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cacea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남한지역 한약자원식물의 수집분류와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1. 남한지역 한약자원 식물의 수집분류 (A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1.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ountain of south Korea)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27
    • /
    • 1992
  •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southern area(Soraksan, Bughansan, Odesan, Gwanagsan, Sollaegsan, Gyeryongsan, Sogrisan, Deogyusan, Chinsan, Jogyesan, Mudeungsan, Hallasan) ofkorea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y 1,1992 to November 30,1992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southem area, medical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bution.Medical wild plants of southern area consisted of 94 familis,284 speci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ea, Liliaceae, polygonaceae, Ranunculaceae,Brassicaceae, Rosaceae, Favaceae, Apiaceae, Ldbiatae, Solanaceae, Companulaceae, Compositae.The herb dry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in other mounteins in our country.

  • PDF

GC-MS Analysis of the Extracts from Korean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 and Its Seed

  • Hong, Eunyoung;Kim, Gu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218-221
    • /
    • 2013
  • Korean cabbage, a member of the Brassicaceae family which also includes cauliflower, mustard, radish, and turnip plants, is a crucial leafy vegetable crop. Korean cabbage is harvested after completion of the leaf heading process and is often prepared for use in "baechu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ood. Many of the components in Korean cabbage are essential for proper human nutrition; these component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primary metabolites, which include carbohydrate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and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flavonoids, carotenoids, sterols, phenolic acids, alkaloids, and glucosinolates (GSL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is study examined the variety of volatile compounds (including isothiocyanates) contained in Korean cabbage and its seed, which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16 and 12 volatile compounds, respectively. The primary volatile compound found in the cabbage was ethyl linoleolate (~23%), while 4,5-epithiovaleronitrile (~46%) was the primary volatile component in the seed.

담액 수경재배 시 양액농도 처리가 혼식한 쌈 채소류와 허브류의 생육과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the Growth and Mineral Uptake of Various Wrap-up Vegetables and Herbs Grown with Mixed Planting in DFT Hydroponics)

  • 서태철;노미영;강남준;이성찬;최영하;윤형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5-406
    • /
    • 2007
  • 국화과 13종과 배추과 14종의 쌈채소류, 그리고 허브류 7종을 담액식 수경재배 시스템에 혼식하여 EC 1.2, 2.4 및 $3.6dS{\cdot}m^{-1}$의 배양액을 공급하여 배양액의 pH와 EC 변화, 식물체의 생육과 무기양분 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양액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고, EC는 양액농도가 높은 처리에서 높아 EC $3.6dS{\cdot}m^{-1}$처리에서 $4.8dS{\cdot}m^{-1}$까지 높아졌다. 생육은 여름철에는 국화과와 허브류는 EC $1.2dS{\cdot}m^{-1}$, 배추과는 $2.4dS{\cdot}m^{-1}$의 배양액에서 양호하였고, 가을철에는 EC $2.4dS{\cdot}m^{-1}$ 처리에서 대부분 작물이 생육이 양호하였다. 무기양분의 흡수는 생육이 양호했던 가을철이 여름철보다 T-N과 K 함량이 높았다. 작물별로는 배추과가 국화과와 허브류에 비해서 T-N, K, Ca,그리고 Mg함량이 높았으며, Fe과 Mn 함량은 오히려 국화과에서 높았다. 결과적으로 국화과와 배추과 쌈채소류와 몇 가지 허브류를 혼식하여 한 가지 배양액으로 수경재배 시 여름철에는 EC $1.2dS{\cdot}m^{-1}$, 가을에는 EC $2.4dS{\cdot}m^{-1}$로 재배하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북지역 시설 채소류 작물별 해충 발생양상 및 종 동정 (An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Insect Pests in Greenhouse Vegetables in Jeonbuk Province)

  • 임주락;박성희;문형철;김주;최동칠;황창연;이관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1-280
    • /
    • 2012
  • 전북지역에서 재배되는 시설 채소류 5과 20종의 작물을 대상으로 해충 종류 및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총 22과 39종의 해충이 발생하였다. 명아주과에서는 대만총채벌레 등 7과 10종, 십자화과는 16과 25종, 미나리과는 9과 10종, 백합과는 6과 7종, 국화과는 13과 21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은 5개 과의 채소 모두에서 발생하였고, 대만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완두굴파리는 백합과(파, 부추)를 제외한 4개과 채소에서 모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반면에 흰띠명나방을 포함한 13종의 해충은 각각 1개과의 채소에서만 발생하였다. 명아주과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과 흰띠명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4종이 주요해충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 온실가루이, 완두굴파리, 양배추은무늬밤나방 4종은 미기록해충이었다. 배추과에서는 양배추가루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좁은가슴잎벌레, 배추벼룩잎벌레,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흰나비, 무잎벌 9종에 의한 피해가 컸고, 대만총채벌레를 포함한 6종은 미기록 해충이었다. 미나리과에서는 해충 발생에 의한 피해는 크지 않았으며, 차응애, 대만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담배거세미나방, 완두굴파리는 미기록 해충이다. 백합과 주요해충은 파총채벌레, 파좀나방, 파밤나방, 파굴파리 4종이었다. 국화과에서는 담배거세미나방을 제외하고 피해가 큰 해충은 없었다.

