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neoplasm, diagnosi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2초

유방의 섬유선종에서 발생한 관상피내암 (Ductal carcinoma in situ arising within a fibroadenoma of breast)

  • 원태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54-458
    • /
    • 2017
  • 섬유선종은 여성 유방의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고, 대부분 악성병소로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주기적인 관찰만 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섬유선종에서의 악성화 병변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섬유선종 내에서 악성병변이 발생한다면 단지 영상 검사만으로 진단하기 힘들뿐 아니라, 치료를 위해 외과 의사가 수술 방향을 설정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저자는 19세와 51세의 여자 환자의 두 예에서 유방의 섬유선종에서 발생한 관상피내암을 경험하였다. 19세 여자환자는 만져지는 우측 유방 종괴를 주소로, 타병원에서 절제생검으로 진단하였고, 본원에서 주변부의 재절제술을 하였다. 또한, 면역검사결과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 소견을 보여 내분비 치료를 하였다. 51세 여자환자는 좌측 유방의 종괴를 주소로, 유방촬영술 검사에서 내부에 미세석회화 소견을 보였고, 이에 초음파를 이용한 조직검사로 진단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 촬영 후 보존적 유방 절제술을 하였다. 유방의 섬유선종에서 발생한 악성병변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또한 이에 대한 특성이나 치료에 대한 지침도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병변은 드물고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유방의 섬유선종에서 발생한 악성병변의 모든 예에 대한 영상검사 및 병리학적 특징을 정확히 이해한다면 유방의 섬유선종의 다양한 형태의 병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는 유방의 섬유선종에서 발생한 관상피내암의 2예를 바탕으로 섬유선종 내에서 발생한 악성병변의 특성 및 치료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남성유방에서 과립세포종양의 증례 보고 (A Case of Granular Cell Tumor of the Breast in a Male Patient)

  • 이경은;김지영;김재형;정명자;김성희;김수현;강미진;이지혜;배경은;김태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5호
    • /
    • pp.259-263
    • /
    • 2018
  • 52세 남자 환자가 우측 유방의 바깥부위에서 무통의 단단한 종괴를 호소하였다. 흉부 CT에서 3.3 cm 크기의 원형의 미세소엽상 경계의 조영증강되는 종괴가 확인되었고, 초음파에서는 미세소엽상 경계를 보이는 저에코성 종괴로, 종괴의 내부에는 석회화와 혈류가 보였다.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종괴는 양성 과립세포종양(granular cell tumor; 이하 GCT)으로 확진되었다. 환자는 타병원으로 전원되어 병변의 수술적 제거를 시행하였다. 과립세포종양은 슈반세포(schwann cell)에 유래하는 종양으로, 유방에서는 드물고 대부분은 양성이다. 과립세포종양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특징은 악성 종양과 유사한 소견을 보여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CT 영상은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증례를 통해 임상의와 방사선 전문의가 드물지만 양성종양인 GCT의 영상의학적 특징을 알고, 이를 악성종양과 감별하여 과도한 치료를 피해야 할것이다.

Expression of Cox-2 and Bcl-2 in Paget's Disease of the Breast

  • Alikanoglu, Arsenal Sezgin;Yildirim, Mustafa;Suren, Dinc;Tutus, Birsel;Kaya, Vildan;Topal, Cumhur Selcuk;Keser, Sevinc;Karadayi, Ayse Nimet;Kapucuoglu, Fatma Nilgun;Ayva, Sebnem;Gunduz, Seyd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041-1045
    • /
    • 2015
  • Background: Paget's disease (PD) is a rare form of intraepithelial adenocarcinoma that involves breast and extramammarian tissues. It is often associated with ductal carcinoma in situ and/or invasive ductal cancer. Molecular pathways that play a role in development of Paget's disease are stil unclear. Expression patterns of Cox-2 and bcl-2 were therefore assessed.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a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Paget's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 files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sults: Invasive cancer was diagnosed in 35 (76.1%) of the patients, 7 (15.2%) had ductal carcinoma in situ and 4 (8.7%) patients had no associated neoplasm. Twenty four (52.2%) patients showed COX-2 expression in Paget cells whereas no expression was seen in 22 (47.8%) patients. No relation was found between COX-2 expression and the lesion underlying Paget's disease (p=0.518). Bcl-2 expression in Paget cells was found positive in 12 (26.1%) and negative in 27 (58,7%) cases.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Bcl-2 expression and the lesion accompanying Paget's disease (p=0.412). No 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OX-2 expression and Bcl-2 expression (p=0.389). Conclusions: In breast cancer, COX-2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As COX-2 expression increases the tendency to metastasize also increases. In our study we found a significantly high COX-2 expression in Paget's disease of the breast. We suggest that COX-2 expression and inflammatory processes may play a role in pathogenesis of the Paget's disease of the breast.

