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ca campestris var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8초

Ultrastructural Changes of Chinese Cabbage Root Tissues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 Sung, Mi-Joo;Kim, Young-Soon;Kim, You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94-100
    • /
    • 2001
  • Root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seedlings infected with Plasmodiophora brassicae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o reveal histopathological changes related to pathogenesis in the susceptible host. The pathogen colonized the cortex and partly the stele as well, invading up to the xylem. Gall tissues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initially infected tissues, involving less compact organization and new vascular development. The infected cells were much hypertrophied, and contained one to several plasmodia. Except cellular hypertrophy, no pathological ultrastructural modification was noted in the infected calls. Infected cytoplasm became dense with ground cytoplasm, inconspicuous central vacuole, and increased cellular organelles such as mitochondria and dictyosomes. There were two types of nuclear states of plasmodium, uninucleate and multinucleate. Both plasmodia were structurally similar, filled with lipid droplets, bounded with envelope, and containing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and sometimes small vacuoles. Plasmodial fragmentation, which may be regarded as a way to discharge plasmodial materials into host cytoplasm, commonly occurred, forming plasmodial fragments by outgrowth of plasmodial cytoplasm and regional compartmentalization. Plasmodial fragments were degenerated sometimes followed by forming chains of spherical vesicles especially in the uninucleate plasmodial state. These ultrastructural features indicate the biotrophic nature of the pathogen associated with its pathogenesis in the susceptible host.

  • PDF

Sodium hypochlorite처리에 따른 배추종자의 Agrobacterium이용 형질전환 증대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As a Chemical Wounding Agent for Improving Agrobacterium-mediated Chinese Cabbage Seed Transformation)

  • 신동일;박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34-1036
    • /
    • 2005
  • 배추 종자 및 유묘에 대하여 GUS발현 또는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발현 벡터를 지니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세포를 이용하여 진공침윤(agroinfiltration)에 의한 형질전환을 시도하였다. 특히 ELISA를 이용한 HBsAg발현의 정량적 분석에서 agroinfiltration방법은 형질전환효율이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발아 전 또는 발아 중인 배추종자에 처리한 후 agroinfiltration을 실시한 경우 형질전환 효율이 $2\~5$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화학연마제에 의한 종자의 상처발생이 Agrobacterium의 감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배추유묘에서의 일시유전자발현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제안되고있다.

Genetic analysis of clubroot resistance in Chinese cabbage using single spore isolate of Plasmodiophora brassicae and development of RAPD marker linked to its resistance gene

  • Cho, Kwang-Soo;Hong, Su-Young;Han, Young-Han;Yoon, Bong-Kyeong;Ryu, Seoung-Ryeol;Woo, Jong-Gyu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01-106
    • /
    • 2008
  • To identify inheritance of clubroot disease resistance genes in Chinese cabbage, seedling tests of $BC_1P_1,\;BC_1P_2$, and $F_2$ populations derived from $F_1$ hybrid(var. CR Saerona) using single spore isolate(race 4 identified with William's differential host) from Plasmodiophora brassciae were conducted. Resistance(R) and susceptible(S) plants segregated to 1:0 in backcross to the resistant parent. The $F_2$ population segregated in a 3(R):1(S) ratio.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resistance of clubroot disease is controlled by a single dominant gene to the race 4 of P. brassicae in CR Saerona. To develop DNA markers linked to clubroot resistance genes, 185 plants of CR Saerona among $F_2$ populations were used. A total of 300 arbitrary decamer was applied to $F_2$ population using BSARAPD(Bulked segregant analysis-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One RAPD marker linked to clubroot resistance gene in CR Saerona($OPJ_{1100}$) was identified. This marker was 3.1 cM in distance from resistance gene in $F_2$ population. This marker may be useful for a marker-assisted selection(MAS) and gene pyramiding of the clubroot disease resistant gene in Chinese cabbage breeding programs.

  • PDF

제주 화산회토양의 중금속 연속추출 특성 및 작물 흡수에 미치는 영향 (Sequential Extraction of Trace Elements and Uptake by Pakchoi from Volcanic Soils in Jeju Island)

  • 임한철;문경환;전승종;박원표;현해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65-69
    • /
    • 2009
  • 이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을 이용하여 Ni, Cu, Zn의 토양중 존재형태를 알아보고 토양 중금속이 청경채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토양 중 함량을 연속추출법에 의해 알아본 결과 토양 종류마다 각 중금속의 존재형태가 차이가 있었고, 이를 이용하여 토양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다. 중금속 함량이 다른 토양을 이용하여 청경채를 재배했을 경우 Zn, Cu는 뿌리에서 흡수되어 지상부로 이동되었으나 Ni은 지상부에서 거의 검출이 되지 않아 청경채 내에서 미량원소의 이동성이 달랐다. 그러나 토양 중 함량과 청경채의 함량 간에는 치환성 Zn을 제외하고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특히 Ni은 식물체 내에서 이동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토양 중 함량과 상관관계를 내기도 어렵기 때문에 전함량이나 치환성함량 등 지금까지의 방법에 의한 토양 중 함량으로 식물체의 함량을 추정하기에는 매우 어렵다고 판단되므로 새로운 접근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인체의 중금속 흡수에 의한 위해성 평가와 관련해서는 토양 식물체, 식물체 인체 두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각 단계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중금속의 기준을 토양 및 식물체 별로 각각 마련하는 것보다는 식물체내 농도만으로 정하는 것도 한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양액내 세라믹 처리가 청경채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ramics in the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Chinese Flat Cabbage)

