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ca oleracea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의 온도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다중 센서 모니터링 (Multi-sensor monitoring for temperature stress evaluation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 차승주;박현준;이주경;권선주;지효경;백현;김한나;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47-355
    • /
    • 2020
  • 기상이변으로 인한 식물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해 토양과 식물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센서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의 온도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기후 및 토양 상태와 식물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식물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식물 센서로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 sap flow rate를 모니터링하였다.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는 물과 이온 수송을 포함한 식물의 생리적 활성을 반영한다. 완전히 자란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를 온도 20/15 ℃ (낮/밤), 16시간 광주기로 하여 대조구로 설정하였으며 저온 15/10 ℃ 및 고온 35/30 ℃에 노출시키면서 토양 및 식물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식물 줄기의 전기전도도, sap flow rate는 낮에는 증가하고 밤에는 감소하였다. 저온 스트레스 하에서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줄기의 전기전도도는 대조구보다 낮았고, 고온 스트레스 하에서는 대조구보다 높아 물과 이온 수송이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엽록소 a와 b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를 받은 잎에서 증가했고 고온 스트레스를 받은 잎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잎의 프롤린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반면, 고온 스트레스에서는 증가했다. 프롤린 합성은 환경 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는 저온보다 고온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판단된다.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Cabbages [B. campestris (syn. rapa) L.] and Cabbages (B. oleracea L.) in Korea

  • Sun, Yan-Lin;Zheng, Shi-Lin;Park, Kyong-Cheul;Choi, Ki-Young;Kang, Ho-Min;Hong, Soon-Kwa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94-304
    • /
    • 2016
  • Members of the genus Brassica, which are known as oil crops or cruciferous vegetables, are widely cultivated in Canada, Australia, Asian and Europe. Because Brassica species have high yields, are well adapted to their environments, and are self-incompatible, the germplasm is abundant.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bundant genetic diversity even within Brassica subspecies. In Korea, fresh cabbage leaves are eaten with roast meat, and to meet the current popular demand, new varieties are being increasingly bred. To determine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among the cabbage vegetables in Korea, we evaluated the genetic variation of 18 accessions based on 5S and 18S ribosomal RNA (rRNA) gene sequences. We detected many variable nucleotide sites, especially in the 5S rRNA gene sequences. Because the length of the 18S rRNA gene might influence the dissimilarity rate statistics, we used both the 5S and 18S sequences to analyz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S7 (B. oleracea) showed the most distant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the other Brassica species. Interestingly, B2 (B. oleracea), B15, and B18 (B. campestris) have three different types of leaf profiles, and were divided into one group, and the other Brassica species formed another group.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species and intraspecies genetic distances revealed that B. campestris L. showed higher genetic diversity than B. oleracea L. This work provides additional data that facilitates the evaluation of the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Brassica species. The results could be used in functional plant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Brassica crops.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Somatic Hybrids between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and Brassica of oleracea L. var capitata

  • Lian, Yu-Ji;Lim, Hak-Ta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3-38
    • /
    • 2001
  • Protoplasts isolated from inbred lines of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cabbage) and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Chinese cabbage) were fused by PEG-mediated method, and somatic hybrid cells were differentiated into plants. for the identification of somatic hybrid plants, ploidy level, plant morphology, and cyt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ll of the regenerated plants derived from fused protoplasts were shown to be 2X-4X, or higher ploidy level, presumably due to somatic hybridization or chromosome doubling. The morphology of leaves, petioles, and flowers showed an intermediate phenotype between Chinese cabbage and cabbage. Chromosome numbers in these somatic hybrids ranged mostly from 33 to 38. According to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GISH) pattern, signals from both fusion parents of B.campestris or B.oleracea were detected in different colors when chromosomes of putative somatic hybrids were observed.

  • PDF

Improving Effects of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Sprout Extract on Alcoholic Liver Dysfunction

  • Kim, Min Jeong;Yang, Hye Jeong;Lee, Hak Yong;Park, Young Mi;Shin, Dong Yeop;Lee, Yang Hee;Kang, Yang Gyu;Kim, Tae Su;Lee, Sung Pyo;Park, Kwan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3-169
    • /
    • 2020
  • Alcoholic fatty liver disorder has become a frequent health concern worldwi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assica oleracea (B. oleracea) sprout extract (BO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with alcoholic fatty liver in the rat. Initially, the effects of BOE on liver parameters were examined.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normal control group was fed the normal diet, and the BOE group was fed the high fat diet and ethanol with/without BOE for 4 weeks. After 4 weeks feeding period, rats were sacrificed and their livers and blood were used for fatty liver-related biomarkers analyses. As a result, BOE ameliorated fatty liver-related enzymes profiles in liver tissues and also re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rat model. We demonstrated that BOE protected the high fat diet and alcohol-induced fatty liver in rat model. Furthermore, BOE increased detoxificative abilities against alcohol.

적채 추출물의 기능성 및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Brassica oleracea L-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Brassica oleracea L.)