이하선의 심엽에 위치하며 안면신경의 볼가지를 침범한 타액관 암종 1예 (Salivary Duct Carcinoma in Parotid Deep Lobe, Involving the Buccal Branch of Facial Nerve : A Case Report)

  • 김정민;곽슬기;김승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5-128
    • /
    • 2012
  • Salivary duct carcinoma(SDC) is a highly malignant tumor of the salivary gland. The tumor is clinically characterized by a rapid onset and progression, the neoplasm is often associated with pain and facial paralysis. The nodal recurrence rate is high, and distant metastasis is common. SDC resembles high-grade breast ductal carcinoma. Curative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ation were the mainstay of the treatment. If facial paralysis is present, a radical parotidectomy is mandatory. Regardless of the primary location of SDC, ipsilateral functional neck dissection is indicated, because regional lymphatic spread has to be expected in the majority of patients already at time of diagnosis. If there is minor gland involvement, a bilateral neck dissection should be performed, because lymphatic drainage may occur to the contralateral side. The survival of SDC patient is poor, with most dying within three years. We experienced a unique case of SDC in parotid deep lobe. We report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this tumor with a review of literature.

종격동에서 발생한 Rosai-Dorfman 질병의 증례 - 1례 보고 - (Extranodal Rosai-Dorfman Disease in Mediastinum - A Case Report -)

  • 최주원;오태윤;조은윤;장운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68-772
    • /
    • 2002
  •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는 Rosai-Dorfman 질환(이후 RDD)으로 불리는 조직구증 증후군의 드문 형태의 질환으로, 주로 소아나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대부분 경부 림프절을 침범하여 무통성의 심한 림프절 종대를 특징적으로 보이는 질환이다. 림프절외 부위 침범은 약 25∼43%의 환자에서 보고되며, 일부에서는 림프절의 병변없이 림프절외 부위 침범만을 보이기도 한다. 림프절외 질환에서 침범되는 기관은 안구와 부속기관 두경부, 상기도, 유방, 위장관, 중추신경계 등의 다양한 장기에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저자들은 35세 남자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학적 검사상 전종격동 종괴가 발견되어 임상적으로 침윤성 흉선 종의 의진 하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RDD 질환으로 확진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Percutaneous osteoplasty for painful bony lesions: a technical survey

  • Kim, Won-Sung;Kim, Ky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4권4호
    • /
    • pp.375-393
    • /
    • 2021
  • Percutaneous osteoplasty (POP) is defined as the injection of bone cement into various painful bony lesions, refractory to conventional therapy, as an extended technique of percutaneous vertebroplasty (PVP). POP can be applied to benign osteochondral lesions and malignant metastatic lesions throughout the whole skeleton, whereas PVP is restricted to the vertebral body. Common spinal metastases occur in the thoracic (70%), lumbosacral (20%), and cervical (10%) vertebrae, in order of frequency. Extraspinal metastases into the ribs, scapulae, sternum, and humeral head commonly originate from lung and breast cancers; extraspinal metastases into the pelvis and femoral head come from prostate, urinary bladder, colon, and uterine cervical cancers. Pain is aggravated in the dependent (or weight bearing) position, or during movement (or respiration). The tenderness and imaging diagnosis should match. The supposed mechanism of pain relief in POP is the augmentation of damaged bones, thermal and chemical ablation of the nociceptive nerves, and local inhibition of tumor invasion. Adjacent (facet) joint injections may be needed prior to POP (PVP).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applied needle should be chosen according to the targeted bone. Bone cement is also selected by its osteoconduction, osteoinduction, and osteogenesis. Needle route should be chosen as a shortcut to reach the target bony lesions, without damage to the nerves and vessels. POP is a promising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for immediate pain relief. This review provides a technical survey for POPs in painful bony lesions.

유방의 유두상 병변의 진단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역할 (Role of MRI in Diagnostic Evaluation of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 이소미;김혜정;곽연주;이희중;장윤진;신경민;박지영;정진향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4권1호
    • /
    • pp.41-46
    • /
    • 2010
  • 목적 : 유방의 유두상 병변의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양성 유두상 병변으로 진단된 45예 중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2명의 환자 2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시행 1-10일 후 절제 생검을 시행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형태학적 기준에서 불규칙하거나 환형 또는 선형 조영증강을 보이거나 조영증강 양상에서 지연기 조영유실을 보이는 경우를 의심스러운 병변으로 분류하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 병변의 발견 여부도 알아보았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절제 생검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핵생검에서 비정형성이 없는 22예의 양성 유두상 병변 중 2예(9%), 비정형성이 있는 5예의 양성 유두상 병변 중 4예(80%)가 절제 생검에서 악성으로 진단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18예 중 16예에서 암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절제 생검에서 양성이 11예(69%), 악성이 5예(31%)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 보이는 12예 중 10예가 양성, 2예가 악성으로 진단되었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절제 생검 결과와 상관이 없었다. 결론 : 핵생검에서 진단된 양성 유두상 병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대부분(88.9%, 16/18)에서 암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여 악성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 위양성 소견을 보이는 병변에 양성 유두상 병변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선에 생긴 침샘관암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Salivary Duct Carcinoma)

