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fed infant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영아의 수유 및 보충식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Infant Feeding Practices In Seoul, 1991.)

  • 김효진;박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7-398
    • /
    • 1993
  • A survey of infant practices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which to base planned nursing interventions. The subjec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168 mothers visiting out - patients departments of five general hospitals and one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for immunizations or treatment for common colds for their infants from two to 12 months of ag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July 8th to September 30th, 1991 using a questionnaire of 84 questions, 31 on the type of feeding, 22 on supplementary feeding and 21 on demographic infer m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ype of feeding was primarily artificial feed-ing (63.1%), followed by mixed feeding (22%) and breast feeding (14.9%) of the 59 mothers expecting during pregnancy to breast feed, 54. 2% changed artificial feeding and 30.5% went on to breast feed as they had expected. For mothers expecting to continue breast feeding over seven months. only one infant was being breast fed for over seven months. 2) For the 106 mothers using artificial feeding, 70. 8% hed attempted breast feeding, 64% of them for less than a month. Breast milk had been suppressed by for medication (38.7%) : 34.9% had used no specia] means. 3) The major reasons for replacing breast feeding with artificial feeding were the infants' demand for more milk (47.2% ) and insufficient supply of breast milk (49.3%). 4) Most mixed feeding was started at the age of one to three months (59.5%). Only 34.4% gave an artificial feeding after breast feeding : most (46%) alternated breast feeding with artificial feeding. On the whole, the motive for mixed feeding was the lack of breast milk (70.3%). 5) Many mothers (81.8%) were adding vitamin or mineral supplements to artificial milk and 51.5% were adding something to faciliate digestion. As for the method of sterilizing milk bottles and nipples, 56% had sterilized them together in boiling water from the beginning : 27% were just washing the bottles after boiling only once initially when measuring artificial milk powder, 31. 5% of the mothers over filled the measuring spoon rather than to the level. 6) The mother's occupation was related to her way of feeding. Mothers at home full time did more breast feeding than mothers employed outside the home. (x²=5.72, p=〈0.05). 7) Most mothers began supplementary food, from three to four months (48.8%) : 11.2% began later than seven months. Supplementary food was given between milk feedings by 67.2% of the mothers : 19.2% gave it before a milk feeding. Some mothers(26.4%) made their own supplementary food : 19.2% used ready - made supplementary food products for convenience. Recommendations for nursing interventions included : 1. Prenatal education about the advantages of breast feeding and breast care, and home visits after delivery for counselling related to breast feeding. Correct preparation of artificial feeding methods need to be taught in both pre & postnatal periods. In addition, specific education about supplementary feeding needed. 2. Further research is indicated about the Perceived lack of supply of breast milk and about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breast feeding.

