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of Origin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9초

한·중 소비자의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 부산과 상해 지역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n Global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Shanghai Area-)

  • 진남;김창경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7-250
    • /
    • 2008
  • 본 연구는 한 중 대학생소비자의 글로벌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 글로벌브랜드의 구매의도, 브랜드원산지이미지, 지각된 품질, 자민족중심주의성향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한국 부산과 중국 상해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5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ver.15.0과 AMOS ver.7.0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설문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부산)의 경우, 브랜드원산지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에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상해)의 경우, 브랜드원산지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포츠 웨어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원산지, 유행관여도가 중국소비자의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llaboration, Brand Origin, and Fashion Involvement of Sportswear Brands on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 사문;변유선;황선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1호
    • /
    • pp.126-13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verify interaction effects of collaboration and brand origin as well as fashion involvement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global sports apparel brands and Chinese local sports apparel brand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425 Chinese women aged 19 to 34 years.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s, 3-way ANOVA, and simple effec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involvement, collaboration, and brand country of origin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when purchasing sportswear. Second, fashion involvement and collaboration in purchasing sportswea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 Finally, collaboration, brand origin, and fashion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n Chinese consumers' preferences.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establish an efficient marketing strategy for Chinese local sportswear brands, which are fiercely competing with global sportswear brands in the Chinese market because they can examine Chinese consumers' attitudes toward sportswear brands. To accurately compare global and local sportswear brands, it must be assum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brand preferences among consumers. However, as this study selected each brand as the research brand ranked as the top preference, this aspect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fferences in brand preferences and conduct the study accordingly.

원산지일치도와 가격수준에 따른 의류 제품평가 - 소비자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Country-of-Origin Coincidence and Price Level on Fashion Products Evaluations -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 김연희;이규혜
    • 복식
    • /
    • 제59권6호
    • /
    • pp.41-57
    • /
    • 2009
  • Evaluations of fashion products are often influenced by consumers' knowledge of the country where the products were made in. As globalization progresses, country-of-origin information is widely regarded as a powerful cue on consumers' shopping behavio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umer evaluation of apparel products with uni-national or bi-national country of origin. The effect of price level and gender were also investigated. The empirical research design took 2${\times}$2 factorial design with the country-of-origin coincidence (uni-national vs. bi-national) and price (high vs. low) of gender (male vs. female). Consumers' ethnocentrism and country-of-origin interest were taken into account as covariates in the factorial design. The consumers'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s was measured in terms of brand attitudes and product attitudes. Data from 514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ANCOVA. Results of this study affirmed the importance of price information rather than country-of-origin coincidence in brand attitudes and product attitudes. Only for male consumers, interaction effects of price and country-of-origin coincidence had significant eflects on utilitarian attitude. Effects of two covariate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were significant for female respondents but not for male respondents.

시장진입전략을 고려한 요소브랜딩전략에 관한 연구: 브랜드원산지 및 가격정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gredient branding strategy considering order of market entry: Moderating effect of brand origin and price information)

  • 양재호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9-208
    • /
    • 2016
  • 본 연구는 시장의 후발주자가 선발우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소브랜딩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브랜드성분의 원산지정보와 요소브랜딩제품의 제시된 가격수준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총 40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1에서는 요소브랜드의 시장지위 및 원산지정보는 소비자의 요소브랜딩 제품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시장진입순서와 요소브랜드의 원산지정보가 소비자의 요소브랜딩 제품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시되는 제품의 가격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은 후발브랜드의 선발우위 극복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고, 후발기업의 브랜드 운용전략에 대한 시사점도 제시하고 있다.

  • PDF

브랜드 원산지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 성과관련 변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rand Origin Related Perception on Brand Performance Variables)

  • 김기훈;김문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219-236
    • /
    • 2018
  • 본 연구는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기반의 평가를 중심으로 글로벌 브랜드의 태도나 충성도의 형성에 있어 브랜드 원산지의 이미지가 브랜드 관련 변수들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연구로 브랜드 원산지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 및 브랜드 자산 등으로 바로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벗어나서 브랜드 친숙도,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태도 등과 같은 하위의 변수들을 통해서 더욱 자세한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제조능력 이미지는 브랜드 동일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이미지는 브랜드 동일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원산지의 제조능력 이미지와 일반적 이미지는 브랜드 친숙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브랜드 동일시를 통해 브랜드 친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자신의 이미지와 일치한다고 생각하는 브랜드일수록 더욱 친숙함을 느끼고 좋은 태도를 견지하며 브랜드에 충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 친숙도는 브랜드 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브랜드 충성도까지 이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친숙하다는 것이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게 하지만 반드시 강한 반복구매나 구매의도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Exploring the Antecedents Affecting Attitude, Satisfaction, and Loyalty towards Korean Cosmetic Brands

  • Asgari, Omid;Hosseini, Mehri Sadat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6호
    • /
    • pp.45-70
    • /
    • 2015
  • Purpose - This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untry-of-origin antecedents on overall attitudes and the impact of overall attitude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sights into international female purchasing behavior in the cosmetic industry in South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elements of country-of-origin antecedents, (cultural interest, perception of brand image, perception of fashion, perception of product quality, perception of price, and perception of advertising), on overall attitudes as well as the effect of overall attitude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such antecedents are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effect of overall attitudes on satisfaction and of satisfaction on loyalty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om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with customer brand awareness growing along with products standards, considering the concepts points of parities and points of differences, the Korean cosmetic industry should try to establish brand associations with natural organic ingredients in its cosmetic items,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majority of non-Korean brands.

