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 new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광주고려인마을 나눔방송의 주요 핵심어 변화 탐색 (Exploring Change of The Main Key Words in Nanum Broadcast News of the Koryeinmaeul Enclave in Gwangju)

  • 이형하;권충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85-186
    • /
    • 2019
  • 본 연구는 광주고려인마을 나눔방송의 나눔뉴스(2010년부터 2018년까지) 기사제목에 나타난 주요 핵심어와 그들간의 관계성을 탐색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려인마을 지원조례 제정(2013년) 후 고려인마을지원종합지원센터 개소(2015년)하면서 이주초기와는 다르게 다양한 나눔방송 뉴스가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눔방송의 나눔뉴스 분석을 1기(2010년부터 2014년), 2기(2015년부터 2018년까지)로 구분하여 그 주요 핵심어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 PDF

News/POI 정보의 tpegML 제작 및 구현 (tpegML Implementation for News / POI Information)

  • 임재윤;강용진;이은진;이권익;홍성욱;안충현;김순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 /
    • pp.235-238
    • /
    • 2006
  • 최근 ATSC, DVB, DMB 및 인터넷 등에서 경제적으로 고속 정보전송이 가능해 짐에 따라 교통정보 서비스 프로토콜인 TPEG이 XML형태로 개발되어 시험 서비스 되고 있다. 기존의 RTM, PTI 응용프로토콜에 대한 XML 버전을 참고하여, 현재 시험 서비스 중인 News, POI 응용 프로토콜에 대한 XML 버전을 제안한다. 교통정보제공자로부터 공급된 원 뉴스정보 및 위치기반 정보를 XML 파일로 인코딩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xsl 파일을 제작하여 수신된 XML 파일을 디코딩한 후, 교통정보를 출력하여 보임으로서 그 기능을 검증한다. 테이블 및 속성들에 대한 언어독립적인 ENTITY 와 DTD를 설계하여, 원 정보로부터 제작된 XML 파일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신된 XML파일을 단말형태에 적합하게 표현하기 위해 xsl 파일을 제작하여 수신된 파일의 표현성 및 확장성이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뉴스 정보의 단위 구조화를 위한 효율적인 앵커구간 추출 알고리즘 (An Efficient Anchor Range Extracting Algorithm for The Unit Structuring of News Data)

  • 전승철;박성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60-269
    • /
    • 2001
  • 본 논문은 뉴스의 단위 구조화를 위해서 뉴스 동영상에 존재하는 앵커구간을 구분해내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단순히 장면 전환 지점을 이용하기 보다는 화면에 존재하는 앵커의 얼굴을 이용한다. 앵커구간에서는 앵커 얼 굴 위치의 프레임 변화량을 계산하는 FRFD(Face Region Frame difference)를 이용하여 앵커구간의 마지막을 찾는다. 한편 비앵 커구간에서는 앵커 얼굴 추출을 이용하여 앵커구간의 시작점을 찾는다. 앵커 얼굴 추출은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MPEG .동영상 부분 복호화를 통한 대략적 분석과 전체 복호화를 통해 얻어진 앵커 얼굴 후보를 검증하는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얻어진 앵커구간은 뉴스 분석의 기본 단계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빠른 속도와 높은 recall 비율은 실제 뉴스 서비스 활용에 적당하다.

  • PDF

MPEG-2 압축 영상에서의 뉴스 색인을 위한 장면전환 검출 알고리즘 (Scene Change Detection Algorithm for News Indexing in MPEG-2 Compressed-Domain)

  • 박진형;박동권;원치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143-14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MPEG-2 압축영상에서 뉴스 색인을 위한 개선된 장면(Shot)전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검출 알고리즘은 압축된 비디오 시퀀스에서 추출한 특징정보인 에지정보와 컬러정보를 함께 사용하여 GOP단위의 빠르고 효율적인 장면전환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장면전환 검출뿐만 아니라 내용 기반(content - based) 비디오 검색 등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영역확장을 이용한 뉴스 비디오 자막 자동 추출 (Automatic News Caption Segmentation Using Region Growing)

  • 이상호;손광훈;박철남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67-7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뉴스 비디오 자막의 구조적 문자 특성을 이용한 자동 자막추출방법을 기술하였다. 기존의 방법들은 경계 추출이나 이진화 과정 후에 화소값의 변화 profile에 나타나는 문자의 굵기, 간격 등의 문자 특징을 이용하는데 반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뉴스 비디오 자막에서 문자와 배경을 구분하는 테두리선을 배경과 문자를 구분하는 경계로 하여, 적절한 이진화 과정과 영역확장 기법을 이용하여 문자를 추출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문자에 대하 사전지식이 없어도 되며, 사용한 영역확장 기법은 기존의 방법에서의 경계 추출기법보다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문자추출 결과를 나타낸다.