  • 박병모;권성환;박학봉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1997
  • $25^{\circ}C$로 유지되고 있는 온실내에서 양액에 세라믹을 처리하여 청경채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근권온도 3$0^{\circ}C$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다. 특히 세라믹 2호는 각각의 온도 처리구에서 최고의 건물중이 나타난 반면, 3호는 무처리구보다도 오히려 생장이 억제되었다. 줄기와 뿌리의 건물중의 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증가되었고, 모든 세라믹 처리구에서는 감소되었는데, 이는 세라믹이 뿌리의 생장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중 1g당 수분의 함량은 모든 세라믹 처리시 무처리구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1% 세라믹은 전기전도도가 0.001-0.03mS/cm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세라믹 중에 파랑색을 띤 3호가 가장 항균력이 강했으며, 모든 세라믹은 물썩음 방지 효과가 있었다.

  • PDF

고농도 염수에서 단시간 절인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Kimchi Salted at High Salt Concentration for a Short Time)

  • 류정표;양지희;정영배;이상일;한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13-1919
    • /
    • 2014
  • 이동식 자동절임장비에서 염농도 29.6%의 염수로 $30^{\circ}C$에서 4시간 절인 배추로 담근 고염도 김치의 품질은 김치공장에서 12% 염수로 $10^{\circ}C$에서 16시간 절인 배추로 담근 저염도김치의 품질보다 전체적인 맛과 짠맛에서 더 높았고 다른 요소들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특히 전체적인 맛과 짠맛에 대한 기호도는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P<0.05). 즉 고농도 염수로 고온에서 단시간 절인 배추의 품질이 저농도에서 저온으로 장시간 절인 배추의 품질보다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김치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배추의 절임공정을 개선하는 데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고, 이동식 배추절임 자동화장비를 실용화하는 데 근거가 될 것이다.

다채를 기주로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의 생명표 분석 (Life Table Analysis of the Cabbage Aphide, 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 (Homoptera: Aphididae), on Tah Tsai Chinese Cabbages)

  • 김소형;김광호;황창연;임주락;김강혁;전성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49-456
    • /
    • 2014
  •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Linnaeus)]의 생명표를 작성하고자 다채(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를 기주로 7개 온도(15, 18, 21, 24, 27, 30, $33{\pm}1^{\circ}C$, $65{\pm}5%$ RH, 16L : 8D)에서 온도발육 실험을 수행하였다. $24^{\circ}C$에서 온도별 사망률은 어린약충기간($1^{st}{\sim}2^{nd}$)에서 18%였고, 노숙약충기간($3^{rd}{\sim}4^{th}$)에서는 0%였다. $18^{\circ}C$에서 어린약충의 발육기간은 8.4일이었고, 온도가 증가 할수록 발육기간은 짧아졌으며 노숙약충은 6.7일이었다.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전체약충의 발육영점온도는 $7.8^{\circ}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120.1일도였다. 성충의 수명과 산자수는 모든 약충이 사망한 $15^{\circ}C$$33^{\circ}C$를 제외하고 5개 온도에서 조사하였다. 성충수명은 $21^{\circ}C$에서 14.9일이었고, $24^{\circ}C$에서 58.5개의 산자를 생산하였다. 생명표에서 순증가율($R_o$)은 $24^{\circ}C$에서 47.5였으며, 내적자연증가율($r_m$)과 기간증가율(${\lambda}$)은 $27^{\circ}C$에서 각각 0.36, 1.43이었다. 배수기간($D_t$)은 $27^{\circ}C$에서 1.95d이었고, 평균세대기간(T)은 $30^{\circ}C$에서 7.43d이었다.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의 시용(施用)이 배추의 수량(收量)과 토양화학적(土壤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n Yield of Cabbag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ith Nitrogen and Potash)

