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reaklin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DTM의 정확도 향상에 의한 정밀 수치정사사진 생성 (The Generation of Accurate Digital Orthophoto by DTM Accuracy Improvement)

  • 박운용;이기부;정성모;이인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3-250
    • /
    • 1998
  • 사진측량은 초기의 기계적 사진측량과 해석사진측량을 통해 현재는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을 이용한 수치사진측량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항공사진을 이용해서 수치지형모델과 수치정사사진 등의 많을 결과물을 수치사진측량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수치지형모델은 수치정사사진 정확도 향상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경사변환선을 포함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수치지형모델을 사용해서 수치정사사진을 생성하고자 한다.

  • PDF

수지표고지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지형의 분류와 보간법의 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rpolation and Terrain Classification for Accuracy Improvement of Digital Elevation Model)

  • 문두열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4-79
    • /
    • 1994
  • In this study, terrain classification, which was done by using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s and suitable interpolation method was appl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to increase its practical use of aerial photogrammetry. A terrain area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using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s to the ratio of horizontal, inclined area, magnitude of harmonic vectors, deviation of vector, the number of breakline and proposed the suitable interpolation. Also, the accuracy of digital elevation models was improved in case of large grid intervals by applying combined interpolation suitable for each terrain group.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ave an algorithm to perform the classification of the topography in the area of interest objectively and decided optimal data interpolation scheme for given topography.

  • PDF

TIN과 GRID기반의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지형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rrain Analysis using TIN & GRID-Based Digital Terrain Model)

  • 윤철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7-7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PC환경에서 축척 1:5,000의 지형도를 원 데이터로 하여 등고선 레이어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TIN과 GRID 데이터 구조 기반의 수치지형모델을 생성하여 지령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성선(breakline) 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에 대해 각각의 데이터 구조 기반별 수치지형모델을 생성하고 실행 시간, 저장 파일의 크기, 평균 표고, 표준 편차 등을 분석하였으며, 격자 데이터 구조 기반의 경우 $5\times{5m},\;l0\times{10m},\;15\times{15m},\;l0\times{30m},\;45\times{45m},\;60\times{60m}$의 셀 크기를 고려한 사면경사도와 경사방위도를 생성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IN과 GRID기반의 DTM을 생성시에는 지정의 기복이 심할수록 지정특징인 지성선을 고려하는 것이 실제지형을 보다 정교하게 표현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격자 크기를 증가시켜도 평균표고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격자 크기가 커질수록 실행시간은 상당히 단축되었고 저장공간 또한 매우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DTM을 응용분야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격자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선결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사면경사각과 경사방위각 계산을 수행한 결과 대조적인 작은 변화를 나타냈다. 사면경사각은 격자 크기가 커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경사방위각은 격자 크기가 커질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N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DEM for Flood Inundation Simulation using NGIS Digital Topographic Maps)

  • 권오준;김계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5
    • /
    • 2006
  • 최근 들어 국내에서는 홍수에 의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특성에 알맞은 홍수지도를 제작 중에 있으며, 주로 LiDAR를 이용하여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LiDAR를 이용한 구축에 많은 시간과 높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미 전국적으로 NGIS(국가GIS구축사업)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의 구축 가능성과 타당성에 대한 검증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N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물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breakline을 처리하고, 동시에 하상주변의 실제지형을 나타내는 유일한 자료인 하천종횡단자료를 연계하여 홍수범람모의용 DEM을 제작하였다. 경기도 구리시를 대상으로 1:1,000과 1:5,000의 NG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breakline을 처리하고 하천종횡단자료를 수치지형도와 연계하여 보간법을 기반으로 DEM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DEM은 1:1,000지형도가 전체 대상지역에 존재하지 않아 일부 지역에 대하여 1:5,000 지형도를 활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치 정확도는 떨어졌으나 홍수지도의 구축에는 적합한 정확도와 데이터의 정밀도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비용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높은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반면 향후 NGIS 지형도의 보다 원만한 활용을 위하여 1:1,000 지형도의 갱신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보간법의 적용에 있어서 고려사항과 breakline 구축을 위한 기술적 고려 사항 등이 정리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수계 장용 정제 코팅에 관한 공정개선 및 효과 (Process Improvement and Effect for Enteric Tablet Coating Using Aqueous System)

