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band Internet Acces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가입자 통신망 장치의 대역할당 방식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of E-PON)

  • 주운기;권율
    • 산업공학
    • /
    • 제20권4호
    • /
    • pp.427-437
    • /
    • 2007
  • As increasing the Internet traffic, many researches on access network are reported for end-to-end highspeed broadband network, where E-PON (Ethernet-Passive Optical Network) is one of reasonable candidates for the network with respect to cost and bandwidth utilization. For the high-speed access network, E-PON needs an efficient bandwidth allocation method. This paper describes a WFBA (Water-Filling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for the efficient bandwidth allocation with various simulation test. Based upon the simulation test, we suggest several ways to improve performance of E-PON.

가입자 통신망을 위한 대역 할당 알고리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a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of E-PON)

  • 주운기;이상우;김찬;권율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61-364
    • /
    • 2005
  • As increasing the Internet traffic, many researches on access network are reported for end-to-end high-speed broadband network, where E-PON(Ethernet-Passive Active Network) is one of reasonable candidate fur the network with respect to cost and bandwidth utilization. For the high-speed access network, E-PON need an efficient bandwidth allocation method. This paper suggests a WFA(Water-Filling Allocation) algorithm for the efficient bandwidth allocation with various simulation test.

  • PDF

광대역 전술 Ad-hoc Network를 위한 DAP-NAD 가용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Feasibility of DAP-NAD for Wideband Tactical Ad-hoc Network)

  • 한세원;김병서;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99-204
    • /
    • 2011
  • 본 눈문은 차세대 전술 통신을 위한 웨이브폼인 WNW(Wideband Network Waveform)하에서의 매체접근 프로토콜로서의 MIL-STD-188-220 프로토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하여 IEEE 802.11e 기반의 프로토콜과의 비교, 모의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 평가를 통하여 MIL-STD-188-220 프로토콜의 특정 환경에서 IEEE 802.11e 기반의 프로토콜보다 나은 성능을 보여 줌으로써 사용 가능성을 보인다.

초고속시범망 엑세스 네트워크의 IP 서브넷 할당방식 분석 (Analysis of IP Subnet Allocation Method for Access Network in a Broadband Trial Network)

  • 이운영;임병학오채형이정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4
    • /
    • 1998
  • Recently, the users of internet are increasing yearly with the rapid spread of internet. So, the shortage of IPv4 address is important issue to ISP. Many ISP is searching for efficient method to use IP address in ATM Network. Korea Telecom has constructed ATM Network test-bed to verify available technologies necessary for ATM Network. This paper, concerning with the configuration of subscribers in ATM Network test bed, analyze the available usage of IP address.

  • PDF

상호접속료인가, 망 이용대가인가? - ISP-CP간 망 연결 대가 분쟁 중심으로 - (Interconnection Fee or Access fee? - Focusing on ISP-CP settlement dispute -)

  • 조대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20
    • /
    • 2020
  • 본 연구는 넷플릭스-SK브로드밴드간 대가 분쟁에서 나타난 망의 연결행위와 그 대가에 대한 용어 혼란을 국내·외 법령을 통해 재정립해보고 있다. 양측 분쟁 당사자, 학계, 언론 등에서 망 이용 및 제공에 따른 금전적 반대급부를 "(상호)접속료" 또는 "망 이용대가" 등의 용어를 통일성 없이 사용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략적 목적에 따라 혼용하고 있다. 동일한 현상에 대해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또는 그 반대도 동일)은 문제에 대한 통일된 접근, 생산적이고 합리적인 논의, 더 나아가 분쟁 해결을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망 이용 및 연결과 관련된 용어 즉 "이용", "접근(Access)", "상호접속(Interconnection)"과 그에 따른 반대급부로서의 비용 관련 용어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상호)접속료와 망 이용대가를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제언하고, 향후 ICT 부문 이슈 해결에 단초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넷플릭스-SK브로드밴드간 망 연결/이용에 따라 수수하는 금전적 반대급부는 망 이용대가(Access fee) 또는 (소매)요금이며, 네트워크를 보유/운용하는 기간통신사업자 간(ISP)간 연결에서 발생하는 수수료에 한정하여 "상호접속료(Interconnection fee)"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 접속망에서 보장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경계 노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cheduling Algorithm for Edge Node supporting Assured Service in High-speed Internet Access Networks)

  • 노대철;이재용;김병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4C호
    • /
    • pp.461-471
    • /
    • 2004
  • 최근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의 욕구는 단순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서 개인화된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사업자 또한 가입자에게 좀 더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DSL에서 메트로 이더넷 기반의 VDSL로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트로 이더넷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 접속망에 이미 설치된 장비들은 트래픽 특성에 따라 가입자를 구별할 수 없어 개인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곤란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접속망이 트리 구조일 경우, 접속망 요소들이 Qos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도 경계 노드의 플로우별 트래적 쉐이핑으로 특정 하향 플로우에 대하여 Qos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이기 위해 트러 구조의 접속망에서 보장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경제 노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것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최대 허용 대역폭으로 각 플로우를 쉐이핑하고, 플로우의 SLA에 따라 최소 대역폭을 보장하도록 DRR을 개량하여 설계되었다. 설계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경계 노드에서의 플로우별 트래픽 쉐이핑에 의해 접속망에서의 혼잡 및 손실이 줄어들고, TCP 트래픽 플로우의 성능이 크게 향상되며, CBR 보장형 서비스에 대한 손실의 큰 감소와 더불어 지연 및 지터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ETSI BRAN(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 ATM 및 광대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표준화 및 기술동향

