 노출되어 다발적 암의 발생이 가능하고, 또한 암발생의 전단계인 precancerous lesion이 발견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의 주요 진단방법인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이용하여 방사선학적으로 나타난 병변뿐 아니라 전체 기관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방법 : 1990년 4월부터 1993년 12월사이에 원자력 병원 내과에서 시행한 총 1855예의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2부위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각각 조직검사를 시행한 총 21예를 대상으로 대상 환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흡연력, 각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 소견, 병변위치, 치료 및 생존기간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 총 21예중 14예에서 두 병변 모두 악성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서로 조직학적 소견이 다른 경우는 6예, 서로 조직학적 소견이 같은 경우는 8예이었고, 총 21예 중 7예에서 한 병변은 악성, 나머지 병변은 양성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11예의 동시성 다발성 원발성 폐암이 있었으며 진단 당시 연령의 중앙치는 63세로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흡연력은 40PY이었고, 조직학적 조합으로는 편평상피암의 조합이 5예, 소세포암과 편평상피암의 조합이 4예, 선암과 편평상피암의 조합이 1예, 편평상피암과 저분화암의 조합이 1예이었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2부위의 기관지 병변을 보인 총 21예중 15예에서 기관지 내시경 술전 방사선학적 검사상 한 병변만 나타났으며, 기관지 내시경 술전 방사선학적 검사상 두 병변 모두 나타난 6예종 5예에서 다발성 원발성 폐암이 나왔다. 결론 : 폐의 기관지 상피는 여러 발암물질에 동시에 노출되어 다발성 암의 발생 및 precancerous lesion이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폐암의 진단과정에 있어 방사선학적으로 나타난 병변뿐 아니라 전체 기관지에 대한 면밀한 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조직학적 확인이 필수적이다.

  • PDF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에서 기관지 반응성에 대한 연구 (Bronchial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 김호철;김민구;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52-759
    • /
    • 1995
  • 연구배경: 심부전 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기관지 과민성과 혈역학적 지표사이의 상관관계를 알기위해 메타콜린을 이용하여 기관지 유발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4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흉부 X선 촬영, 심에코도 검사, 심도자술로 승모판 심장질환이 진단되고 호흡곤란의 정도가 NYHA 기능적 분류 2인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PARI nebulizer I을 이용하여 메타콜린 용액의 농도를 올리면서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하여 최대호기 유속이 20%이상 감소를 보이면 양성반응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각각의 환자는 심도자술을 통해서 혈역학적인 지표와 기관지 과민반응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저 하였다. 결과: 1) 11명의 환자중 남자 2명 여자 9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8.0세이였고 흡연력은 1명이외에는 없었다. 2) 각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는 NYHA 기능적 분류 2였고 승모판 협착증만 있는 환자는 5명이였고 이외는 승모판 질환과 대동맥 판막질환이 동반되어있었다. 3) 환자들의 평균폐동맥압과 평균폐모세혈관 쐐기압은 각각 21.72mmHg(${\pm}8.55$), 15.45mmHg(${\pm}8.69$)로 정상보다 높았고 심장지수와 좌심실분획률은 각각 2.64L/min/m2(${\pm}0.41$), 61.81%(${\pm}7.21$)로 정상범위이였다. 4) 11명의 환자중 1명만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에 양성이었다. 결론: NYHA 기능적 분류 2인 승모판 심장질환이 있는 심부전환자 11명중 1명만 기관지 과민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그 이유로 지속적인 심부전의 치료에 의한 간질성 폐부종의 소설로 인해 기관지의 반응성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사료되며 NYHA 기능적 분류 3 또는 4인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 과민 반응에 대한 추후의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reatment of chronic bronchopleural fistula and recurrent empyema using a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Kang, Byungkwon;Myung, Yuji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5호
    • /
    • pp.494-497
    • /
    • 2021
  • Bronchopleural fistula is a severe complication with a high mortality rate that occurs after pulmonary resection. Several treatment options have been suggested; however, it is a challenge to treat this condition without recurrence or other complications. In this case report, we describe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a pedicled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 transfer, with no recurrence or donor site morb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