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ing Policy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초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인공지능 관련 이슈 분석 (Analysis of Issu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opic Modeling)

  • 노설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75-87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의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사들을 LDA 알고리즘에 기반한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여 인공지능 관련 주요 이슈들을 도출하고 세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 기술이 전(全) 산업 분야와 융합을 통해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통찰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지식 경영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도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검색어로 하여 추출된 11개의 중앙지와 8개의 경제지, 주요 방송사의 2016년부터 2019년까지 3,889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오픈 소프트웨어인 R을 활용한 토픽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토픽 별 키워드들을 추출하였다. 각 토픽의 키워드 간 연관성을 나타내는 PMI(Pointwise Mutual Information) 측도를 높이도록 relevance 파라미터 λ를 최적화하여 토픽 별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키워드들로부터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토픽명을 추론하였다. 추출된 토픽들은 인공지능 기술의 응용 분야와 사회, 경제, 산업, 문화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 및 정부의 지원 정책과 비전을 폭 넓게 나타냈다.

유료방송환경에서의 시청다양성에 관한 연구 - Cable So의 상품별 채널다양성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ewing Diversity of Pay Television: Centering on Diversity in Cable Company's Tiering Package)

  • 황성연;김명중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9권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는 시청자가 접하는 기본적인 방송서비스로서 케이블 상품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다양성은 방송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로 중요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케이블과 같은 유료매체의 시청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에 케이블 SO가 제공하는 상품별로 시청자가 제공받는 채널의 수와 공급분야의 다양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케이블 상품의 가격별이 상승할수록, 제공되는 채널의 수와 채널이 공급하는 분야의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SO의 시장 전략에 따른 당연한 결과이지만, 상품별로 다양한 채널이 제공되어야 하는 정책적 관점에서는 가격에 따라 시청자의 선택의 다양성이 상당히 제약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시청자가 다양한 분야의 채널을 시청할 권리가 제한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유료 방송서비스의 상품별 채널 다양성 지수를 관리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공공부문의 R&D 투자가 IT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f Government R&D Contribution to the IT Industry)

  • 서환주;홍필기
    • 정보화정책
    • /
    • 제17권1호
    • /
    • pp.63-77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부문 R&D 투자의 IT 산업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한 것으로, 이를 통해 핵심육성산업 등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90-1995-2000의 불변접속 산업연관표 및 2003년 경상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IT 산업 총산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증가가 높은 산업은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 산업으로 1990년 0.19%에서 2003년 1.22%로 6배 이상 증가하였다. 정부의 R&D 투자의 생산유발액은 R&D 투자 규모의 2배 이상으로 정부의 R&D 투자 규모는 1995년 대비 2003년 3배 증가하였다. 동 기간 IT 산업은 5배 가까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정부의 R&D 투자는 높은 취업유발을 가져오고 있는데, 방송통신기기와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 산업에서 높은 취업유발효과를 나타내었다. IT 제조업의 취업자 구성비는 거의 동일하나 산출액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중간투입산업의 발전 정책이 요구되며, 특정 기업 지원보다 특정 기술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부품 및 제품의 표준화와 네트워크 관계 개선 대책이 효과적이다.

  • PDF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 인식 기반의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 (User Recognition based TV Programs Recommendation System in Smart Devices Environment)

  • 박순홍;김용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49-254
    • /
    • 2013
  • 디지털 방송 시대가 열리면 채널의 수가 수백 개로 증가하기 때문에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일은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 디바이스의 등장과 대중화로 인해서 사용자들은 기존에 제공받지 못했던 스마트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TV 프로그램 추천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그러나 현재 TV 프로그램 추천을 위한 연구들은 대부분 웹 기반에서 연구되었던 연구결과를 TV 방송에 적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재 TV를 시청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조합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V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환경 즉 구성원의 조합을 고려한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구성원의 조합은 얼굴인식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을 중심으로 그룹을 생성한다.

