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4초

두통 초진 환자에서 신경영상검사 소견 (Neuroimaging Findings of First-Visit Headache Patients)

  • 김병수;김수경;김재문;문희수;박광렬;박정욱;손종희;송태진;주민경;차명진;김병건;조수진
    • 대한신경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4-301
    • /
    • 2018
  • Background: Neuroimaging can play a crucial role in discovering potential abnormalities to cause secondary headache. There has been a progress in the fields of headache diagnosis and neuroimaging in the past two decades. We sought to investigate neuroimaging findings according to headache disorders, age, sex, and imaging modalities in first-visit headache patients. Methods: We used data of consecutive first-visit headache patients from 9 university and 2 general referral hospitals.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third edition, beta version was used in headache diagnosis. We finally enrolled 1,080 patients undertook neuroimaging in this study. Results: Among 1,080 patients (mean age: $47.7{\pm}14.3$, female: 60.8%), proportions of headache diagnosis were as follows: primary headaches, n=926 (85.7%); secondary headaches, n=110 (10.2%); and cranial neuropathies and other headaches, n=43 (4.1%). Of them, 591 patients (54.7%) receiv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Neuroimaging abnormalities were found in 232 patients (21.5%), and their proportions were higher in older age groups and male sex. Chronic cerebral ischemia was the most common finding (n=88, 8.1%), whereas 76 patients (7.0%) were found to have clinically significant abnormalities such as primary brain tumor, cancer metastasis, and headache-relevant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underwent MRI were four times more likely to have neuroimaging abnormalities than those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33.3% vs. 7.2%, p<0.001).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neuroimaging differed according to headache disorders, age, sex, and imaging modalities. MRI can be a preferable neuroimaging modality to identify potential causes of headache.

마이다스아이티의 뇌과학 기반 인적자원 관리 사례 연구 (Neuroscience 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at Midas IT Co._A case study)

  • 이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40-248
    • /
    • 2020
  • 지난 20여 년 간 뇌 과학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등 새로운 기술에 힘입어 크게 발전했으며, 우리는 인간의 본성과 행동 변화에 대해 더욱 정확한 지식을 얻게 됐다. 이 같은 지식은 경영 분야에도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마이다스아이티의 사례를 통해 뇌과학을 경영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통찰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건설 소프트웨어 회사인 이 회사는 별도 조직을 두어 뇌 과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과학에 기반한 인사 정책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창업자 이형우 사장은 인본주의 경영 철학을 갖고 있으며, 뇌 과학 연구는 그 철학을 뒷받침한다. 연구 방법으로 사례연구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인터뷰와 직접 관찰, 참여 관찰, 문서 정보 등의 절차를 수행했다. 이 회사의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은 뇌과학 연구가 응집된 'SCARF'라는 뇌과학 모델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 회사는 이 모델이 제시하는 것처럼 일터에서 지위감(Status), 확실성(Certainty), 자율감(Autonomy), 관계성(Relatedness), 공정성(Fariness) 위협을 줄임으로써 구성원의 신뢰와 만족도를 제고했고, 이는 창의적이고 고성과 조직이 되는 발판이 되었다.

알코올 중독자의 얼굴 표정 인식과 관련된 뇌 활성화 특성 (Brain Activation to Facial Expressions Among Alcoholics)

  • 박미숙;이배환;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 인식과 관련된 뇌 활성화 특성을 관찰하였다. 입원치료 중인 알코올 중독자 18명과 이들과 나이, 성별, 교육 수준 등이 유사한 비중독자 1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뇌 영상 촬영 동안에 얼굴 사진을 보고 얼굴 표정 정서의 강도를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행동 반응에서는 알코올 중독자와 비중독자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뇌 반응 결과, 알코올 집단에서는 비중독자 집단과 비교하여 얼굴 표정 정서 인식 동안에 정서 처리와 관련된 편도체/해마는 더 적게 활성화되었으며, 얼굴 정보 처리와 관련된 방추이랑, 시 공간 탐색과 관련된 이마엽 및 마루엽 영역은 더 크게 활성화되었다. 반면, 알코올 집단에서 혀이랑/방추이랑(BA 19), 시각적 탐색에 관여하는 가운데이마이랑(BA 8/9/46), 그리고 시공간적 정보 처리에 관여하는 위마루소엽(BA 7)이 더 크게 활성화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 인식과 관련된 뇌 활성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9.4T MRI FLASH Sequence에서 마우스의 뇌 조영증강 검사를 위한 적정 Echo phase (Optimal Echo phase of FLASH sequence for Brain Enhancement scan of mouse at 9.4T MRI system)

