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serum albumin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38초

ELISA Inhibition Assay에 의한 Vinblastine의 측정 (Vinblastine Determination Measured by a Sensitive ELISA Inhibition Assay)

  • Jae Wha kim;Mi Young Han;Hee Gu Lee;Eun Young Song;Tai Wha Chung;Kyung Soo Nam;In Seong Cho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1-126
    • /
    • 1996
  • Vinblastine을 포함하는 bis-indole alkaloids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여 Vinca alkaloids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immunoassay체계를 확립하였다. Vinca alkaloids는 periwinkle식물체의 배양된 세포로부터 추출하여 BSA와 접합한 후 Balb/c생쥐에 면역시켜 얻은 비장세포와 골수종양세포의 융합을 유도하여 VBL-BSA에 반응하는 클론을 ELISA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들 클론 중 bis-in-dole alkaloids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는 inhibition assay를 통하여 분리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두개의 단일클론 항체를 형성하는 세포주(KN-1과 KN-2)를 확립하였다. KN-1의 경우 dimeric bis-indole alkaloids 와는 상당한 교차반응을 나타낸 반면 monomeric bis-indole alkaloids 와는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클론의 항체를 이용하여 배양된 세포 추출물에 포함된 Vinca alkaloids의 양을 측정한 결과 0.05 nM정도의 dimeric Vinca alkoloids까지도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역류분배에 의한 모델단백질의 분리정제시 염화칼륨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otassium Chloride on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Model Proteins using Counter Current Distribution)

  • 이창호;이부용;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7-182
    • /
    • 1990
  • 역류분배방법을 이용한 단백질의 분리정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4가지 모델단백질에 대하여 수용성액체 2상계에서의 분획계수를 KCl 농도와 pH변화에 따라 조사하였다. 또한, 역류분배방법을 이용한 다중분배 추출방식으로 모델단백질의 혼합물을 KCl 농도(0, 50, 250, 500mM)와 pH(4.5, 5.5, 6.5, 9.0, 12.0)를 달리한 20가지 조건에서 분획하였다. 그 결과 KCl 농도와 pH에 따라 단백질들의 분획계수(K)값이 다르게 나타나서, KCl을 첨가함으로서 역류분배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단백질에 따라 분리가 잘 일어나는 KCl 농도와 pH는 다르게 나타나서 myoglobin의 경우 KCl 50mM, pH5.5조건의 14번 튜브 상층부와 KCl 250mM, pH6.5조건의 13번 튜브의 상층부에서 잘 분리가 되었으며, BSA의 경우는 KCl 250mM, pH4.5 조건의 14번 튜브에서 분리되었고, lysozyme의 경우는 KCl 50MM, pH4.5조건의 19번 튜브와 KCl 50mM, pH5.5의 16번 튜브 상층부에서 분리가 되었다.

  • PDF

양송이버섯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항돌연변이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garicus bisporus Ethanol Extracts)

  • 윤미자;오세인;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24
    • /
    • 2009
  • 식용 및 약용으로 예로부터 널리 이용하는 양송이버섯 추출물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활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양송이 버섯(Agaricus bisporus)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Ames test를 통한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탐색하였다.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알아본 결과, 양송이 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MDA와 BSA의 교차결합 형성을 100mg/assay이었을 때 72.21% 저해하였다. $Fe^{2+}$에 의해 유도된 지질의 과산화에 대한 저해율은 2.0 mg/assay일 때 24.96% 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 mg/assay일 때 52.75%의 저해율을 보였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율은 증가하였다. $IC_{50}$ 값으로 항산화능의 상대적 비교를 하였을 때 양송이버섯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가장 강하였으며, 그 다음은 지질과산화 억제능이었고 MDA와 BSA의 교차결합 억제능이 가장 낮았다.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알아본 결과, 양송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 균주에서 직접작용 돌연변이능을 각각 100% 저해하여 매우 효과적이었다. 간접작용 돌연변이능 저해효과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에서 86.09%,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는 81.93%로 나타나 양송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직접, 간접작용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가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양송이버섯은 항산화성과 항돌연변이성이 우수하므로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국내산 무화과에서 추출한 protease 조효소액의 안정성과 최적화에 관한 연구 (Stabilizing and Optimizing Properties of Crude Protease Extracted from Korean Figs)

