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ing Advertisemen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An Ethernet Ring Protection Method to Minimize Transient Traffic by Selective FDB Advertisement

  • Lee, Kwang-Koog;Ryoo, Jeong-Dong;Min, Seung-Wook
    • ETRI Journal
    • /
    • 제31권5호
    • /
    • pp.631-633
    • /
    • 2009
  • We introduce an improved Ethernet ring protection method, selective filtering database (FDB) advertisement, to minimize traffic overshoot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recovery. On the protection switching event, the proposed method makes all ring nodes perform an FDB flush except the FDB entries associated with their client subnets. Then, ring nodes rapidly exchange their client MAC address lists so that their FDBs are immediately updated by indirect MAC address learning. The proposed scheme guarantees fast and reliable protection switching over the standard scheme.

A Metadata Design for Augmented Broadcasting and Testbed System Implementation

  • Choi, Bumsuk;Kim, Jeonghak;Kim, Soonchoul;Jeong, Youngho;Hong, Jin Woo;Lee, Won Don
    • ETRI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292-300
    • /
    • 2013
  • Augmented reality (AR) is a popular service in mobile devices, and many AR applications can be downloaded from app stores. As TV broadcasting has continued to integrate with the Internet, it has become an area in which the AR concept is able to reside, although in a simple form, such as an advertisement placed in the static region of a scene. There are some restrictions against TV broadcasting realizing AR since TVs are fixed devices and typically do not have GPS, geomagnetic, or acceleration sensors, which are standard equipment in mobile devices. However, the desire to experience AR on a large TV screen has triggere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n ideal AR business model and service type.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use cases for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s and also presents an augmented broadcasting metadata scheme designed for a broadcasting environment. We also verify some of the use cases and an augmented broadcasting metadata scheme in an implemented augmented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a hybrid TV platform.

MIPMANET에서 효율적인 이동성 에이전트 광고기법 (An Efficient Mobility Agent Advertisement Mechanism for MIPMANET)

  • 박찬흠;서현곤;김기형;김종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5호
    • /
    • pp.343-354
    • /
    • 2006
  • 무선 네트워크의 MANET(Mobile Ad Hoc Networks)에서 이동노드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안된 Mobile IP를 통합하려는 시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애드 혹 네트워크와 유선망의 통합망에서 노드들의 이동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통합망에서 Mobile IP 에이전트가 주기적으로 에이전트 광고메시지를 전달하여 자신의 애드 혹 네트워크 영역내부에 있는 이동노드들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MAAM(Mobility Agent Advertisement Mechanism)과 에이전트 광고메시지에 대한 등록메시지를 중간노드가 취합(aggregation)하여 에이전트에게 전달하는 AMAAM (Aggregation based Mobility Agent Advertisement Mechanism)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MIPMANET에서 에이전트 광고를 위한 메커니즘에 적용할 수 있다. 성능 평가는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패킷 전달 비율과 데이타 처리량 그리고 이동노드들의 에너지 소모량에 대해서 그 성능을 평가한다.

웹 기반 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 (Targeting Data Service for Web-Based Media Contents)

  • 박성주;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2호
    • /
    • pp.1154-1164
    • /
    • 2010
  • 타겟팅 서비스는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선호도 및 사용 내역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추천 및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만족도와 이용량을 향상 시키는 주요한 응용서비스로서 주로 방송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타겟팅 서비스는 방송 콘렌츠에서 interstitial 콘텐츠로, 고정형 TV단말에서 모바일 단말로 서비스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단순한 방송 데이터에서 광고 데이터, 쿠폰 및 관련 미디어 콘텐츠 정보 등으로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기사, 광고 및 방송정보에 대한 타겟팅 데이터 서비스를 설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프로파일, 선호도 및 사용 내역 정보를 기존 TV-Anytime Forum의 사용자 메타데이터 및 OpenSocial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 정보와 콘텐츠 정보간 유사도 및 사용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타겟팅 데이터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성능평가를 통해서 제안하는 타겟팅 데이터 서비스 기술이 기존의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에서도 적용 가능 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텔레비전 식품 광고에 관한 고찰 (Television Food Advertisement: Review and Recommendation)

  • 김희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07-515
    • /
    • 1996
  • Television food advertisemen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ach to consumers with food and nutritional informations and affect their eating behavior. Therefore, 218 food commercials were reviewed using video tapes and copies to know the present food product trends, food messages they transmit and define misleading food commercials. Messages were focused on the benefit of health promoting substances they contain, especially for functional food components, fortified nutrients, food safety focused on food additives, convenience and differentiation with other products. Overnutrition on specific nutrients could be expected due to nutrient fortified products and misleading of food commercials were also noted. Regarding trends, guidelines provided by television broadcasting company shoud be fortified in the connection of Food Hygine Law and supervision committe should reinforce the food company to summit data for the approval of their advertisement claims. Nutrition educational spot program shoud be produced and broadcasted for the public to protect the consumer from food faddism in near future.