  • 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43-1449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적 채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4\%$, 에탄을 추출물은 $76\%$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 및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우리밀 적채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색도(a)는 생면, 건면, 삶은면 모두에서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7\%$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b)는 생면과 건면의 경우 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다. 삶은면에서는 적색도 감소가 가장 큰 $5\%$ 첨가구에서 황색도 및 명도가 가장 높았다. 적채를 첨가한 우리밀 건면과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을 제외한 모든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새로운 채소류의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of Newly Introduced Vegetable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김동근;류영현;허창석;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94-299
    • /
    • 2013
  • 새로운 채소류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7과 13속, 25종, 총 39품종을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감수성인 것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아마란서스와 근대, 낙규과(Basellaceae)의 바우세, 피나무과(Tiliaceae)의 모로헤이야, 메꽃과(Convolvulaceae)의 공심채, 십자화의 청경채, 홍채태(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다채(B. campestris var. narinosa), '다청채'(B. campestris var. chinensis x narinosa), 갓, 곱슬겨자(B. juncea), 교나(B. juncea var. laciniate), 채심(B. rapa subsp. arachinenesis), 가이란(B. oleracea var. alboglabra), 로케트샐러드(Eruca sativa), 국화과(Asteraceae)의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엔다이브(Cichorium endivia), 아티쵸크(Cynara cardunculus var. scolymus), 상추(Lactuca sativa)였다.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인 것은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맛짱, 콜라비(B. oleracea var. gongyloides) cv. 적콜라비, 치커리(C. intybus) cv. 적치커리였다.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것은 치커리(C. intybus) cv. 슈가로프, 구루모, 통콘네로네(radichio treviso),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만추콜라드, 슈퍼맛짱 브로콜리(B. oleracea italica), 잎브로콜리(B. oleracea var. botrytis italiana), 꿀풀과(Lamiaceae)의 차즈기, 들깨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채소류는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저항성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Identification of glucosinolate-associated QTLs in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 Oh, Sang Heon;Choi, Su Ryun;Pang, Wenxing;Rameneni, Jana Jeevan;Yi, So Young;Kim, Man-Sun;Im, Su Bin;Lim, Yong Pyo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1-8
    • /
    • 2018
  • Glucosinolates are one of the important plant secondary metabolites that are produced mainly in Brassicaceae plants. The compounds are primarily involved in defense responses to biotic and abiotic resistance in plants and play important biological roles during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glucosinolate profiles in leaves of two different Brassica oleracea populations were compar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nine major glucosinolates compounds in cabbage leave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aliphatic and indolic groups. Among them, sinigrin, which belongs to the aliphatic group, was recorded to be 41% whereas glucobrassicin and 4-methoxyglucobrassicin, which belong to the indolic group, were recorded to be 53.8%. In addition, we performed a genetic analysis to identify regions of the genome regulating glucosinolates biosynthesis in the $F_3$ population of Brassica oleracea. A total of 9 glucosinolates were used for the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analysis. Out of 9, a total of 3 QTLs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associated with sinigrin, glucobrassicin, and 4-methoxyglucobrassicin synthesis located in Chromosome 1 and Chromosome 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breeding of cabbage containing high glucosinolate content, and our next target is to develop component-specific and tightly linked markers for various glucosinolates.

양배추 유래의 글루타티온 전달효소의 기질 특이성 및 저해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substrate specificity and inhibition effect of Brassica oleracea glutathione S-Transferase)

  • 박희중;이희진;공광훈
    • 분석과학
    • /
    • 제22권3호
    • /
    • pp.228-2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제초제 해독 기구를 알아보기 위해, 양배추 (Brassica oleracea)로 부터 글루타티온 전달효소를 정제하고 외래성 이물질에 대한 기질 특이성과 저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양배추로부터 DEAE-Sephacel 컬럼과 GSH-Sepharos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약 10%의 수율로 글루타티온 전달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에 대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SDS-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으로 측정한 분자량은 23,000Da을 나타내었으며,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분자량은 48,000Da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제된 양배추 글루타티온 전달효소는 소단위체의 분자량이 약 23,000Da의 동종이량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효소의 저해제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결과, S-hexyl-GSH와 S-(2,4-dinitrophenyl)GSH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었다. 양배추 글루타티온 전달효소의 기질특이성은 CDNB와 ETA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cumene hydroperoxide에 대한 GSH peroxidase 활성도 나타내었다.

고랭지 여름출하용 유망 쌈채소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Ssam' Vegetable for Summer Production in Highland)

  • 장석우;김원배;류경오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40-144
    • /
    • 2001
  • 고랭지에 적합한 신소득 작목을 개발하고자 최근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쌈채소중에서 적근대 등 17종을 공시하였다. 파종은 128공 플러그트레이에 30일간 육묘하였으며 비가림하우스에 정식하여 생육, 특성, 수량 등 제반 수량형질과 쌈으로서의 재배 및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정식시 묘소질은 공시작목 17종 모두 묘상 및 본포 생육은 고랭지 환경조건에서 순조로운 양상을 보였다. 이들 중에서 부추, 삼엽채 및 로메인상추 등의 첫수확은 8월 상중순이었으나 나머지 작목은 7월 10일이었다. 삼엽채 등을 비롯한 11종은 7월 중순-8월 하순에 추대하여 대부분 개화에 도달하였다. 로메인상추, 화채 등 일시수확하는 작목을 제외한 전 작목 모두 월별 수확이 진행됨에 따라 상품엽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9월 수확시에 그 감소 정도가 다소 컸다. 7-9월의 상품수량은 적근대, 적겨자, 겨자채, 청경채, 다채, 로메인상추, 적엽치커리, 적치커리, 녹엽치커리 등 9작목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 PDF

H2O2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 분획물의 PC12 cell 보호 효과 (PC12 Cell Protective Effects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Leaf Fraction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 박선경;진동은;박창현;승태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83-488
    • /
    • 2014
  •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의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distilled water 분획물의 total phenolic 화합물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이 206.8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지질 과산화(MDA) 생성 억제효과 실험 결과에서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실험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인 chloroform 분획물을 이용하여 $H_2O_2$으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PC12 cell)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 세포 생존율 그리고 세포막 손상 억제효과 역시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며 positive control 로 사용된 Vit.C와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HPLC 분석 결과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에 존재하는 주요 phenolic 화합물은 feul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ferulic acid 등을 함유한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은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함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