식물공장에서 광주기 및 광강도가 십자화과 3종의 생육과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Glucosinolates Content of Three Brassicaceae Species in a Plant Factory)

  • 김선우;복권정;신주형;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6-422
    • /
    • 2022
  • 본 연구는 같은 일적산광량(DLI) 조건에서 각각의 광강도와 광주기 조합이 십자화과 식물 3종의 생육 및 글루코시놀레이트(GSLs)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갓(Brassica juncea (L.) Czern.), 적겨자(Brassica juncea L.),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Alef.) 종자를 암면 배지에 파종하여 3주간 육묘하였다. 육묘 후 DLI를 10mol·m-2·d-1로 설정하여 10h-280, 14h-200, 18h-155, 22h-127µmol·m-2·s-1 처리 조합으로 3주간 처리하였다. 14h-200µmol·m-2·s-1 처리한 결과, 적갓과 케일은 지상부 생체중/건물중, 엽수, 엽면적이 증가하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적갓의 GSLs 함량에서 14h-200µmol·m-2·s-1 처리가 10h-280, 18h-155, 22h-127µmol·m-2·s-1 처리보다 각각 유의적으로 139.95, 135.87, 154.03% 증가하였으며, 케일의 경우 14h-200µmol·m-2·s-1 처리가 다른 처리구보다 각각 132.96, 122.06, 131.78%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적겨자는 18h-155µmol·m-2·s-1 처리에서 지상부 생체중/건물중, GSLs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14h-200µmol·m-2·s-1 처리에서 엽수가 10h-280, 18h-155, 22h-127µmol·m-2·s-1 처리보다 각각 15.62, 12.12, 32.14%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사한 십자화과 작물이라도 종에 따라 DLI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최적의 DLI 조건 구명과 최소의 전력 소비량 및 최대 효율을 내기 위한 광질 연구를 병행하여 더세밀한 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열무에서 분리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from Raphanus sativus L.)

  • 이선주;홍진성;최장경;김은지;이긍표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211-215
    • /
    • 2011
  • 모자이크증상을 나타내는 열무로부터 Cucumber mosaic virus의 한 계통을 분리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Vigna unguiculata, Chenopodium amaranticolor and Gomphrena globosa에서 분리 바이러스의 기주반응과 dsRNA 분석, RT-PCR 검정, PCR-RFLP, 혈청학적 분석을 통하여 CMV의 한 계통임을 확인하였다. 이 CMV 계통을 다양한 지표식물에 접종하였을 때, Nicotiana benthamiana와 N. glutinosa, N. tabacum, 고추, 오이 그리고 멜론에서는 전형적인 강한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났으나, 열무, 배추, 적갓은 매우 약한 병징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새롭게 분리된 CMV 계통은 가지과, 박과 및 배추과 등 광범위한 작물에 감염성을 나타내었으며, 배추과에서의 감염성 차이를 근거로 Gn-CMV로 명명하였다. Double-stranded (ds) RNA를 분리한 분석에서 Gn-CMV는 기 보고된 CMV 계통과 마찬가지로 3.3, 3.0, 그리고 2.2 kb의 독립된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SDS-PAGE와 Western blotting 분석으로 통하여 28 kDa의 외피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RT-PCR로 얻어진 증폭산물을 Cac8I, ClaI and MspI을 이용한 PCR-RFLP를 통하여 CMV subgroup I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Eruca sativa 에칠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미백 및 항균효과를 이용한 화장품 응용연구 (Cosmetic Application Using Skin Whitening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from Eruca sativa)