  • PDF

Vitamin D deficiency in infants aged 1 to 6 months

  • Choi, You Jin;Kim, Moon Kyu;Jeong, Su J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5호
    • /
    • pp.205-210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state of vitamin D among healthy infants aged 1 to 6 months in South Korea, and also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vitamin D. Methods: A total of 117 infa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or 12 months, from March 1, 2011 to February 29, 2012. Serum levels of 25-hydroxyvitamin D (25[OH]D), calcium, phosphorus,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measured and data including birth weight, body weight, sex, feeding pattern, delivery mode, siblings and maternal age and occupation were collected. Data was mainly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model. Results: We determined that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serum 25[OH]D<20 ng/mL [50 mmol/L]) was 48.7% in the population investigated. Particularly in breastfed infants,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was strikingly high (90.4%). The mean serum level of 25(OH)D in breastfed infants was lower than that of formula fed infants (9.35 ng/mL vs. 28.79 ng/mL). Also female infants showed lower mean serum level of 25(OH)D than male. Mean serum values of calcium and phosphoru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min D state (P<0.001). Conclusion: Vitamin D deficiency was found to be very common in infants aged 1 to 6 months in South Korea, and breast feeding was the most critical risk factor of vitamin D deficiency. Therefore we suggest to start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South Korea, as soon as possible, to all infants, including breastfed and female infants.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강화된 모유와 미숙아 전용분유가 성장 및 임상에 미치는 효과 (Growth and clinical efficacy of fortified human milk and premature formula o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최희원;김묘징;이영아;정진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04-712
    • /
    • 2008
  • 목 적 : 최근 모유수유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으나 모유가 미숙아 전용분유에 비해 열량을 포함한 영양소들이 미숙아들의 적절한 성장을 유도하기에는 낮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모유강화제가 개발되었다. 본원에서는 극소저체중출생아들을 대상으로 모유강화제를 첨가한 모유를 수유한 경우와 미숙아 전용분유를 수유한 경우를 비교하여 성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방 법 :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의료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500 g 이하, 재태주령 33주 미만인 극소저체중출생아들을 대상으로 강화된 모유수유군과 미숙아 전용분유 수유군으로 나누어 전반적인 특징, 영양상태, 성장 추이 및 합병증의 발생 등을 전향적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들 중 본원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들의 경우 외래에서 1, 3, 6개월에 걸쳐 체중, 신장, 두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두 군의 평균 재태주령 및 출생체중은 각각 $30^{+1}{\pm}2^{+1}$주과 $29^{+4}{\pm}2^{+1}$주, $1,281.30{\pm}178g$$1,234.32{\pm}193g$으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P=0.26, P=0.38), 성비, 괴사성 대장염, 패혈증,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동맥관개존증, 뇌 내출혈 및 뇌실 내 출혈 등의 합병증의 비율, 평균 재원 기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유 시작 시기는 강화된 모유수유군과 미숙아 전용분유 수유군에서 각각 생후 $8.00{\pm}3.27$일 및 $8.86{\pm}5.37$일(P=0.99), 완전수유 도달 시기는 각각 수유시작 후 $41.78{\pm}20.47$일 및 $36.86{\pm}20.63$일로(P=0.55)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총정맥영양 기간 및 수유 곤란증상 횟수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유시작 시점부터의 체중, 신장, 두위의 성장 속도 및 절대치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각 시점의 평균치를 비교하였을 때 수유 시작 후 7주째 체중은 강화된 모유수유군에서 더 빨리 증가하였다(P=0.03). 환자들의 초기 체중 감소 후 출생체중까지 회복되는데 걸리는 기간도 각각 $22.3{\pm}6.92$일 및 $24.32{\pm}10.68$일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며(P=0.41), 체중 회복 후부터 퇴원까지의 체중 및 두위, 신장의 증가속도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퇴원 후 외래 추적 관찰을 한 각 군의 환자들의 체중, 신장, 두위의 평균치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모유강화제를 포함한 모유수유군과 미숙아 전용분유 수유군 간의 전반적인 성장 상태, 생화학적 검사 수치 및 합병증 발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모유 강화제는 고열량 수유를 필요로 하는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부가적인 선택 사항이라고 하겠다.

미국 텍사스주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그 지역주민들의 영아수유 패턴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s of Infant Feeding Patterns Among Korean Living in Texas, USA and Local Populations)

  • 노희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7호
    • /
    • pp.636-643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some differences in infant feeding pattems between well educated Koreans and local populations living in Texas, USA. Initiation rate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the hospital was 35.9% in Koreans and 60.4% in Americans. At 2, 4 and 6 months, exclusive breastfeeding rates were 34.0%, 20.8% and 13.2% for Koreans and 47.2%, 34.0% and 27.2% for American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of weaning from breast between these two groups(p<0.01). In Koreans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early termination before 4 months was maternal report of milk insufficiency. 55.6% of Koreans and 42.3% of Americans fed infants on scheduled rather on demand feeding. Primary sources of advice about feeding were medical professionals in Americans while baby's grandmother was the main source in Koreans. In Americans, choice of breastfeeding was not associated with ethnicity, maternal education, and family income in the study. Interventions to promote and support participants of Women Infants and Children(WIC) may play a role in Americans. It might be suggested that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for Korean mothers to promote breastfeeding should be needed urgently and systematically.

