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ski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초

형질전환 체세포로부터 소 복제수정란의 효율적인 생산 (Efficient Production of Cloned Bovine Embryos from Transformed Somatic Cells)

  • Wee G.;B. H Sohn;Park, J. S.;D. B. Koo;Lee, K. K.;Y. M. Han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4
    • /
    • 2003
  • 인체 트롬보포이에틴(hTPO)은 megakaryopoiesis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트롬보포이에틴을 유선조직에서 직접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하여 소 베타 카제인 프로모터, 인체 트롬보포이에틴 cDNA 및 네오유전자로 구성된 발현벡터를 구축하였다. 소 귀조직 세포로부터 유도된 섬유아세포에 lipoffctamine을 이용하여 발현벡터(pBT-L n대)의 삽입을 유도하였다. G4l8 저항성을 지닌 세포의 콜로니 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2주 이상 배양을 실시하였다. 형질전환 콜로니는 PCR에 의해 동정하였으며, 이들 콜로니를 핵치환 전까지 계속적으로 증식을 유도하였다. 형질전환 세포에 의해 재구성된 난자는 전기적인 융합과 calcium ionophore와 6-DMAP를 이용한 활성화를 실시하였으며, 체외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총 35개의 콜로니를 PCR에 의해 분석한 결과, 이 중 29(82.9%)개가 형질전환된 콜로니였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의 난할율 및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65.1%와 23.8%로 나타났다. 형질전환된 세포로 재구성된 난자로부터 발달한 29개의 배반포 중 27개가 형질전환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형질전환 소 수정란을 형질전환된 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있다.

Donor 세포의 종류 및 세포처리에 따른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체외발육 (Development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Embryos Following Donor Cell Type and Cell Treatment in Cattle)

  • 손준규;박정준;박춘근;양부근;김정익;정희태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1-6
    • /
    • 2004
  • 본 연구는 체세포의 종류, 세포 제공 개체, 계대배양 수 및 세포의 trypsin 처리시간이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세 종류의 체세포(피부, 근육 및 난구세포) 와 암소 3 개체를 실험에 공시하였으며, 한 개체 유래의 피부세포는 5∼30회 계대배양하였고, 핵이식 전에 1∼3분간 trypsin처리하여 핵이식에 사용하였다. 핵이식과정은 상법에 따라 전기융합법을 이용하였다. 핵이식란의 배반포 발육율은 세포의 종류(16.5∼23.9%)나 개체 간(16.4∼19.5%)에 차이가 없으나, 30회 계대 배양한 세포를 사용한 경우(5.8%)에는 5회(25.3%) 또는 15회(23.5%) 계대 배양한 세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1분간 trypsinization 한 세포를 사용한 경우(30.7%)는 3분간 trypsinization 한 경우에 비해 배반포 발육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발육이 체세포의 종류 및 세포 제공 개체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passage 수 및 체세포의 trypsinization 시간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물리적 탈핵 방법이 소 복제수정란의 발달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chanical Enucleation Methods on Development of Bovine Nuclear Transfer Embryos)

  • 김세웅;이민정;황인선;배성훈;양병철;임기순;성환후;양보석;정희태;김동훈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207-212
    • /
    • 2006
  • 본 연구는 물리적 탈핵 방법인 aspiration 방법과 squeezing 방법을 사용해 핵이식된 소 체세포 복제란의 발달능을 조사하였다. 두 방법에 의해 탈핵된 수핵란에 한우 귀피부 세포를 융합하여 체외에서 $7{\sim}8$일간 배양하여 발육능을 검사하였다. 배양 7일째 배반포 발달율은 aspiration 방법($31.9{\pm}13.4%$)과 squeezing 방법($33.6{\pm}15.7%$)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배양 8일째 배반포 발달율도 squeezing 방법($35.3{\pm}15.1%$)과 aspiration 방법($37.8{\pm}10.4%$)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7일째 배반포의 평균 세포수에 있어 각 처리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aspiration: $110.3{\pm}39.2$, squeezing $103.7{\pm}42.8$), 세포자연사의 비율에 있어서도 역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spiration: $2.8{\pm}2.6%$, squeezing: $4.3{\pm}4.4%$).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적 탈핵 방법인 aspiration 방법과 squeezing 방법 모두 소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생산을 위한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국내 우군에서 소 결핵 진단을 위한 피내검사법과 Interferon-γ 생성 검사의 비교 (Comparison of tuberculin skin test with Interferon-γ assay for the diagnosis of bovine tuberculosis in Korean cattle)