  • 정현근;김민기;남기창;정현도;안치권;김호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7호
    • /
    • pp.115-1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9.4T MRI의 FLASH 시퀀스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뇌 조영증강 검사 시 적정한 echo phase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정량화를 위하여 가도테리돌로 제작된 MR팬텀 실험을 진행하였다, 서로 다른 몰 농도의 가돌리늄으로 구성된 각 세 개의 팬텀을 제작하여 마우스 뇌 검사에 사용하고 있는 FLASH 시퀀스의 echo phase에 변화를 주어 시행한 후,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팬텀실험결과 SSI(Saline's Signal Intensity)는 $6{\pi}$부터 $28{\pi}$까지 33개 각각의 phase에서 25~27[a.u]를 보였고, RSP(Response Start Point)는 각각 30~100 mmol을 기록하였다. MPSI(Max Peak Signal Intensity)는 47~52 [a.u]를 보였고, MPP(Max Peak Point)는 0.8~9 mmol로 기록되었다. EPMS(Enhancement Percentage of MSI to SSI)는 80.8~108.0%로 기록되었고, ASIMP(Average of SI according to Mol concentration on each Phase)은 21.1~31.8 [a.u] 사이에서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ORA(Occurence Rate of Artifact)는 아티팩트 발생유무에 따라 +1과 -1로 표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9.4T MRI에서의 FLASH 시퀀스의 조영증강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었고, 마우스의 뇌 조영증강 검사 시 적정 echo phase를 산출 할 수 있었다.

신경베체트병의 자기공명영상소견 (MRI Findings of Neuro-Behcet's Disease)

  • 장한원;변우목;조길호;황미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306-315
    • /
    • 1998
  • 1994년 1월에서 1998년 8월까지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을 분석한 결과 주된 전신적인 증상은 구강궤양, 안질환, 음부궤양이었으며, 자기공명영상소견에서 병소부위는 중뇌, 내포, 뇌교, 시상, 대뇌기저핵, 중소뇌각, 연수, 그리고 피질하백질 순으로 호발되었다. 이들 병소는 T2강조영상에서 불균질의 고신호강도,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 강도로 보였으며, 국소적인 조영증강이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었다. 추적영상에서 병변의 호전 및 재발이 관찰되었으나 1년이상 추적검사에서 병변이 있던 부위에 뇌조직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신경베체트병의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앎으로서 신경베체트병의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Laplacian-Regularized Mean Apparent Propagator-MRI in Evaluating Corticospinal Tract Injury in Patients with Brain Glioma

  • Rifeng Jiang;Shaofan Jiang;Shiwei Song;Xiaoqiang Wei;Kaiji Deng;Zhongshuai Zhang;Yunjing Xu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5호
    • /
    • pp.759-769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laplacian-regularized mean apparent propagator (MAPL)-MRI to brain glioma-induced corticospinal tract (CST)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0 patients with glioma adjacent to the CST pathway who had undergone structural and diffusion MRI. The entire CSTs of the affected and healthy sides were reconstructed, and the peritumoral CSTs were manually segment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ST (track number, average length, volume, displacement of the affected CST) were examined and the diffusion parameter values, including fractional anisotropy (FA), mean diffusivity (MD), axial diffusivity (AD), radial diffusivity (RD), mean squared displacement (MSD), q-space inverse variance (QIV), return-to-origin probability (RTOP), return-to-axis probabilities (RTAP), and return-to-plane probabilities (RTPP) along the entire and peritumoral CSTs, were calculated. The entire and peritumoral CST characteristics of the affected and healthy sides as well as those relative CST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motor weakness and normal motor function were compared. Results: The track number, volume, MD, RD, MSD, QIV, RTAP, RTOP, and RTPP of the entire and peritumoral CSTs changed significantly for the affected side, whereas the AD and FA changed significantly only in the peritumoral CST (p < 0.05). In patients with motor weakness, the relative MSD of the entire CST, QIV of the entire and peritumoral CSTs, and the AD, MD, RD of the peritumoral CST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reas the RTPP of the entire and peritumoral CSTs and the RTOP of the peritumoral C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patients with normal motor function (p < 0.05 for all). In contras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CS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A, or RTAP (p > 0.05 for all). Conclusion: MAPL-MRI is an effective approach for evaluating microstructural changes after CST injury. Its sensitivity may improve when using the peritumoral CST features.

