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 제목/요약/키워드: Broccoli cultiva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브로콜리 유기재배를 위한 검은썩음병 저항성 품종 선발 (Resistant Cultivar Screening to Black Rot for Organic Cultivation of Broccoli)

  • 전지영;윤철수;용영록;정은경;이상준;장연;이재은;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36-40
    • /
    • 2009
  • 본 연구는 꽃 양배추의 유기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원예적 특성이 우수하면서 검은썩음병에 저항성인 꽃양배추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6년 강원도 고랭지인 평창군 도암면과 강릉시 왕산면에서 조중생종 11개 품종과 중만생종 2개 품종의 원예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두 포장 모두에서 에브리부로, 탐스런, 녹제, 필그림이 우수하였다. 검은썩음병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 반응은 품종에 따라서 두 포장에서 다르게 나타나 두 포장에 병원균의 race 분포가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두 포장 모두에서 중생종인 에브리부로와 중만생종인 녹국은 검를썩음병에 대하여 저항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품종은 원예적 특성도 우수하였으므로 강원도 고랭지 유기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Seasonal Variation in Contents of Sugars in Different Parts of Broccoli

  • Bhandari, Shiva Ram;Kwak, Jung-H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76-282
    • /
    • 2015
  • Seasonal variation in the contents of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the floret, leaf, and stem of broccoli were studied in ten commercial broccoli cultivars. Plants were grown in the spring and fall seasons in 2011. In both seasons, glucose was the major constituent, comprising about 50% of the total sugar content in the floret and leaf tissue of most cultivars, whereas the broccoli stem showed an unusual pattern of accumulation. Sucrose exhibited greater cultivar dependency as well as seasonal variation compared to fructose and glucose in floret and leaf tissues. The floret tissue had a higher total content of sugar in the spring compared to the fall due to an increase in glucose and fructose. However, most of the leaf and stem tissues of broccoli had a higher total sugar content in the fall compared to the spring. Furthermore, stem and leaf tissues possessed a relatively higher total sugar content compared to floret tissue in both seasons. 'Grandeur' broccoli contained a significantly greater amount of total sugar in both floret and leaf tissues in both seasons, whereas 'YuDoRi No.1' broccoli exhibited the highest total content of sugar in stem tissue. At overall,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of genotype, plant part and growing season on sugar content in broccoli.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various parts of broccoli cultivars

  • Bhandari, Shiva Ram;Park, Mi Young;Chae, Won Byoung;Kim, Dae-Young;Kwak, Jung-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289-296
    • /
    • 2013
  • To evaluate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ccoli, 12 commercial cultivars of broccoli were grown in spring and fall season at the field of NIHHS, and their floret, leaf and stem parts were used for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es. Among 14 fatty acids detected in broccoli, linolenic, palmitic and linoleic acids were major fatty acids comprising more than 80% of total fatty acids in both the seasons and all the parts. Likewise, stearic and oleic acids were also present in considerable amount while remaining fatty acids; caproic, lauric, myristic, pentadecanoic, palmitoleic, heptadecanoic, arachidic, behenic and lignoceric acids showed their minor compositional ratio. Among the three parts, stem exhibited highest SFAs (49.681% in spring and 50.717% in fall season) compared to MUFA and PUFA, while highest compositional ratio of PUFAs were observed in leaves (62.588% in spring and 68.931% in fall season), which indicates leaves as a good source of health beneficial fatty acids. In contrast, floret part exhibited highest SFA (48.786%) and PUFA (57.518%) in spring and fall seasons, respectively. Major fatty acids; palmit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showed lowest cultivar dependent variation (below 10%) and leaf showed least variation in both the seasons compared to floret and stem. Our results suggest that all the fatty acid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otype of cultivars (C), plant parts (P) and growing seasons (S). Among the 14 fatty acids, myristic and palmitic acid showed highest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oleic (r=0.912) and linolenic acid (r=-0.933),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linolenic acid, showed either negative or no correlation ship with other fatty acids while palmitic acid, a second major fatty acid, exhibite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ship.

브로콜리 품종 및 부위에 따른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Parts and Cultivars of Broccoli)

  • 박미영;윤무경;곽정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408-4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브로콜리 품종 및 부위에 따른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브로콜리 11개 품종에 대해 그람 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2종과 그람 음성균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2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S. aureus에 대해 AMG 품종의 화뢰 추출물이 12.83mm, 잎 추출물 13.00 mm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부위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 monocytogenes의 경우, 화뢰 추출물은 NJ 품종이 13.58mm, 잎 추출물은 YDR 품종이 13.92mm로 가장 큰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저해환의 평균값이 화뢰는 12.85mm, 잎은 13.17mm로 다른 4종의 균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E. coli O157:H7에 대해서는 Grd 품종의 화뢰와 잎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부위별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 enteritidis는 화뢰추출물은 NJ 품종이 12.67mm, 잎 추출물은 NY, 0c 품종이 12.75mm의 저해환을 보였으며, 잎 추출물이 화뢰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품종별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면, 화뢰 추출물은 NJ 품종이 39.90%, 잎 추출물은 0c 품종이 43.64%로 가장 높았으며, 부위별 평균값은 화뢰추출물 23.35%, 잎 추출물 35.91%를 나타내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NJ 품종을 제외하고 모든 품종에서 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화뢰 추출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난지 월동 꽃양배추 밑 녹색꽃양배추의 고품질 규격품 생산 기술 개발 (Technical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Good Quality and Standardization of Overwintering Cauliflower and Broccoli in Subtropical Cheju)

  • 박용봉;지성한;안동혁;장전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1-205
    • /
    • 1998
  •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를 가지고 제주지역의 기후를 이용하여 합리적이고 양질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적품종선발. 정식적기 판정, 무가온하우스 효과 등을 시험하였다. 꽃양배추 중에 Snow king과 Snow crown품종은 조생종으로서 초기 영양생장이 활발했지만, 화구의 형질이나 비타민 A와 C의 함량은 Snow dress가 많았다. 푸른꽃양배추와 비타민 분석결과 New green품종이 높게 나왔지만 초기 생육이나 상품성에서는 Green beauty가 제주지방에서 재배 가능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 전 품종에서 10월 1일 정식한 구보다 9월 3일과 17일에 정식한 구가 정식일로부터 수확일까지의 소요기간이 짧았다. 수확물비교에서 꽃양배추는 정식기별로 유의차가 거의 없었고, 녹색 꽃양배추에서는 10월 1일 정식한 구가 상품성이 높았다. 꽃양배추의 경우 만생종인 Snow dress를 무가온 하우스에서 재배하면 생육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었고 녹색 꽃양배추는 비교적 노지와 무가온 하우스 재배가 비슷하였다.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 모든 품종에서 비타민 A와 C 함량은 노지와 무가온 하우스 재배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꽃양배추와 녹색 꽃양배추를 무가온 하우스에서 재배하면 화구중은 감소하고 화구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