  • 신승원;신민경;차승빈;우종태;이성모;구복경;조윤상;정석찬;유한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7-122
    • /
    • 2011
  • Bovine tuberculosis (bTB), caused primarily by Mycobacterium bovis, continues to exert an economic loss, even in countries with active control measures, and is one of zoonotic diseases enable to be transmitted to human. The control and eradication of bTB are mainly based on a test and slaughter policy and/or abattoir surveillance. Various factors including limitation of diagnostic tests have been considered as major constraints to eradication. Single intradermal test (SIT) is the official diagnostic test. New diagnostic methods are needed to be developed, because of limitations of the test. In the present study SIT was compared with single intradermal comparative cervical test (SICCT) and interferon (IFN)-${\gamma}$ assay. There was very low correlation between SIT and SICCT. However, high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IT and IFN-${\gamma}$ assay while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ICCT and IFN-${\gamma}$ assay.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of SIT with IFN-${\gamma}$ assay for the diagnosis of bovine tuberculosis.

감태 효소 추출물 및 폴리페놀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Biological Potential of Enzymatic and Polyphenol Extracts from Ecklonia cava)

  • 이수민;김진은;오명진;이주동;전유진;김보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9-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감태 효소 추출물과 그것의 폴리페놀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항당화, 미백, 항염 효과와 관련된 실험을 실시하였다. 감태 효소 추출물과 폴리페놀 추출물은 강력한 라디컬 소거능을 가지고 있으며 BSA/Glucose 시스템에서 최종당화생성물의 형성을 저해하는 항당화 활성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를 통한 우수한 미백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추출물 모두 세포 내에서 $PGE_2$와 NO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감태 효소 추출물과 그 폴리페놀 추출물은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adish(Raphanus sativus L. var. sativus) 추출물의 피부노화 저해효과

  • 김지은;황현익;이인순;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3-866
    • /
    • 2001
  • Radish추출물을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나누어 추출하여 DPPH 저해율, SOD 활성율, Catalase 활성, collagen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DPPH 저해율과 Catalase 활성은 수용성 추출물(81.0%, 175units/mg)에서 높게 나타났고, SOD 활성율에서는 지용성 추출물(92.3%)이 높게 나타났다. 콜라겐$(21.45{\mu}g)$내의 pyridinoline의 함량은 control에 비해 수용성과 지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반응액에서 적었으며, 두 추출물을 비교해 봤을 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PDF

mCR1aa Medium를 이용한 소 복제수정란 배양 및 융합방법에 따른 발육율 비교

  • 김현주;양병철;임기순;오성종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3-63
    • /
    • 2001
  • 본 실험은 소에서 체외수정란과 복제수정란을 modified CRlaa (mCRlaa) medium에서 각각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단계까지 발육율을 비교하였다. 체외성숙은 TCM-199 medium에 10 %의 Fetal Bovine Serum (FBS)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실시하였고 이를 이용해 체외수정과 복제를 시행하였다. 체외성숙란과 복제수정란의 배반포까지 발육율은 각각 22.5 %, 19.4 %이었다. 복제수정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제핵을 실시한 난자내로 공여핵를 도입하는 과정이 필요한 데 할구보다 체세포를 이용하는 경우 융합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여핵을 제공하는 체세포와 수핵란간에 융합을 기존에 많이 사용한 chamber와 비교해 Needle을 사용했을 때 복제수정란의 발육율간의 차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Ear skin cell을 이용해 핵이식을 실시한 다음 Zimmerman cell fusion medium에서 융합하였다 융합된 핵이식란은 5 % $CO_2$, 5 % $O_2$, 90 % Na, 38.5$^{\circ}C$ 조건에서 배반포까지 배양하였다. Chamber와 Needle을 사용한 경우 융합율은 각각 46.1 %, 70.4 %, 분할율은 62.6 %, 76.4 %로 Needle의 경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 PDF

능소화의 꽃받침으로부터 Protein Kinase C 저해물질인 Verbascoside의 분리 및 그 생물활성 (Isol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Verbascoside, A Potent Inhibitor of Protein Kinase C from the Calyx of Campsis grandiflora)