  • PDF

수유 기간에 따른 모유의 총질소, 총지질 및 젖당 함량 변화와 모유 영양아의 에너지 섭취에 관한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the Total Nitrogen Total Lipid, and Lactose Contents in Human Milk and Energy Intake of Breast-fed Infants)

  • 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3호
    • /
    • pp.233-247
    • /
    • 1992
  • The changes in human milk composition from 2-5 days to 12 weeks postpartum were investigated. Milk from 62 mothers was anlyzed for total nitrogen(semimicro kjeldahl) lipid(utilizing a modified Folch) and lactose(enzymatic hydrolysis) Energy was calculated by frac-tional analysis. And the daily milk intakes and major nutrients and energy intakes of 18 exclusi-vely breast-fed infant were determined by the test-weighing procedure and the direct analysis of milk samples at 6 or 7 weeks postpartum. All samples were from well-defined subjects and uniform collection procedures were used. Total nitrogen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392 to 211 mg/dl lipid and lactose content increased from 1.94 to 3.06g/dl and 6.90 to 7.50g/dl respectively. And energy content increased 55.6 to 64.5 kcal/dl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mount of milk ingested ranged from 432 to 1266 ml/day and the mean intake was 764 ml/day. Daily mean intakes for protein and energy were 10.0g and 450kcal in 6 or 7 weeks postpartum respectively.

  • PDF

Probiotic isolates from unconventional sources: a review

  • Sornplang, Pairat;Piyadeatsoontorn, Sudthido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7호
    • /
    • pp.26.1-26.11
    • /
    • 2016
  • The use of probiotics for human and animal health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probiotics used in humans commonly come from dairy foods, whereas the sources of probiotics used in animals are often the animals' own digestive tracts. Increasingly, probiotics from sources other than milk products are being selected for use in people who are lactose intolerant. These sources are non-dairy fermented foods and beverages, non-dairy and non-fermented foods such as fresh fruits and vegetables, feces of breast-fed infants and human breast milk. The probiotics that are used in both humans and animals are selected in stages; after the initial isolation of the appropriate culture medium, the probiotics must meet important qualifications, including being non-pathogenic acid and bile-tolerant strains that possess the ability to act against pathoge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 safety-enhancing property of not being able to transfer any antibiotic resistance genes to other bacteria. The final stages of selection involve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probiotic species.

대두 영유아식이 생후 3세까지 신체 계측치 및 혈액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based formula on infants' growth and blood laboratory values spanning 3 years after birth)

  • 윤지은;김미정;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28-35
    • /
    • 2009
  • 목 적 : 액상 대두기반 영아식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영양학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액상 대두영아식을 섭취하는 경우 영유아의 성장 및 발달을 모유 및 우유기반 영유아식을 먹이는 경우와 비교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203년 8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서 만기 정상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모유군(n=20)과 대두 영유아식(n=19) 및 우유 영유아식군(n=12)으로 나누어, 생후 첫 3개월간은 모유 및 인공 영유아식을 각 군에 해당하는 식이를 먹이고 생후 4개월부터는 이유식을 자유롭게 하도록 했다. 신체계측으로는 출생 시, 1, 2, 4, 5, 12개월, 그리고 36개월에 신장, 체중, 두위, 삼두박근 피부두께, 그리고 상완둘레를 측정하였다. 일반혈액 및 혈청의 화학검사는 생후 5, 12 그리고 36개월에 시행하였다. 결 과 : 생후 5개월까지는 대두 영유아식군의 체중이 가장 낮았으나 신장은 차이가 없었고, 이후 체중과 신장은 36개월까지 모든 영유아식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중 헤모글로빈은 5개월과 12개월에 모유군이 가장 낮았다(P<0.05). 혈청화학 검사에서는 대두 영유아식군에서 생후 5개월에 BUN은 가장 높았고, cholesterol, 인, 포타슘은 가장 낮았으나, 그 이후는 모든 화학검사 수치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대두기반 영유아식을 준 경우에 생후 3년간 우유 영유아식군이나 모유군에 비하여 신체의 성장에는 차이가 없었다. 대두기반 영유아식이 우유기반 영유아식이나 모유에 비하여 무기질 함량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생후 5개월에 혈청 인 및 포타슘이 낮아 무기물의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알레르기성 직결장염의 임상상과 내시경 및 조직소견 (A study on the clinical courses, sigmoidoscopic and histologic findings of allergic proctocolitis)