  • PDF

NOD 데이터를 위한 새로운 버퍼링 기법 (New Data Buffering Scheme for News On Demand)

  • 박용운;백건효;서원일;김영주;정기동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7년도 학술대회
    • /
    • pp.173-17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데이터와 비 실시간 데이터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뉴스 데이터에 적합하도록 버퍼 캐쉬를 실시간 데이터와 비 실시간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 한 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근 가능성이 높은 실시간 뉴스데이터를 프리팻칭하여 둠으로써 실시간 뉴스 데이터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버퍼 캐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전체 뉴스 요청 건수 중 30% 이상의 요청 건수들이 디스크를 접근하지 않고 버퍼의 데이터를 접근함으로써 버퍼링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실시간 지원에 필요한 디스크 접근 수를 줄일 수 있다.

  • PDF

종편 출범 초기의 지상파와 종편 메인뉴스의 주제 구성 및 다양성 변화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Changes of the Main News Programs' News Topic at the Initial Introduction of General Programming Cable Channels)

  • 유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3-64
    • /
    • 2018
  • 본 연구는 종편 도입으로 인한 방송 뉴스 콘텐츠의 주제 구성과 다양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종편 도입 초기 4년 간 지상파 3개, 종편 4개 총 7개 채널의 메인 뉴스의 주제를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지상파는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다뤘던 반면 종편 뉴스는 정치 뉴스에 집중하며 주제 구성에 있어서 지상파와 차별화를 꾀하였다. 뉴스 구성 순서나 주요 뉴스 포함 여부에 있어서 종편은 정치 뉴스와 북한 뉴스를 적극 활용하며 차별화된 구성을 보였던 반면, 지상파는 경제, 생활 정보 뉴스 등에 대해 주요 뉴스로 처리하며 차이를 나타내었다. 종편 개국 초기 4년간 방송 뉴스 전반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종편은 지상파와 유사한 뉴스를 제공하는 전략으로 시장에 진입했으나 다양한 뉴스를 제공하는 지상파와 경쟁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취하는 방향으로 변화했음을 확인하였다. 종편 개국 초기 방송 뉴스 시장에서 지상파는 다양성 전략을 유지하는 전략을 편 반면, 종편은 집중 전략을 활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정규 뉴스 방송 문장의 운율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roadcast News Utterances)

  • 인지영;성철재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7년도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97-20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s utterances. In this paper, prosodic phrases were described in terms of the K-ToBI labeling system. In addition, the change of intonation contour that occurs throughout the sentences was discussed in terms of types of media and gender. According to analyzing the tendency of resets, 331 out of 729 resets were observed at the boundary of the intonation phrases. This means that resets are of the speaker's own volition regardless of prosodic units of intonation phrases. The declination of the intonation contour of radio news showed a gentler slope than that of TV news, because when the sentence is getting longer, the declination of the intonation contour becomes slower.

  • PDF

TV에 나타난 농업분야 방송 뉴스 도식 (A Study on the News Scheme of the Agricultural Broadcasting News)

  • 노광준;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3권1호
    • /
    • pp.99-121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gricultural and rural news in mass media reporting. This study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agricultural and rural news of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established in 1947 as a public service broadcaster and the Seoul Broadcasting System (SBS), established in 1990 as a private service broadcaster in Korea. There has been criticisms of isolated and anecdotal reporting of agricultural and rural issues, thus, leading to negative public perception mainly influenced by mass media even though there has been increases in the publicity activities regards agricultural policies in the KBS and SBS broadcasting news.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eal the merits of the preceding criticism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37 news items issued between September 2004 and August 2005 were analyzed via content and framing analysis research methodologies. The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ntent analysis of agricultural and rural news revealed that the lack of relative quantity and 'in-depth analysis' in agricultural reporting and the thematic concentration on negative news and flash events were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broadcasting news. 2. The quantity of agricultural new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and qualitatively superficial and stereotyped lacking 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gricultural and rural issues and inclined toward flash events and crisis-oriented.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offered; 1) Agricultural institutions should consider changing the images of rural society and farmers implementing agricultural and rural policies in the future, and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considered in reporting agricultural and rural news. 2)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broadcast media on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 PDF

KBS의 공보 방송 모형적 성격에 관한 연구 부동산 뉴스 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Public Broadcasting or Publicity Broadcasting? An Analysis of KBS News Coverage of the Korean Housing Market)

  • 김수영;박승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1권
    • /
    • pp.225-271
    • /
    • 2017
  • 본 논문은 KBS의 언론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부동산 뉴스 생산 과정을 분석했다. 부동산 분야는 국민의 기본권인 동시에 경제적 사회적 이해가 충돌하는 공적 의제라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택했다. 분석 결과 첫째, KBS 뉴스룸은 뉴스 선별 과정에서 시민에 대한 봉사보다 시청률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뉴스를 제공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KBS 뉴스룸은 정부 출입처의 보도 자료에 의존하는 취재 관행 속에서 정부 발표를 부각시키고 정부의 입장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KBS 뉴스는 1분 30초 이하의 도식적 뉴스 형식의 한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대한 감시와 다양한 여론 전달이라는 공익적 역할은 경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KBS는 공영 방송을 표방하고 있지만 오랜 역사에 걸쳐 정착되어온 내부 관행을 통해 닫힌 공보 뉴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민 전체를 대표하고, 공적 의제에 대한 토론장의 제공과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보다는 정부를 홍보하고 특권층을 옹호하는 '공보 방송 모형'에 부합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