  • 이현선;박문수;오원근;안순철;김보연;김환묵;오구택;민태익;안종석
    • 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98-604
    • /
    • 1993
  • The calyx extract of Campsis grandiflora display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rotein kinase C from the bovine brain. Separation guided by protein kinase C enzyme assay and bleb forming assay led to isolation of a potent protein kinase C inhibitor that was identified as a known phenylpropanoid glycoside, verbascoside. It suppressed completely bleb-formation of K562 cell surface induced by phorbol 12,13-dibutylate at the concentration of 60 $\mu\textrm{g}$/ml and IC$_{50}$ of the protein kinase C occured at 20 $\mu{M}$. This compound was tested for cytotoxic activity against ten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it exhibited moderate cytotoxic activity against skin tumor cell line M14 (IC$_{50}$ 2.2 $\mu\textrm{g}$/ml) and very weak cytotoxicity against other cell lines (IC$_{50}$>10 $\mu\textrm{g}$/ml)

  • PDF

Isol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from the skin and their neurogenic differentiation in vitro

  • Byun, Jun-Ho;Kang, Eun-Ju;Park, Seong-Cheol;Kang, Dong-Ho;Choi, Mun-Jeong;Rho, Gyu-Jin;Park, B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6호
    • /
    • pp.343-353
    • /
    • 2012
  • Objectives: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effectively isolate mesenchymal stem cells (hSMSCs) from human submandibular skin tissues (termed hSMSCs) and evaluate their characteristics. These hSMSCs were then chemically induced to the neuronal lineage and analyzed for their neurogenic characteristics in vitro. Materials and Methods: Submandibular skin tissues were harvested from four adult patients and cultured in stem cell media. Isolated hSMSCs were evaluated for their multipotency and other stem cell characteristics. These cells were differentiated into neuronal cells with a chemical induction protocol. During the neuronal induction of hSMSCs, morphological changes and the expression of neuron-specific proteins (by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 were evaluated. Results: The hSMSCs showed plate-adherence, fibroblast-like growth, expression of the stem-cell transcription factors Oct 4 and Nanog, and positive staining for mesenchymal stem cell (MSC) marker proteins (CD29, CD44, CD90, CD105, and vimentin) and a neural precursor marker (nestin). Moreover, the hSMSCs in this study were successfully differentiated into multiple mesenchymal lineages, including osteocytes, adipocytes, and chondrocytes. Neuron-like cell morphology and various neural markers were highly visible six hours after the neuronal induction of hSMSCs, but their neuron-like characteristics disappeared over time (24-48 hrs). Interestingly, when the chemical induction medium was changed to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 (FBS), the differentiated cells returned to their hSMSC morphology, and their cell number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emically induced neuron-like cells should not be considered true nerve cells. Conclusion: Isolated hSMSCs have MSC characteristics and express a neural precursor marker, suggesting that human skin is a source of stem cells. However, the in vitro chemical neuronal induction of hSMSC does not produce long-lasting nerve cells and more studies are required before their use in nerve-tissue transplants.

작약 및 포제작약의 최종당화산물 억제를 통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Paeoniae radix and processed Paeoniae radix Through inhibi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 김수지;이아름;김수현;김경조;권오준;최준영;구진숙;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60
    • /
    • 2017
  • Objectives : Collagen decrease of Skin appears through various path ways. One of causes may be the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that combine formation of glucose and prote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vent wrinkle formation of Paeoniae radix (PR) and heated Paeoniae radix (HPR) via AGEs path way. Methods : AGEs form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PR and HPR measured using bovine serum albumin, glucose, and fructose.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R and HPR in diabetic rats induced with streptozotocin (STZ) and methyl glyoxal (MGO), SD rat were distributed into four groups. Normal rats (Nor), AGEs-induced rats (Con), AGEs-induced rats treated with 100 mg/kg PR(PR), AGEs-induced rats treated with 100 mg/kg HPR (HPR). To induce AGEs, streptozotocin (50 mg/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nd after 3 days administrated 100mM methyl glyoxal for 3 weeks. Results : The oral administration of HPR inhibited AGEs in skin tissues compared with PR. The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in the serum were diminished by HPR treatment. The analyses of kidney and skin tissues proteins indicated that HPR treatment effectively reduced AGEs related protein levels as compared to that by PR treatment. Also, HPR decreased anti-oxidant related protein levels in skin tissues such as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Moreover, it inhibited the reduction of COL1A2 by decreasing MMP-1.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PR and HPR could have Improving effects on wrinkle formation. These evidenc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wrinkle formation treated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