  • 이우용;김용진;강충구
    • 정보와 통신
    • /
    • 제15권11호
    • /
    • pp.124-142
    • /
    • 1998
  • ETSI BRAN (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는 고속 무선 LAN 또는 고정 광대역 무선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접촉 계층과 ATM 및 IP(Internet Protocol)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일부 기능을 표준화하기 위한 과제이다. 특히, BRAN의 HIPERLAN type-2(HIPERLAN/2)의 경우에는 과제의 범위는 무선 접속면, 무선 부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인터페이스, 서비스 구현에서 요구되는 연동 및 각종 지원 기능을 표준화하며, 무선 접속면의 경우에는 다수 벤더간의 상호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HIPERLAN/2의 기술 규격은 코어 네트워크와 독립적인 물리계층 및 데이터 링크 제어 (DATA Link Control: DLC) 계층과 서로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수렴 부계층을 다루게 될 것이며, 초기 단계에서는 ATM과 IP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동 기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HIPERLAN/2기반의 시스템 규격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계층 및 기타 상위 계층에 대한 규격이 요규되며, 이는 ATM Forum에서의 무선 ATM 신호 방식 규격,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IP규격, 그리고 ETSI의 SMG (Special Mobile Group) 프로젝트에서 표준화되고 있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규격 등과 접목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무선 ATM 관점에서는 완전한 시스템 규격 작성은 ETSI BRAN과 ATM Forum에서 무선 접속 규격과 이동성 관리 및 신호 방식으로 각각 이원화되어 진행되고 있다. 현재 물리 계층에서의 전송 방식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확정되었으며, DLC 계층에서는 고정 길이의 TDD (Time Division Duplexing) TDMA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AP (Access Point)에 의해 동적으로 상향 링크 자원을 예약 할당하는 매체 접근 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DLC 계층에서는 기본적으로 짧은 길이의 패킷을 통해 다양한 대역폭의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 ATM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향후 IP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각 서비스별 QoS (Quality of Service)를 개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향후 이 부문에 대한 표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HIPERLAN/2의 경우에는 1999년 중반까지 1차 기능 규격을 완료할 예정이며, BRAN 전반에 대한 완전한 규격을 2002년까지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Internet Connectivity in The Philippines

  • Salac, Romeo Agan;Kim, Yun Seon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1권1호
    • /
    • pp.67-88
    • /
    • 2016
  • This study aims to help address concerns about the growing demand of wider bandwidth Internet connection in the Philippines. Using articles and research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content from official websites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this paper has carefully examined the slow Internet connectivity and the high cost that the end-users pay for it. This paper suggests that this inefficiency hampers the motivation of users to innovate in a way that could contribute to inclusive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an inclusive information society.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urrent global ICT situat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this paper shows that the country's Internet infrastructure lags behind among those of contemporary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particularly in terms of Internet connectivity. In 2015, Thailand had an average Internet speed of 7.4 Mbps, Sri Lanka 7.4, and Malaysia 4.3. Meanwhile, the Philippines had a meager average Internet speed of 2.8 Mbps, placing the country at 104 among 160 countries, with developed countries in Asia such as South Korea (23.6 Mbps) and Singapore (12.9 Mbps) ranking 1 and 12, respectively. Findings show that the lack of competition in the Internet connectivity market, among other reasons, is at the root of the dilemma of slow and costly Internet connection. Assessing the accomplish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other broadband-leading countries has provided practical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that can promote competitiveness. Furthermore, related literature argues how ISP practices may affect Internet speed and cost. This study offers an approach in improving Internet connectivity in the Philippines b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Internet infrastructure market and government policies.

An Asynchronous Burst Time Plan Generation Method for Broadband Satellite Multimedia System

  • Feng, Shaodong;Wang, Fan;Lin, Yuan;Gou, Liang;Li, Guangxi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2호
    • /
    • pp.386-404
    • /
    • 2013
  • In broadband satellite multimedia (BSM) system, burst time plan (BTP) is always periodically generated. We find that this method can have a great effect on the system response ability to bandwidth requests. A general analysis model of BTP generation method is given. An optimized BTP generation (O-BTPG) method is presented by deducing the optimal bandwidth allocation period (BAP) and bandwidth allocation latency (BAL) without considering the signaling overhead caused by BTP. Then a novel asynchronous BTP generation (A-BTPG) method in which the BTP is generated asynchronously according to the traffic load from users' bandwidth requests is propos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BTPG can flexibly realize a trade-off between the system response ability and BTP signaling overhead. What's more, it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regenerative onboard switching BSM systems.

LVQ 자력등화를 이용한 와이브로 시스템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s of WiBro System Using the LVQ Blind Equalization)

  • 박진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247-2253
    • /
    • 2010
  • 와이브로는 OFDMA/TDD 기술을 기반으로하는 고속 이동 인터넷 표준이고, IEEE802.16e 무선 MAN 표준 통합버전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LVQ 자력등화를 이용한 와이브로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Broadband 와이브로 시스템 수신단에 전처리 LVQ 신경망 자력등화를 사용한다. 전처리 LVQ 신경망은 송신데이터 형태인 16QAM으로 분류하고 자력등화는 ICI를 제거한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SE와 BER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LVQ 자력등화를 이용한 와이브로 시스템은 기존의 와이브로 시스템보다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