  • 오왕근;김성배;강안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3-257
    • /
    • 1984
  • 가을배추(Brassica Campestris SSP. Pekinensis)에 대(對)한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적정시비(適正施肥)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요소(尿素)와 염화가리(鹽化加理)를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질소를 10a당 15kg이하 시용(施用)했거나 25kg 시용(施用)했을 때 가리비료(加里肥料)의 효과(效果)가 보였으나 질소(窒素)를 20kg시용했을 때는 가리비료의 효과(效果)가 없었다. 질소(窒素)를 25kg 시용(施用)했을 때도 1.0kg 이상의 결구(結球) 배추를 생산하는데는 가리비료(加里肥料)가 효과(效果)를 보이지 못하였다. (2) 질소(窒素)의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낮추었는데 특히 10a 당 20kg이상의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더욱 낮추어서 배추에 대한 토양가리(土壤加里)의 흡수량(吸收量)을 증가하고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치환성(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을 낮추었다. (3) 10a당(當) 25kg의 질소에 가리(加里)를 병용했을 때에 건조배추의 Ca함량(含量)이 낮아졌다. 이는 토양(土壤)의 산성화에 기인하고 개체중(個體重) 1.0kg 이상(以上)의 배추생산량을 올리지 못한 원인이 된 것 같다.

  • PDF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토양조건별 초본식물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aceous Plants by Soil Condition to Revitalize the Urban Agriculture)

  • 박원제;한경환;권순효;박미옥;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
    • /
    • 201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find the most optimal soil-plant combination in the urban agriculture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soil base material which is being used in the urban agriculture with the growth of plants. 4 types of easily purchased soil (bed soil(A), animal vermicast soil(B), earth worm soil(C) and matured compost(D)) verified in aspects of effect and safety of soil in terms of growth of crop is selected as experimental soil and B, C, D type soils are mixed with granite soil at the ratio of 7 : 3. And granite soil(E) is set as a controlled soil and is compar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mixed soil. Herbaceous plants are classified into the fruit vegetabl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and Capsicum annuum L.), leafy vegetables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and Lactuca sativa L.), medicinal vegetables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nd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growth of herbaceous plants in different soil types showed that fruit vegetables and leafy vegetables in general had excellent growth in D type soil mixture and A type soil in general and had the poorest growth in E type (controlled) soil.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had the excellent growth in D type, B type, C type mixed soil and A type soil and E type (controlled) soil are followed in order. In the case of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difference in growth by each soil was shown to be insignificant. Therefore, the soil applied in the urban agriculture varies depending on each species of herbaceous plants, but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cultivate herbaceous plant which is economical and productive by using D type mixed soil which can be recycled and inexpensive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al soils in the urban agriculture.

대기 중 CO2 농도의 상승에 대한 배추의 광합성과 생장 반응 (Photosynthetic and Growth Responses of Chinese Cabbage to Rising Atmospheric CO2)

  • 오순자;손인창;위승환;송은영;고석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7-365
    • /
    • 2016
  • 본 연구는 대기 중 $CO_2$ 농도의 증가가 배추(B.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의 광합성과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미래의 대기중 $CO_2$ 농도 증가로 인한 고랭지 배추의 생산성을 예측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대기 $CO_2$ 농도를 달리하여 배추를 5주 동안 재배하였을 때, 지상부 생체량, 엽수, 엽면적, 엽장, 엽폭은 모두 대기 $CO_2$ 농도 조건($400{\mu}mol{\cdot}mol^{-1}$)에서 재배된 배추에서보다 고농도의 $CO_2$ 조건($800{\mu}mol{\cdot}mol^{-1}$)에서 재배된 배추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증산률(E)이 다소 낮았지만, $CO_2$ 고정률(A), 기공전도도($g_s$)와 수분이용효율(WUE)도 고농도의 $CO_2$에서 높았다. 최대광합성률($A_{max}$)은 대조구인 대기 중 $CO_2$ 농도에서 보다 고농도의 $CO_2$ 조건에서 2.2배 더 높았다. 광보상점($Q_{comp}$)은 대조구에서보다 고농도의 $CO_2$ 조건에서 다소 낮았다. 순양자수율(${\varphi}$)은 고농도의 $CO_2$ 조건에서 재배된 배추에서 높았다. 그러나, $CO_2$반응곡선으로부터 얻은 광호흡률($R_p$), 최대카르복실화속도($V_{cmax}$), $CO_2$ 보상점(CCP), 최대전자전달률($J_{max}$), 탄소고정효율(ACE) 등은 $CO_2$ 농도에 따라서 차이가 없거나 있더라도 미미하였다. 그리고, 광계II의 최대 광화학적 효율($F_v/F_m$)과 잠재적 광합성능($F_v/F_o$)이 $CO_2$ 농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고농도 $CO_2$ 조건이 고랭지 재배시 배추의 생육에 스트레스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배추의 광합성을 위한 최적 온도는 고농도 $CO_2$에서 $2^{\circ}C$ 정도 더 높았으며, 최적온도 이상의 조건에서는 대기 $CO_2$와 고농도 $CO_2$에서 모두 $CO_2$ 고정률은 감소하고 암호흡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미래의 대기 중 $CO_2$ 증가는 고랭지 재배시 배추의 생육에 있어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으며 수광량의 증가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