UHD 송출 콘텐츠 기반 관리시스템 구현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System Based on UHD Transmission Contents)

  • 김무연;장병민;최성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13-826
    • /
    • 2019
  • 본 논문은 UHD 콘텐츠를 고품질 방송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MAM(Media Asset Management)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구현방법은 워크플로우, 메타데이터, 시스템 인터페이스 관련 작업을 콘텐츠관리기능과 송출워크플로우 기능으로 MAM 역할을 분리하여 코어 MAM과 MAM-Ex 구조로 이원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송출소재 관련 메타데이터 수정은 페이지 메뉴 방식을 적용했고, 소재 구조체 API는 템플릿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콘텐츠 관리방식을 개선시켰다. 또한 UHD 소재 스토리지 및 컴포넌트 서버의 구성은 채널 간 구별없는 풀(pool) 방식으로 통합하여 방송소재 보호와 콘텐츠 이동을 최소화하여 UHD 송출자산의 보안성을 강화하였다.

Object detection in financial reporting documents for subsequent recognition

  • Sokerin, Petr;Volkova, Alla;Kushnarev, Kiril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1-11
    • /
    • 2021
  • Document page segmentation is an important step in building a quality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odule. The study examined already existing work on the topic of page segmentation and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segmentation model that has greater functional significance for application in an organization, as well as broad capabilitie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the model. The main problems of document segmentation were highlighted, which include a complex background of intersecting objects. As classes for detection, not only classic text, table and figure were selected, but also additional types, such as signature, logo and table without borders (or with partially missing borders). This made it possible to pose a non-trivial task of detecting non-standard document elements. The authors compared existing neural network architectures for object detection based on published research data. The most suitable architecture was RetinaNet.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quality control of the model, a method based on neural network modeling using the RetinaNet architecture is proposed. During the study, several models were built, the quality of which was assessed on the test sample using the Mean average Precision metric. The best result among the constructed algorithms was shown by a model that includes four neural networks: the focus of the first neural network on detecting tables and tables without borders, the second - seals and signatures, the third - pictures and logos, and the fourth - tex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approach based on four neural networks showed the best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on the test sample in the context of most classes of detection. The method proposed in the article can be used to recognize other objects. A promising direction in which the analysis can be continued is the segmentation of tables; the areas of the table that differ in function will act as classes: heading, cell with a name, cell with data, empty cell.

Analysis of the Effect of Construction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Jeongeup City on Cremators Number Using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in Jeollabukdo and on Cremation Rate

  • Choi, Jae-si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117-124
    • /
    • 2021
  • Based on a result of we research and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average annual cremators number using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among the fiv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Jeollabukdo was 9,713 in total before the opening of public creation facilities in Jeongeup City (2013-2015), while the number was 12,159 after the opening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Jeongeup City (2016-2019); the number was increased by 2,446, compared to the opening period (2013-2015), with a large increase rate of 25.2%. In addition, the average annual cremation rate before the opening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Jeongeup City (from 2013 to 2015) was 71.6%, but the average annual cremation rate during the period after the opening (from 2016 to 2019) was 81.5%, which was a large increase rate of 9.9% compared to period before the opening of the facilities. Based on research results above, we have presented policy sugges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by local government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pare for the increase in demand for cremation due to the increase in cremators number, a policy promotion for the expansion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should be carried out as soon as possible, focusing on local governments whose supply has reached the limit. Second, in order to support the expansion and construction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the government subsidy rate and government subsidy at the level of current 70%, provided by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further expanded. Third, overcoming theNIMBY conflict overlocation for public cremation facilities, theutilization rate should be enhanced, through the joint construction and facility operation of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ef iciency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jointsharing of the facility operation cost.

지역혁신 패러다임과 지역혁신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중심으로한 변화 - (Study on Chang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Paradigm & the 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 Focused on Removal of Public Organization -)

