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k dormancy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충주지역에서 '후지' 사과나무의 휴면단계 변화 및 눈 발달 (Changes in Dormant Phase and Bud Development of 'Fuji' Apple Trees in the Chungju Area of Korea)

  • 이별하나;박요섭;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01-510
    • /
    • 2015
  •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Fuji' 사과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자연상태에서의 내재휴면 개시 및 타파 시점을 찾고, 이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시에 휴면과 발아와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하고자 내부적인 눈의 발달 양상을 관찰하여 휴면과 저온 및 눈 발달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Fuji' 사과나무의 내재휴면 기간은 발아 소요 일수 및 발아율 조사를 통해 만개 후 165일부터 255일 사이 즉, 10월말부터 이듬해 1월 초까지 약 70일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초 발아까지 20일 이내, 최종 발아율 60% 이상을 기준으로 외재휴면에서 내재휴면으로, 다시 내재휴면에서 환경휴면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내재휴면기 동안 요구되는 저온을 산출한 결과, 내재 휴면타파기인 만개 후 255일까지 축적된 저온은 CH 모델의 경우 666h, Utah 모델은 517CU으로 조사되었다. 휴면기 및 휴면타파기 동안 눈의 내부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7월 중순경부터 꽃눈분화가 시작되었으며, 9월에는 중심화의 화원기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후 꽃눈의 발달은 휴면 기간 동안에도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이듬해 2월에는 각 기관들의 발육 단계가 좀 더 진전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Fuji' 사과의 눈은 휴면 기간 동안 대부분 건전하게 생존해 있었지만 일부에서 화원기의 괴사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는 저온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기보다는 얼음결정 형성으로 인해 일부 조직의 세포가 피해를 입고, 이로부터 괴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꽃눈은 과대지의 액아와 단과지의 정아에서 모두 형성되었으나, 전체 꽃눈 중 약 65%의 비율로 단과지의 정아에서 더 많은 꽃눈이 분화되고 있었으며, 이는 눈의 크기 및 눈이 위치한 가지의 직경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다.

발육속도 모델을 이용한 배 '신고' 자발휴면타파시기 추정 (Estimation of Dormancy Breaking Time by Development Rate Model in 'Niitaka' Pear(Pyrus pirifolia Nakai))

  • 한점화;이상현;최장전;정상복;장한익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8-64
    • /
    • 2008
  • 배 '행수'의 자발휴면기의 발육속도 모델을 이용하여 배 '신고'의 자발휴면 타파기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겨울철 기온이 온난화됨에 따른 휴면타파시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모델에 의해 예측된 자발휴면 타파시기와 포장에서 조사된 휴면타파시기가 12월 12일$\sim$12월 19일로 일치하여 배 '행수'의 발육속도 모델을 배'신고'에 적용하는 것이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휴면타파시기가 지연되었으며, $4^{\circ}C$이상 상승하면 제주도를 중심으로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 부족현상이 발생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Liatris Spicata 구경휴면(球莖休眠)에 관(關)한 연구(硏究) -I. 휴면도입기(休眠導入期) 및 각성기(覺醒期) 구명(究明)과 gibberellin 처리(処理)의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 (Studies on the Dormancy of Liatris spicata Corm -I. Study on the Induction and Awakening of Dormancy and Effect of Gibberellin Treatment on the Breaking of Dormancy)

  • 박인환;서영교;전재기;최상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8-21
    • /
    • 1986
  • Liatris spicata 구경(球莖)의 휴면도입기(休眠導入期) 및 휴면각성기(休眠覺醒期)를 조사(調査)함과 동시(同時)에 GA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맹아율(萌芽率), shooting율(率) 및 발근율(發根率)은 8월(月) 30일(日) 이후(以後) 서서히 저하(低下)되어 11월(月) 14일경(日頃) 가장 낮은 경향(傾向)을 보이다가 이후(以後) 서서히 증가(增加)하여 1월(月) 29일(日) 이후(以後)에는 모두 100%로써 매우 양호(良好)하였다. 2.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에 있어서도 11월(月) 14일(日) 무처리구(無處理區)에 있어서 10.1일(日)로써 가장 길었으며 1월(月) 29일(日) 이후(以後)에는 급격(急激)히 단축(短縮)되었다. 3. 맹아(萌芽) 및 shooting 상태(狀態)를 봐서 대구지방(大邱地方)의 노지(露地)에서 Liatris spicata 구경(球莖)의 휴면도입기(休眠導入期)는 9월(月) 하순경(下旬頃), 휴면기(休眠期)는 11월(月) 중순경(中旬頃), 휴면각성기(休眠覺醒期)는 1월(月) 하(下)~2월(月) 초순경(初旬頃)이라고 사료(思料)된다. 4. 구경(球莖)의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는 GA 200ppm 1시간(時間) 침지처리(浸漬處理)로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으며 특히(特)히 휴면(休眠)이 깊을수록 그 효과(效果)는 더욱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포도 '거봉' 2기작재배를 위한 하계휴면타파에서 토양수분 조절과 휴면타파제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Control and Dormancy Breaking Agents on Bud Burst and Fruit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in a Year in 'Kyoho' Grapes)