  • 박성욱;강상윤;김태헌;김정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607-610
    • /
    • 2008
  • Purpose: Salivary duct carcinoma(SDC) is uncommon but high grade adenocarcinoma arising in the ductal epithelium of salivary glands. SDC is characterized by distinctive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The most important histologic aspect of this neoplasm is its resemblance to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Clinically SDC is defined by cervical lymph node involvement and distant metastasis with a high rate of recurrence and mortality. We described some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SDC and the management using case report for our patient. Methods: We present a case of a 40-year-old male with 2-year history of a swelling arising in his left preauricular region. There was a single painless, firm and solid $2{\times}1.5cm$ mass in the left parotid area. Facial nerve function was intact and no cervical lymph node were palpable. In August 2005, we found out $1.7{\times}1.8cm$ sized cystic, nodular lesions that were located in the superficial lobe of left parotid gland through Computed tomography. And then superficial parotidectom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were performed in Jan 2007. Results: Pathologically, the specimen were consisted of homogeneous, chondoid to myxoid type of tissues. It was yellow mass that has multiloculated cystic lesions. In postoperative PET(Positiron emission tomography) CT, there was no evidence of uptaking FDG(Fluorodeoxyglucose) into the deep layers of parotid gland and distant metastasis were not seen. Conclusion: Salivary duct carcinoma(SDC) is a rare but high grade adenocarcinoma related to pleomorphic adenocarcinoma. The prognosis of SDC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umor such as mucoepidermoid adenocarcinoma, adenoid duct carcinoma and acinar cell carcinoma. So we need to study more carefully for accurate diagnosis in early stage of diagnosis. Although radiotherapy has not yet proven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overall survival, the combination of parotidectom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can lead to more favorable results in treating of SDC.

Clinical Course of Suspected Diagnosis of Pulmonary Tumor Thrombotic Microangiopathy: A 10-Year Experience of Rapid Progressive Right Ventricular Failure Syndrome in Advanced Cancer Patients

  • Minjung Bak;Minyeong Kim;Boram Lee;Eun Kyoung Kim;Taek Kyu Park;Jeong Hoon Yang;Duk-Kyung Kim;Sung-A Chang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3호
    • /
    • pp.170-184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Several cases involving severe right ventricular (RV) failure in advanced cancer patients have been found to be pulmonary tumor thrombotic microangiopathies (PTTMs).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nature of rapid RV failure syndrome with a suspected diagnosis of PTTM for better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prediction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From 2011 to 2021, all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PTTM were derived from the one tertiary cancer hospital with more than 2000 in-hospital bed. Results: A total of 28 cases of clinically suspected PTTM with one biopsy confirmed case were included. The most common cancer types were breast (9/28, 32%) and the most common tissue type was adenocarcinoma (22/26, 85%). The time interval from dyspnea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Grade 2, 3, 4 to death, thrombocytopenia to death, desaturation to death, admission to death, RV failure to death, cardiogenic shock to death were 33.5 days, 14.5 days, 7.4 days, 6.4 days, 6.1 days, 6.0 days, 3.8 days and 1.2 days, respectively. The NYHA Grade 4 to death time was 7 days longer in those who received chemotherapy (7.1 days vs. 13.8 days, p value=0.030). However, anticoagulation, vasopressors or intensive care could not change clinical course. Conclusions: Rapid RV failure syndrome with a suspected diagnosis of PTTM showed a rapid progressive course from symptom onset to death. Although chemotherapy was effective, increased life survival was negligible, and treatments other than chemotherapy did not help to improve the patient's prognosis.

유방보존술을 시행받는 유방암환자에서 재절제 예측의 자기공명영상소견 (Magnetic Resonance Imaging Factors Predicting Re-exci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Having Undergone Conserving Therapy)

  • 장미정;김선미;윤보라;김성원;강은영;박소연;김지현;김영미;안혜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2호
    • /
    • pp.133-143
    • /
    • 2014
  • 목적: 유방암 환자의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유방 부분절제술 후 변연 침범에 의한 재수술과 관련된 실패와 관련된 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유방 보존술을 시행받은 286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38(15.4%)명은 수술 직후 보존술 부위 경계에 유방암 양성 소견이 있어 추가 수술을 시행 받았다. 수술전 시행한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존술 후 변연 침범에 따른 실패에 따른 재수술 여부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재수술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보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유방암의 크기가 5 cm이상일 때 (p < 0.001) (odds ratio = 2.96), 비종괴성 조영증강소견으로 나타날때(p < 0.001) (odds ratio = 3.81), 그리고 다발성 병변일때(p = 0.003) (odds ratio = 2.54) 재수술의 빈도가 높았다. 비종괴성 조영증강소견의 경우에는 분절성 분포를 보일때 다른 분포와 비교하여 유방 보존술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수술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유방암 크기가 클때, 다발성 병변일 때 그리고 비종괴성 조영증강소견으로 보일때 유방 보존술 후 이차수술의 확률이 실패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절성 분포를 가지는 비종괴성 조영증강소견의 경우 유방 보존술 후 이차수술의 가능성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