  • 설기환;유석호;경병표;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73-381
    • /
    • 2015
  • 중앙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의 중요한 한 축으로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추진하였다. 수도권 집중현상의 분산과 지역혁신을 목표로 추진한 공공기관의 지역이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공공기관 이전으로 인한 새로운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전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는 지역혁신체계의 변화 방향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서 지역혁신과 지역혁신체계의 기존연구와 현황을 통하여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를 발굴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이전과 지역혁신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지역혁신 패러다임에 고려될 사항과 이전 공공기관이 주체가 되는 지역혁신 체계의 추진방안을 도출하였다. 공공기관이 이전한 후의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은 국가적, 세계적 문제를 풀어내고 창의적인 혁신이슈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전기관이 혁신의 주체로서 지역혁신을 이끄는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로 지역중심의 정책입안을 포함한 5가지의 성공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아직은 물리적 이전에 머무르는 공공기관이전의 결실이 지역혁신으로 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새로운 패러다임과 추진체계를 확보하여 국가의 미래를 견인하는 계기 마련에 도움이 되고 구체적인 혁신체계와 이슈개발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 공공기관이전이 지역과 국가 혁신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정책 비교 : 애니메이션 산업정책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Government Policy for Animation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 김영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3호
    • /
    • pp.45-65
    • /
    • 2008
  •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외국 애니메이션 하청제작 중심의 제작 기반 산업에서 창작 기반 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해왔다. 유사한 성격의 산업적 배경과 역량을 보유하고, 수년 동안 정부의 적극적 산업 진흥정책을 거쳐 온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의 위상은 2008년 현재 시점에서 볼 때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 창작 애니메이션 생산량은 2004년 이후 매년 2배씩 성장하면서 중국을 세계적 규모의 창작 애니메이션 생산국으로 올려놓았으며, 중국 창작 애니메이션 시청자가 6억 명을 넘어서는 등 내수시장 기반도 확고해지고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의 창작 애니메이션 생산은 중국의 20% 수준에서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고, 국산 애니메이션 방송편성 차별로 인해 내수시장 기반을 상실하였다. 중국 정부는, 우선적으로 방송정책을 통한 애니메이션 방송 유통 시스템 확립과, 수입 애니메이션 배제를 통해 국내 수요 기반 확립에 주력하였고, 동만 기지 설립을 통한 생산기반 확보, 그리고 정부부처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단기간에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발전을 이룩하였다. 이에 비해 한국 정부는, 애니메이션의 유통, 수요기반 확립보다는 창작 애니메이션 개발 지원에 정책적 자원을 집중하였고, 효과적인 산업정책을 위해 반드시 필요했던 정부 부처 간 협조체계 구축에도 실패하였다. 이는, 한국의 산업기반 확립을 도외시한 '생산자 마인드' 정책, 그리고 그 원인이기도 한 정부 부처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의 부재에 따른 것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정책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한국 정부의 정책적 오류이다. 2008년, 정부가 1조 5천억원의 콘텐츠진흥기금 조성, 콘텐츠산업기본법, 콘텐츠진흥위원회 설립 등 세계 5개 콘텐츠 강국 도약을 위한 산업진흥의 기치를 높이 든 시점에서, 과거 문화콘텐츠 산업정책의 오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시정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일 것이다.

  • PDF

플랫폼 차별화를 위한 콘텐츠 수요와 공급량 분석 (The analysis of demand and supply in contents for platform differentiation)

  • 박상은;최성진;이영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83-795
    • /
    • 2009
  • 본 연구는 디지털기술과 광대역네트워크기술의 발달에 따라 DMB, IPTV 등 신규매체가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다채널방송들은 거의 동일한 내용의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대한 문제인식을 토대로, 플랫폼 차별화를 위해 필요한 디지털방송 콘텐츠의 수요량 및 공급량을 분석하였다. 콘텐츠 수요량은 정부의 정책적 결정에 따라 예상되는 각 매체의 채널수를 기반으로 최대, 보통, 최소의 3개 시나리오를 토대로 분석하였고, 콘텐츠 공급량은 각 매체 및 주요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본방송 및 재방송비율, 그리고 지상파 방송 및 주요PP 등의 방송콘텐츠 제작 능력을 제작시설 가동률이 100%, 75%, 50%의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대 시나리오의 경우 연간 453,484시간의 신규 콘텐츠가 요구되며, 전체 제작시설 가동률이 100%로 가정하더라도 72,852시간의 콘텐츠만 제작 가능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의 수요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이 극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플랫폼과 네트워크 산업의 확장에 주력해온 정부 정책의 결과로 해석되며, 콘텐츠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