  • 정노희;신강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4-240
    • /
    • 2005
  • In this study, we have prepared three kinds of enteric tablet coating formulations for prevention the crack incidence and enhanced process improvement of enteric tablet using aqueous system. we determin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ree formulatons on the enteric film-coating process. The compared experiment of one-layer and two-layer (A), (B) coating treated having placebo tablets without breakline and logo. In result, the breaking force time of two-layer (B) film strength was found to increase 0.8min than two-layer (A). We confirmed the half reduction of working hour and the simplification in the one-layer coating process, and the coating troubles was solved as setting up a dehumidifier in inlet of coater. In result, we recovered that optimum running capacity(g/kg) of dehumidifier is 10g/kg and below.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영상을 이용한 DSM 생성 (DSM Generation using LIDAR and Image Data)

  • 홍주석;최경아;이임평;민성홍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6-71
    • /
    • 2009
  • 최근 가상도시, 위치기반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도심지역의 고해상도 DSM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고해상도 DSM을 획득하는데 항공 라이다 측량은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펄스는 도시건물의 모서리와 코너보다는 주로 표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라이다 DSM은 명확한 수직 breakline을 포함하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영상의 결합을 통해서 고품질의 도시지역 DSM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1) 서로 다른 두 센서에서 획득된 라이다 데이터와 영상의 기하 정합, (2)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정합, (3) 영상정합을 통해 획득된 지상점과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DSM 생성순으로 이루어진다. 영상 정합을 위한 지상점의 초기값으로 대상지의 평균고도를 높이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높이를 사용한다면 영상 정합이 아주 정밀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정합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지상점은 라이다 데이터 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DSM 생성을 위한 격자에 라이다 데이터와 영상정합의 결과로 얻어진 지상점 모두를 내삽에 이용하여 DSM을 생성하고자 한다.

  • PDF

효율적인 홍수지도 구축을 위한 NGIS 수치지형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Flood Map Generation using NGIS Digital Topographic Maps)

  • 송용철;권오준;김계현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49-454
    • /
    • 2004
  • Nowadays, flood hazard maps have been generated to minimize the loss of human lives due to flooding domestically. To generate the flood hazard maps, LiDAR data have mainly been used to provide topographic data. The LiDAR data requires, however, relatively higher cost and processing time. Therefore, the needs of validating possible use of topographic maps as an alternative source of LiDAR, which have been already existed from the NGIS project over the nation, has been rais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has generated a DEM over City of Kuri as a pilot study using conventional 1:1,000 and 1:5,000 topographic maps emphasizing the linkage of river profile with breakline processing algorithm to build the essential topographic data as accurate as possi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MSE from topographic maps and LiDAR were 3.49 and 2.282 meter, respectively. Further study needs to be made to decide possible use of topographic maps instead of LiDAR including more easier updating of topographic maps to support flood map generation. In addition, 1:1,000 topographic mapping, which is limited to the urban areas so far, needs to be extended to the river areas.

  • PDF

Footprint extraction of urban buildings with LIDAR data

  • Kanniah, Kasturi Devi;Gunaratnam, Kasturi;Mohd, Mohd Ibrahim Seen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13-119
    • /
    • 2003
  • Building information is extremely important for many applications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Sufficient techniques and user-friendly tools for information extraction from remotely sensed imagery are urgently needed.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and manual approach for extracting footprints of buildings in urban areas from airborn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data. First a digital surface model (DSM) was generated from the LIDAR point data. Then, objects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are extracted using the generated DSM. Based on general knowledge on the study area and field visits, buildings were separated from other objects. The automatic technique for extracting the building footprints was based on different window sizes and different values of image add backs, while the manual technique was based on image segmentation. A comparison was then made to see how precise the two techniques are in detecting and extracting building footprints. Finall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manually digitized building reference data to conduct an accuracy assessment and the result shows that LIDAR data provide a better shape characterization of each buildings.

  • PDF

지형특징을 고려한 고정밀 3차원 공간분석기법 개발 및 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igh-Precision 3-D Spatial Analysis Technique applied to Terrain Features)

  • 신봉호;양승룡;송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7
    • /
    • 2000
  • 지형공간정보체계에 있어서 실세계의 자연지형에 대한 모델링 기법은 지형정보처리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다.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체계에서 불규칙삼각망을 이용하여 지형특징을 고려한 고정밀 3차원 공간분석기법 개발 및 그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로서, 연구결과 완경사지와 급경사지의 경우 지성선을 고려한 모델 3의 경우가, 복잡지의 경우 peak를 고려한 모델 2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비교모델에 비해 작은 RMSE를 보임으로써 비교모델 중 가장 정밀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경사도 평가방법과 surface구축방법에 따른 최적의 루틴을 도출한 결과 완경사지의 경우 N_T, LSP_T, LSQ_T의 루틴, 급경사지의 경우 N_T의 루틴. 복잡지의 경우 LSQ_T의 루틴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하는 기법이 고정밀 3차원 공간분석을 위한 최적의 루틴으로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