  • 오성도;김용현;최동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1-66
    • /
    • 2002
  • 포도 시설재배시 년 2기작 재배를 하려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여름의 휴면타파에 의한 2차 생장의 유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권환경조절에 의하여 토양수분조절과 휴면타파제 처리에 의하여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근권수분조절에 의하여 신초의 등숙을 7, 8월에 유도할 수 있었다. 근권환경조절에 의하여 1차 생장은 일반 시설재배의 신초생육과 차이가 없었다. 2기작 재배를 위한 휴면타파 처리제는 시아나미드화합물에 메리트청을 혼합한 구가 75%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신초 등숙 유도를 위한 수분중단구가 수분공급구 보다 발아율이 높았다. 결실 신초율은 처리간 타이가 없었으나 신초발아 시기가 균일하지 않았다.

Underdeveloped Embryos and Dormancy Type in Seeds of Two Heloniopsis Species Endemic to Korea

  • Lee, Seung Youn;Rhie, Yong Ha;Kim, Ki 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550-557
    • /
    • 2014
  • Heloniopsis koreana and Heloniopsis tubiflora (Melanthiaceae) are endemic herbaceous specie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Melanthiaceae family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seeds with small, underdeveloped embryos at the time of dispersal, and morphological (MD) or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embryo growth, morphology, and seed germination in Heloniopsis speci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embryo growth and seed dormancy, and to determine the type of dormancy exhibited by these species. The effects of incubation temperatures, light conditions, and gibberellic acid ($GA_3$) on dormancy break and seed germination were tested. Freshly matured seeds of the two species had small embryos that occupied about 9-11% of the length of the endosperm, and which increased by more than 300% in length before radicle emergence, indicating that the embryos are underdeveloped at the time of dispersal. Embryos in the seeds grew under warm temperature regimes (between $25/15^{\circ}C$ and $30/20^{\circ}C$). $GA_3$ application (tested only in the light) overcame seed dormancy and promoted germination. Approximately 30% of the seeds of H. koreana and approximately 40% of the seeds of H. tubiflora germinated in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light and temperature) within 4 weeks. Therefore, 30-40% of the seeds of the two species exhibited MD, and the rest of the seeds had non-deep simple MPD. Light was found to be one of the critical factors for germination because no seed of either of the two Heloniopsis species germinated under constant dark conditions, and thus, these species have the potential to form a persistent soil seed bank. Understanding these germination requirements will help in development of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the establishment of seedlings in their native habitat.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of Chelidonium majus L. subsp. asiaticum H. Hara Seeds by Stratification and Gibberellins

  • Boran Ji;Hayan Lee;Kyungtae Park;Sang Yeob Lee;Bo-Kook Jang;In Hwan Chae;Chung Youl Park;Sung Pil Kwon;Deug-Chan Lee;Ju-Sung C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96-804
    • /
    • 2022
  • The demand for Chelidonium majus L. subsp. asiaticum H. Hara i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as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an effective propagation system for this specie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 majus L. subsp. asiaticum H. Hara native to Korea and establish a mass propagation system. The dormancy type was primarily classified by analyzing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seeds. The seed dormancy breaking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effects of cold stratification (0, 2, 4, 8, 10, or 12 weeks) with warm stratification (S, summer temperature, 25/15℃) and intermediate temperature stratification (A, autumn temperature, 15/10℃) of alternating temperature stratification (S12-A4 or S12-A8 weeks). After dormancy break, 500 mg/L GA3 and GA4+7 treatment replaced cold stratification and improved seed ger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eed propagation and mass propagation by analyzing the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 majus L. subsp. asiaticum H. Hara seeds.