  • 박지혜;이광호;김보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51-661
    • /
    • 2021
  • Eruca sativa (E. sativa)는 루꼴라라고 불리우고 이탈리아 요리에 많이 사용되는 식물로 Brassicaceae 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E. sativa를 70% 에탄올로 환류추출 및 농축하고 (ES), n-hexane (EHex), ethyl acetate (EEA), chloroform (ECHCl3), n-butyl alcohol (EBuOH) 및 water (EDW) 용매 극성별로 분획하여 미백 효능을 규명하고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성을 연구하였다. ES, EHex, EEA, ECHCl3, EBuOH 및 EDW의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를 평가한 결과 EEA가 가장 유의하게 저해하였으며, B16F10 멜라노마 세포 내에서의 멜라닌 생성을 확인한 결과 ES, EEA 및 EBuOH를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이 유의하게 저해되었으며, 특히 EEA 분획물에서 가장 효과가 뛰어났다. 피부염과 여드름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 여드름 원인균을 포함한 8종의 세균, 진균에 대해 ES, EHex, EEA, ECHCl3, EBuOH 및 EDW의 항균력과 방부력 시험을 평가한 결과 EEA는 8종의 균 모두 효과적으로 항균력을 나타냈다. ES를 0.05, 0.1%를 함유하여 제조한 토너와 에멀션은 기존 처방에서 방부력을 증가시켜 천연보존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S를 토너, 에멀션 제형에 0.05, 0.1%로 첨가하여 일광, -20, 4, 25, 55 ℃ 조건에서 4 개월동안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pH 및 점도에 대한 영향은 크게 없었으나 대조군 및 ES를 첨가한 에멀션 55 ℃에서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침투시험을 통해 EEA는 6 hr에서 0.058%가 침투되어 임상적인 효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천연소재 E. sativa는 미백 기능성화장품 소재 및 천연 항균 보존제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태하천조성사업 예정지인 신당천(경상북도 경주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Gyeongju-si, Gyeongsangbuk-do))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1-6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From August 2017 to June 2019, a total of 7 surveys were conducted.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88 taxa including 75 families, 246 genera, 360 species, 4 subspecies, 19 varieties, 2 forms and 3 hybrids. The most families of taxa were Poaceae (59 taxa), Asteraceae (47 taxa), Fabaceae (27 taxa), Rosaceae and Cyperaceae (20 taxa, respectively), and Polygonaceae and Brassicaceae (15 taxa, respectively). The rare plant was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4 taxa, such as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Lespedeza maritima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found in this site were 13 taxa comprising 8 taxa of grade I, 4 taxa of grade III, and 1 taxon of grade I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73 taxa, such as Fallopia dumetorum (L.) Holub,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Potentilla supina L. var. ternata Pter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 taxa, such as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Lactuca serriola L., and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Alternaria brassicifolii sp. nov. Isolated from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in Korea

  • Deng, Jian Xin;Li, Mei Jia;Paul, Narayan Chandra;Oo, May Moe;Lee, Hyang Burm;Oh, Sang-Keun;Yu, Seung Hun
    • Mycobiology
    • /
    • 제46권2호
    • /
    • pp.172-176
    • /
    • 2018
  • A new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lternaria was isolated from the necrotic leaf spots of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in Yuseong district, Daejeon, Korea. It is an occasional isolate, not an etiological agent, which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A. broccoli-italicae, but differs in conidial size and conidiophore shap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sequence dataset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the rDNA,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pd), and plasma membrane ATPase genes showed that it is distantly related to A. broccoli-italicae and closely related to Alternaria species in the section Pseudoalternaria, which belonged to a clade basal to the section Infectoriae. Morphologically, the species is unique because it produces solitary conidia or conidial chains (two units), unlike the four members in the section Pseudoalternaria that produce conidia as short branched chains. It exhibits weak pathogenicity in the host plant. This report includes the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A. brassicifolii as a new species.

Sulforaphane is Superior to Glucoraphanin in Modulating Carcinogen-Metabolising Enzymes in Hep G2 Cells

  • Abdull Razis, Ahmad Faizal;Noor, Noramaliza Moh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235-4238
    • /
    • 2013
  • Glucoraphanin is the main glucosinolate found in broccoli and other cruciferous vegetables (Brassicacea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glucoraphanin and its breakdown product sulforaphane, are potent modulators of various phase I and phase II enzymes involved in carcinogen-metabolising enzyme systems in vitro. The glucosinolate glucoraphanin was isolated from cruciferous vegetables and exposed to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at various concentrations (0-25 ${\mu}M$) for 24 hours. Glucoraphanin at higher concentration (25 ${\mu}M$) decreased dealkylation of methoxyresorufin, a marker for cytochrome P4501 activity; supplementation of the incubation medium with myrosinase (0.018 U), the enzyme that converts glucosinolate to its corresponding isothiocyanate, showed minimal induction in this enzyme activity at concentration 10 ${\mu}M$.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were unaffected by this glucosinolate; however, supplementation of the incubation medium with myrosinase elevated quinone reductase activity. It may be inferred that the breakdown product of glucoraphanin, in this case sulforaphane, is superior than its precursor in modulating carcinogen-metabolising enzyme systems in vitro and this is likely to impact on the chemopreventive activity linked to cruciferous vegetable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