  • 이주희;김성신;박재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76-285
    • /
    • 2008
  • 목 적 : 알레르기성 직결장염은 영아 초기에 발생하는 혈변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병기전, 경과와 예후가 최근 밝혀지고 있으나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 질환의 자연경과, 내시경 및 조직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말초혈액의 호산구 수, 내시경소견의 중증도, 장점막의 호산구 침윤 정도와 발병시기와의 연관성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4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 내원하여 임상적으로 알레르기 직결장염으로 진단되어 직결장 내시경술을 시행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었던 25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정보를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들의 발병 연령은 평균 $15.2{\pm}13.2$주(3-45주)였으며 환아들의 식이는 모유 수유아가 14명(56.0%), 분유 수유아가 1명(4.0%), 혼합 수유아가 6명(24.0%), 모유와 이유식이 1명(4.0%), 분유와 이유식 3명(12.0%)이었다. 수유모 식이에서 원인으로 추정되는 식품으로는 콩류 9례, 우유 및 유제품 6례, 계란 5례, 견과류 3례가 있었다. 직결장 내시경 검사에서 정상 소견이 2례(8.0%), 발적과 부종이 5례(20.0%), 림프절의 증식에 의한 점막의 결절성 비후가 2례(8.0%), 미란이 3례(12.0%), 출혈과 궤양이 1례(4.0%), 점막의 결절성 비후와 미란이 동반되거나 출혈이나 궤양이 동반된 경우가 12례(48.0%)가 관찰되었다. 생검 조직의 전례에서 대장 점막에 호산구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60/10 high power field 이상 관찰된 경우가 24례(96.0%) 있었고, 점막 및 음와 상피에 호산구의 침윤을 보인 경우는 24례(96.0%), 림프구의 밀집은 20례(80.0%), 점막 근육층 내에 호산구의 침윤을 보인 경우는 2례(8.0%)가 관찰되었다. 말초혈액의 호산구 수는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증가되어 있었으나 내시경 소견의 중증 정도나 조직에 침윤된 호산구 수와는 무관하였고, 내시경 소견의 증증 정도는 조직에 침윤된 호산구 수나 증상의 발생시기와는 무관하였으며 장점막에 침윤된 호산구 수는 발병시기와 무관하였다. 치료로는 우유, 계란, 콩, 견과류를 수유모의 식단에서 제한한 12명의 모유 수유아 중 10명(83.0%)에서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2명의 모유 수유아는 식이 제한 없이 자연 호전되었다. 분유 수유아는 단백 가수 분해 분유로 바꾸고 증상이 호전되었고, 이유식을 하던 4명은 이유식 식이를 제한한 후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 : 알레르기성 직결장염은 영아기 혈변의 높은 빈도를 보이므로 건강해 보이는 영아에서 소량의 혈변만을 보일 때 우선적으로 감별해야 하고 확진에는 직결장 내시경과 조직 검사가 필요하며 특히 조직학적 검사가 효과적이다. 말초 혈액의 호산구 수는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제한으로 증상이 사라지나 경과가 양호하므로 무리한 식이제한은 대체로 필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산모의 모유를 통하여 감염된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an extremely premature infant transmitted via breast milk: A case report)

  • 김지혜;정은진;박현경;문수지;최수미;오성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53-1058
    • /
    • 2009
  • 거대세포바이러스(CMV)는 신생아에서 가장 흔한 선천성 감염의 원인 중 하나이며, 모든 정상 출산아 중 약 0.3-2.4%에서 감염되어 있다. 혈청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양성인 모체 중 40-96%에서 모유를 통한 바이러스의 배출이 증명되었으며, 거대세포바이러스에 감염된 모유를 통한 감염은 전체 영아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의 약 1/3을 차지한다. 본 증례에서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모유를 통하여 발생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을 기술하였다. 환아는 생후 7일 경부터 모유 수유를 하였으며, 심한 혈소판감소증, 빈혈, 그리고 패혈증과 유사한 임상 양상에 대하여 반복되는 혈소판 수혈, 적혈구 수혈, 면역 글로불린 요법을 시행받았다.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생후 2개월 경 혈청 CMV IgM 양성 및 소변 CMV 배양 검사 양성 소견을 통하여 진단하였다. 출생 당시 혈청 CMV IgM 및 소변 CMV 배양 검사가 음성이었으므로 선천성 감염은 배제할 수 있었다. 환아의 혈청과 모유의 핵산 배열 순서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임을 증명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nucleotide sequencing 방법을 이용, 모유 수유를 통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