소음 감쇠기를 이용한 청각의 뇌기능 자기공명영상 (A Study of the Effect of Acoustic Noise Attenuator on Auditory Functional MRI)

  • 김상환;김인성;이재준;박지애;이영주;여종록;배성진;이상흔;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9권2호
    • /
    • pp.134-139
    • /
    • 2005
  • 목적 : 청각의 뇌기능 영상 검사 시 소음 감쇠기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소음 감쇠기는 실리콘 이어폰, 귀마개 그리고 마스크로 구성하였다. 마스크와 귀마개는 방음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는 부드러운 재질의 폴리우레탄 시트와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500 Hz의 순음 자극에 대한 청각의 뇌기능 자기공명영상 실험은 4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다음의 세가지 경우로 구별하여 시행하였다: 첫째, 마스크와 귀마개, 이어폰을 모두 착용한 경우, 둘째, 귀마개와 이어폰만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음 감쇠기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이다. 데이터 획득을 위하여 고성능 경사자계 시스템이 갖추어진 1.5 T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BOLD 자기공명 영상기법을 사용하였다. 영상 데이터는 SPM 99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활성화 지도를 획득하였다. 결과 : 소음감쇠기의 모든 구성요소를 사용한 경우 활성화는 주로 일차 청각중추에서만 집중되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귀마개와 이어폰만을 착용했을 때는 청각의 뇌 활성화 영역이 일차 청각중추와 이차 청각 영역에 분산되어 나타는 결과를 얻었으며 마지막으로 소음감쇠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청각영역이 오른쪽의 일부만이 활성화 되었다. 결론 : 마스크, 귀마개, 이어폰으로 구성된 소음 감쇠기는 청각의 뇌기능 영상 검사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뇌척수액 세포검사를 통해 발견된 원발성 아교모세포종증 -증례 보고- (Primary Leptomeningeal Glioblastomatosis Detected in Cerebrospinal Fluid Cytology -A Case Report-)

  • 장기석;장시형;송영수;박문향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0-114
    • /
    • 2005
  • Primary leptomeningeal glioblastomatosis is a rare and fatal tumo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 condition is characterized by diffuse infiltration of the tumor in the meninges without evidence of primary tumor within the brain or spinal cord. We reported an unusual case of leptomengial glioblastomatosis, which was detected by the consecutive cerebrospinal fluid (CSF) cytology with application of immunohistochemistry, in addition to its cytologic findings. A healthy 21 year old man, who was enlisted in the army, presented with a stuporous mental state and diffuse enhancement of meninges without evidence of primary mass lesion in the brain and spinal cor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CSF cytology showed small loose clusters of tumor cells with single cells and lymphocytes. The tumor showed variable pleomorphism with coarse chromatin, irregular nuclear membranes and multi lobated nuclei.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tumor cells were founded to be positive for GFAP. In conjunction with radiologic findings, brain biopsy confirmed the diagnosis of leptomenigeal glioblastomatosis. The use of immunohistochemistry is helpful in confirming CSF cytologic diagnosis in patients with primary leptomeningeal glioblastomatosis.

Stroke Disease Identification System by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 K.Veena Kumari ;K. Siva Kumar ;M.Sreelath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1호
    • /
    • pp.183-189
    • /
    • 2023
  • A stroke is a medical disease where a blood vessel in the brain ruptures, causes damage to the brain. If the flow of blood and different nutrients to the brain is intermittent, symptoms may occur. Stroke is other reason for loss of life and widespread disorder. The prevalence of stroke is high in growing countries, with ischemic stroke being the high usual category. Many of the forewarning signs of stroke can b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a stroke can be reduced. Most of the earlier stroke detections and prediction models uses image examination tools like CT (Computed Tomography) scan or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which are costly and difficult to use for actual-time recognition. Machine learning (ML) is a par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at makes software applications to gain the exact accuracy to predict the end results not having to be directly involved to get the work done. In recent times ML algorithms have gained lot of attention due to their accurate results in medical fields. Hence in this work, Stroke disease identification system by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presented. The ML algorithm used in this work i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he result analysis of presented ML algorithm is compared with different ML algorithms.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ed approach is compared to find the better algorithm for stroke identification.

노령견에서 병발한 육아종성 뇌수막염 증례 보고: 자기 공명 영상 및 면역조직병리학 소견 (Granulomatous Meningoencephalitis in an Old Dog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immunohistopathologic findings)

  • 정동인;유종현;강병택;박철;구수현;김주원;전효원;이소영;우응제;서정향;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06-409
    • /
    • 2007
  • 12년령의 암컷 치와와 믹스견이 급성 시력 상실과 진행성 사지마비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두부 자기공명 영상 촬영 결과 뇌에서 다발성 병변이 확인되었고 뇌척수액 검사 결과에서는 단핵구 증가 소견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육아종성 뇌수막염이 강력하게 의심되었다. 뇌의 병변은 조직 병리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육아종성 뇌수막염으로 진단되었고 면역 조직 염색 상에서 T-cell 항원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본 증례 보고는 노령견에서 육아종성 뇌수막염의 임상적인 증상, 진단 영상의 특징, 그리고 면역조직병리학적인 소견 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증례 보고는 뇌혈관 주위의 T 림프구 침착에 기인한 육아종성 뇌수막염의 임상 증상들에 관해 서술하고 있으며 T세포 매개 염증의 원인 규명에 관한 고찰이 더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