상표 원산지와 생산 원산지의 일치성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ngruity between Country-of -Origin of Brand and Country-of-Origin of Production on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 황병일;김범종
    • 산학경영연구
    • /
    • 제15권
    • /
    • pp.133-15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가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소비자의 정보처리 관점에서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 정보의 일치성(congruity)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표는 같지만 국가를 달리한 제품을 사진으로 나타낸 실험자극을 개발하여 응답자에게 제시하고 제품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제품은 관여도, 이성-감성, 사적-공적 개념 특성을 반영하여 녹음기, 스포츠화, 화장품, 휴지를 선정하였으며, 원산지로는 선진국(미국, 일본, 프랑스), 한국, 후진국(말레이시아)를 선정하였다. 원산지간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량 반복측정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두 제품간의 선호도 차이를 위하여 paired-t 검증이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저관여이면서 사적 제품으로 판단되는 휴지를 제외하고 모든 제품에서 선진국 상표와 제품이 선호되었다. 즉, 다양한 제품특성을 반영한 제품군에서 원산지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제품선호도에서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 간에 정보 일치성(congruity)에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였는데 상표원산지와 생산원산지간에 정보일치성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다 선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원산지의 정보 일치성이 제품선호도에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제품특성의 반영과 정보 일치성으로 원산지효과를 이해하게 하는 데 기여하여 원산지효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글로벌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원산지국가 인지도 (The Perception of Country-of-Origin of Global Restaurant Franchise Brands)

  • 김맹진;정유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0-728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Korean consumers' perception level of the country-of-origin of brand (COB) of global restaurant franchises. Although global brands have rushed onto the Korean food service market since 1980, there has been little or no research conducted regarding consumers' perception of COB of global restaurant franchises. In this study, we surveyed consumers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of COB for 27 foreign global restaurant brands; specifically,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Korean consumers could correctly recognize the COB of each br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ed that Korean consumers correctly perceived the COB of certain restaurant brands, and incorrectly perceived some other brands. For instance, Korean consumers' perception level of the COB of McDonald's and KFC were quite high, and conversely their perceptions of the COB of Outback Steakhouse and Pohoa were relatively low. When consumers select a restaurant brand, COB image was shown to be more influential than brand image.

한국 소비자들의 수입명품에 대한 제품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태리, 프랑스, 스위스 원산지 명품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on Product Preferences and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Consumers to Imported Luxury Brands into Korea)

  • 정헌주;배경원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475-504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의 소비자들과 수입명품과의 실증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구매하려고 하는 수입명품에 대한 원산지 이미지, 브랜드 이미지, 객관적인 제품 특성, 주관적인 소비자 특성 등의 속성(Product Attributes)이 소비자 제품구매의도와 제품선호도에 왜, 어떻게, 얼마나 영향을 실증적으로 미치는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방향 다음과 같다. 첫째, 원산지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가 수입명품의 선호도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을 파악한다. 둘째, 소비자가 수입명품을 선택할 때, 구매리스크가 다른 제품특성이 소비자의 제품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산지효과의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제품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산지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품특성이 다른 제품 간의 차이를 규명한다. 넷째, 한국소비자의 구매태도를 분석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보편성을 조사하고 입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분석에 사용된 실증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델링이며 통계프로그램으로 Lisrel 7.0을 활용하였다.

스포츠웨어 브랜드 원산지 이미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브랜드 개성 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wear Brands' Country-of-Origin on Purchase Intention in Terms of Brand Personality as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장방방;김용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2호
    • /
    • pp.208-2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rtswear brands' country-of-origin on purchase intention (PI) in terms of brand personality as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hinese students preferred to shop for sportswear at specialty stores, liked Nike and Adidas most, desig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selecting, selected their sportswear themselves, and gathered information from TV ads. With regard to perceptions of brands country-of-origin, America was perceived as a developed country, influential to the world, but as having a bad relationship with China. Germany was perceived as a developed country and as having a well-developed civic culture, good people image, high technology, high influence on the world, and a good relationship with China. Italy was perceived as a developed country with the highest civic culture. China was perceived as a developing country, as having a good people image, and low technology and low influence on the world. Japan was perceived as a developed country with high technology.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were sincerity, competence & sophistication, and excitement. Nike was perceived as having high competence & sophistication and excitement, Adidas as having high competence & sophistication and excitement, Lining as having high sincerity, and Mizuno's brand personality was very low. People image, competence & sophistication and excitement became higher, PI of Adidas increased. If people image, competence & sophistication and excitement became higher, PI of Kappa increased. If a country was developed and competence & sophistication and excitement became higher, PI of Lining increased. If civic culture, people image, technology, competence & sophistication and excitement became higher, PI of Mizuno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