몇가지 환경요인이 돼지풀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i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김종홍;김원희;차승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93-100
    • /
    • 2002
  •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sub ESCOURTILS/)종자의 발아를 유발시키는 몇가지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의 휴면은 온도와 토양함수량이 적절하면 채종직후에도 일부분 타파되었고, 주야의 변온(30/20℃)이 휴면타파에 효과적이었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12℃∼32℃의 온도처리구에서 모두 발아가 이루어졌고, 발아에 필요한 최적온도는 24℃였다. (P<0.01). 토양함수량의 영향은 30% 처리구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60% 처리구에서 최대치를 나타내고 (P<0.05) 80% 처리구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토양함수량 7%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온도에 대한 광의 영향은 24℃의 온도 처리구에서 광처리시와 암처리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광의 존재유무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P>0.05). 채종시기간에는 9개월 저장기간의 어떤 시기에도 종자의 발아에 특별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P>0.05). 온도상승구(IT)에서 돼지풀종자는 16℃에서 발아하기 시작하였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아율이 점차 증가하여 최종발아율은 99.34%에 이르렀다. 반면에 온도하강구(DT)에서는 20℃에서 처음발아가 시작되었으며(1.34℃)에서 5.34%의 최종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2차 휴면이 유도되었다. 저온에 의한 종자의 휴면타파가 고온에 의한 휴면타파보다 더 많이 유도되어, 돼지풀 종자는 늦가을에도 발아가 이루어지나 그 다음해 봄에 대부분의 종자발아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와 같은 돼지풀종자들 내의 발아습성의 변이가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해 자신의 생존과 자손의 번식을 위한 생리적·생태적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Endemic Elder Species (Sambucus racemosa subsp. pendula) and Common Elder Species (S. williamsii) in Korea

  • Hyo-In, Li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84-289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eed dormancy types of Sambucus racemosa subsp. pendula Nakai and S. williamsii Hance.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1, 2, 3, 4 months) and GA3 treatment (1,000 mg/L) were performed on seeds to determine the type of seed dormancy. After the treatment, seeds were placed on a petri dish at 25℃ under light conditions. The germination rate and mean germination time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cold stratification was effective in breaking the dormant state of the seed in both species. In the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treatment, the seed germin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as the treatment period was prolonged. Gibberellin treatment was effective in breaking the dormant state of S. racemosa subsp. pendula without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However, S. williamsii did not break the dormant state of the seed by gibberellin treatment without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treatment. In the gibberellin treatment, germin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according to the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treatment perio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eeds of S. williamsii have both an intermediate complex and a deep complex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In comparison, it was found that the S. racemosa subsp. pendula had intermediate composite MPD.

Physical Dormancy in Seeds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from Korea

  • Kim, Sang-Yeol;Oh, Seong-Hwan;Hwang, Woon-Ha;Kim, Sang-Min;Choi, Kyung-Jin;Kang, Hang-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21-426
    • /
    • 2008
  • Freshly harvested seed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CMV) was strongly dormant because of hardseedness. Seeds of freshly harvested germinated only 8% while clipping the seed coat completely overcome the innate dormancy, which indicates inhibition of germination of the seed is mainly due to seed coat (87%). The dormant (intact) hard seeds did not imbibe water whereas the non-dormant (clipped) seeds took up rapidly. In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 the hard seed coat dormancy was broken only after 5 months after seed harvest. To break such a strong seed coat dormancy, the chemical and heat treatments were effective. Concentrated sulfuric acid was more effective than dry heat and hot water treatments. Hot water treatment improved germination but the germination percentage was less than 41%. Treatments increased germination due to its effect on the seed coat integrit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veled that disruption of seed coat layers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numerous crack in the hilum region of the seed and on the seed coat surface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treatment and formation of cracks in the dry heat treatments, respectively, were observed in the seed coat surface, which served as water entry points.

Growth and Yield of Double Cropping Potatoes Produced Using Seed Tubers of Different Types and Sizes

  • Park, Hyun Jin;Lee, Gyu Bin;Park, Young Eun;Cho, Ji Hong;Choi, Jang Gyu;Seo, Jin Hee;Cheon, Chung Gi;Chang, Dong Ch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75-382
    • /
    • 2021
  • For stable cultivation in double cropping, it is important to use potato (Solanum tuberosum L.) cultivars with a short dormancy period of 50-70 days and plant seed tubers of appropriate type and siz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2018-2019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ed tuber type and size on growth and yield performance in double cropping. Whole tubers of three sizes (10-20 g, 30-40 g, and 50-60 g) and conventional cut tubers weighing 30-40 g from three cultivars with different dormancy periods, namely 'Daeji' (40-60 days), 'Eunsun' (50-60 days), and 'Saebong' (50-80 days), were planted, and their field performance was compared. Regardless of the cultivar, the increase in the whole tuber weight up to 30-40 g led to fast emergence, thereby increasing ground cover rate, shoot growth rate, and tuber growth rate, which ultimately improved tuber yield by 33-54%. Comparing the whole and cut tubers, 'Daeji' and 'Eunsun' showed similar growth and yield performance; as such, the performance of whole tubers weighing 10-20 g was comparable to that of cut tubers weighing 30-40 g. However, 'Saebong', a cultivar with relatively long dormancy period, performed better with cut tuber than with whole tub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the use of whole tubers weighing over 30 g for double cropping. Further studies to break tuber dormancy are warranted in cultivars with relatively long dormancy periods (50-80 days), such as 'Sae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