  • PDF

TV광고에 나타난 무용이미지의 기호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Semiological Implication of Dance Images in TV Advertisement)

  • 박아영
    • 트랜스-
    • /
    • 제1권
    • /
    • pp.21-44
    • /
    • 2016
  • 본 논문은 광고와 무용이 어떤 기호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광고 안에서 그려지는 무용과 무용수의 모습이 가진 기호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무용으로 표현된 기호들이 광고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알아보고, 무용 그 자체의 기호적 의미를 재평가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무용을 수용하는 방식과 모습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고 관련 제작자 및 연출가의 관련 자료를 확보 하였으며, TV광고에 나타난 신체기호로서의 무용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연구목적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미지 및 효과를 분석한다. TV광고 분석은 TVCF 홈페이지, www.TVCF.co.kr 자료를 참고로 연도별 광고에 활용된 무용분야의 빈도수 중 가장 많을 때인 2008년 TV광고4편 남광토건, 롯데백화점(프리미엄세일/상품권), 현대자동차산타페- 필로볼러스(Pilobolus), 2011년 1편 PNS더존샤시- 아레나 디 베로나(Arena di Verona)로 제한한다. 또한 각각의 광고를 반복적으로 본 결과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기준으로 무용수의 움직임이나 통선이 크게 바뀌는 부분과 화면 문구가 변경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무용의 이미지 분석은 신제 이미지(선, 의상, 표정), 무용 이미지(움직임의 형태, 질적 특성, 춤의 분위기)에 따른 구조를 살피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그 결과 TV광고에 나타난 기호적 무용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무용을 활용한 광고에서 무용이 가진 상징과 기호가 광고하려는 물질적 대상에 일치한다. 예컨대 이용우가 출연하는 TV광고에서 그의 기표로서의 움직임은 빠른 턴, 점프, 아쌈블레, 터닝 점프, 슬라이딩 등을 통해 남광토건 기업의 미래의 도전이라는 기의를 알 수 있다. 둘째, 발신자의 의도에 따른 무용수의 신체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반면, 무용 이미지의 경우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TV광고에 나타나는 기호적 무용의 이미지는 대중들로 하여금 시청함과 동시에 무의식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특히 TV프로그램 중에서도 광고는 선택의 여지와는 상관없이 하나의 광고만을 시청하기보다는 방송사측에서 편성된 프로그램의 방영으로 부득불 자주 노출되며 이로써 오랜 시간 머릿속에 잔상으로 남게 됨으로 수신자 개개인의 생각과 특성여부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이처럼 광고는 일반인들이 예술문화를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흡수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며, TV 광고를 통한 대중예술의 전파는 소수계층에게만 수용되었던 순수예술을 대중에게 폭넓게 노출시킴으로써 오늘날 진정한 대중문화로서의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주문형서비스(Video on Demand) 광고 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ulation of Video on Demand Advertisements)

  • 조대근;김기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45-159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시장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는 주문형서비스(Video on Demand) 광고의 심의 규제를 위한 입법 공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통합방송법(안) 내 유사방송서비스 정의 및 규제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되 공동규제(Co-Regulation) 방식 채택을 제언하고 있다. 유료방송플랫폼 사업자들은 VoD 시청 규모 증가를 발판으로 VoD 광고를 수익모델로 삼아 제공 중에 있는데 실시간방송광고가 엄격한 심의 규제를 받는 반면, VoD 광고는 그렇지 못하다. 그 이유는 방송법을 비롯한 국내 법령에서는 VoD 및 VoD 광고 심의 규제를 위한 법적 근거가 부재하고, 광고 내용에 대한 규제는 사업자간 자율규제체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자 중심의 자율규제체계 하에서는 이용자(특히 어린이, 청소년과 같은 소수계층) 보호에 한계가 있고, 사업자가 광고주 영향력에 취약하며, 규제 실효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oD 광고의 내용 규제 방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영국, 캐나다, 유럽연합(EU), 아일랜드와 같은 해외 주요국의 VoD 광고 규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각 국은 VoD 및 VoD 광고에 대한 법적 근거를 방송법 내지 그에 파생된 법령을 통해 확보하고 있었으며, 방송통신규제 기관 중심으로 심의규제를 하되 공동규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둘째, VoD 광고 규제의 목적과 영역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VoD 광고 규제의 목적은 이용자 보호이어야 하며, 그 영역은 내용심의로 제언하고 있다. 셋째, VoD 광고규제를 입법론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법적 근거는 일반법인 통합방송법(안)에 마련하되, 공동규제 방식 채택을 권고하였다. 개별법보다는 일반법을 권고한 이유는 VoD 서비스는 유사방송의 특성을 가지며 VoD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유료방송사업자라는 지위 측면에서 통합방송법(안)에서 수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점, 규제기관의 전문성 측면에서 실시간 방송광고를 심의하는 기관이 감독기능 및 지침제 개정 승인권을 보유하는 것이 일관성이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 본 연구가 제안한 VoD 광고에 대한 내용 심의 규제가 가능해진다면 광고 심의의 사각지대였던 VoD 광고 심의를 통해 이용자보호에 보다 충실할 수 있을 것이고, 자율규제체계가 가진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취약성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 선호도를 고려한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Advertisement Contents System Considering Preference of the User)

  • 이준석;김경수;이광옥;배상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3-91
    • /
    • 2009
  • TV에 있어서 광고 제공시스템은 크게 양방향 TV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로 나누어진다. 양방향 TV나 IPTV의 광고제공은 채널사업자들에 있어서 다수의 광고를 필요로 하며, 광고제작에 있어서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선호도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광고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 선호도를 바탕으로 한 광고제공 시스템은 불필요한 광고의 제작을 줄이며, 이에 따른 적은 비용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광고와 애니메이션광고에 대한 선호도 파악은 기존의 양방향적인 광고제공에 있어서 다수의 광고의 필요성에 따른 많은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광고 산업의 이익 창출을 위한 양방향적인 광고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한 콘텐츠별 광고 제공을 통한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방송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이 방법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고, 광고주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광고를 줄임으로써 광고비 절감과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광고제도 변화가 방송 제작산업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the Change of Advertisement Policy in Broadcasting Industry)

  • 노동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38-147
    • /
    • 2015
  • 광고정책은 새로운 방송사업자가 등장할 때마다 광고 유형별 진입장벽을 만들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해왔다. 하지만 지속적인 광고시장 위축은 광고 유형별 진입장벽을 제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광고 유형별 진입장벽 해체는 제작주체들로 하여금 광고 획득을 위한 과잉 경쟁 상황에 빠져들게 함으로써 제작비를 상승시키는 악순환 과정을 유발한다. 자유경쟁 시장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냉혹한 시장 원리에 방송 제작산업을 개방해두는 것이다. 시장에 존재하는 제작주체들의 적절한 수를 결정하는 것은 시장 자체의 기능이다. 따라서 경쟁에서 도태되는 제작주체들은 시장에서 퇴출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수신료 기반의 공영방송은 광고를 금지하는 방향의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시청자 프로파일 추론과 TV Anytime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표적 광고 (Target Advertisement based on a TV Viewer's Profile Inference and TV Anytime Metadata)

  • 김문조;이범식;임정연;김문철;이희경;이한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10호
    • /
    • pp.709-721
    • /
    • 2006
  • 지상파, 위성파, 케이블 방송 같은 기존의 방송환경은 시청자 취향에 상관없이 일방적인 단방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광대역 통신망을 통한 다양한 미디어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방송 환경에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장르, 시청 시간대, 배우 등 시청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방송 서비스가 중용한 응용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송환경에서 시청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가 중요한 방송 서비스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적광고를 위한 새로운 시도로써 맞춤형 방송 서비스 응용 중 하나인 시청자 프로과일 추론을 통한 표적 광고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시청자 프로파일 추론 알고리즘은 시청자의 TV 시청 데이타(TV Viewing history data) 분석을 통해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대를 예측한다. 예측된 시청자의 성별 및 연령대를 바탕으로 TV Anytime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표적 광고 선별 방법을 통하여 광고를 선택하게 된다. 제안된 표적 광고 시스템은 시청자 프로파일 추론 알고리즘과 표적 광고 선별 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 TV 시청 데이타를 이용하여 제안된 표적 광고 시스템의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