  • 김미현;노정해;김미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37
    • /
    • 2011
  • 국내산 무화과(Ficus carica L.) 중의 조효소를 추출하고 단백분해 조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무화과를 균질화하여 원심분리한 조효소액은 41.15 mM/g fig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침전 후 조효소액은 17.65 mM/g fig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무화과 조효소액의 기질 특이성은 casein > egg white > BSA > myofibrilar protein > collagen > elastin 등의 순이었다. 무화과 단백질 분해 조효소의 안정성을 보면 pH 6.5~9.0에서 안정하며 pH 2~3의 강산에서는 실활하였다. 또한 $60^{\circ}C$까지는 역가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히 활성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염에 대해서는 0.7 M 정도의 소금 농도에서까지는 비교적 안정하나 그 이후로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효소활성에 대한 pH의 영향을 보면 pH 7~8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 분해능이 pH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화과 단백질 분해 조효소의 활성은 $40^{\circ}C$ 이후부터 조효소의 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60^{\circ}C$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 점차적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80^{\circ}C$에서도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 분해활성은 최고치에 비해 50%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무화과 조효소가 비교적 온도에 민감하지 않았다. 또한 염 농도는 최적 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무화과를 사용한 sauce 등을 제조할 때에 이러한 특성들을 이해한다면 우리나라 육류 요리용의 우수한 연육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Comparative Studies of Protein Modification Mediated by Fenton-like Reactions of Iron, Hematin, and Hemoglobin: Generation of Different Reactive Oxidizing Species

  • Kim, Young-Myeong;Kim, Sung-Soo;Kang, Gu;Yoo, Yeong-Min;Kim, Ki-Mo;Lee, Mi-Eun;Han, Jeong-A;Hong, Sun-Joo
    • BMB Reports
    • /
    • 제31권2호
    • /
    • pp.161-169
    • /
    • 1998
  • TThe reactive oxygen species oxidatively modify the biological macromolecules, including proteins, lipids, and nucleic acids. Iron- and heme-mediated Fenton-like reactions produce different pro-oxidants. However, these reactive products have not been clearly characterized. We examined the nature of the oxidizing species from the different iron sources by measuring oxidative protein modification and spectroscopic study. Hemoglobin (Hb) and methemoglobin (metHb) were oxidatively modified in $O{\array-\\\dot{2}}$ and $H_{2}O_{2}$ generating systems. Globin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were also modified by iron, iron-EDTA, hematin, and Hb in an $O{\array-\\\dot{2}}$ generating system. In a $H_{2}O_{2}$ generating system, the iron- and iron-EDTA-mediated protein modifications were markedly reduced while the Hb-and hematin-mediated modifications were slightly increased. In the $O{\array-\\\dot{2}}$ generating system, the iron- and iron-EDTA-mediated protein modifications were strongly inhibited by superoxide dismutase (SOD) or catalase, but heme- and Hb-mediated protein modifications were inhibited only by catalase and slightly increased by SOD. Mannitol, 5,5-dimethyl-l-pyrroline-N-oxide (DMPO), deoxyribose, and thiourea inhibited the iron-EDTA-mediated protein modification. Mannitol and DMPO, however, did not exhibit significant inhibition in the hematin-mediated modification. Desferrioxamine (DFO) inhibited protein modification mediated by iron, but cyanide and azide did not, while the hematin-mediated protein modification was inhibited by cyanide and azide, but not significantly by DFO. The protein-modified products by iron and heme were different. ESR and UV-visible spectroscopy detected the DMPO spin adduct of the hydroxyl radical and ferryl ion generated from iron-EDTA and metHb, respectively. These results led us to conclude that the main oxidizing species are hydroxyl radical in the iron-EDTA type and the ferry I ion in the hematin type, the latter being more effective for protein modification.

  • PDF

유화법과 분무법에 의해 제조된 경구백신용 알긴산 마이크로스피어의 평가 (Evaluation of Alginate Microspheres Prepared by Emulsion and Spray Method for Oral Vaccine Delivery System)

  • 장혁;지웅길;맹필재;황성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4호
    • /
    • pp.241-256
    • /
    • 2001
  • Alginate microspheres, containing fluorescein isothiocyanate-bovine serum albumin (FITC-BSA) or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were prepared and used as a model drug to develop the oral vaccine delivery system. The alginate microspheres were coated with poly-L-lysine or chitosan. Two methods, w/o-emulsion and spray, were used to prepare alginate microspheres. To optimize preparation conditions,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the particle size and particle morphology of microsphere, and loading efficiency of model antigen were investigated. In both preparation methods, the particle size and the loading efficiency were enhanced when the concentration of sodium alginate increased. In the w/o-emulsion preparation method, as the concentration of Span 80 was increased from 0.5% to 2%, the particle size was decreased, but the loading efficiency was increased. The higher the emulsification speed was,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and loading efficiency were.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chloride did not show any effect on the particle size and loading efficiency. In the spray preparation method, the particle size was increased as the nozzle pressure $(from\;1\;kgf/m^2\;to\;3\;kgf/m^2)$ and spray rate was raised. Increasing calcium chloride concentration (<7%) decreased the particle size, in contrast to no effect of calcium chloride concentration on the w/o-emulsion preparation method. Alginate microspheres prepared by two methods were different in the particle size and loading efficiency, the particle size of microspheres prepared by the spray method was about $2-6\;{\mu}m$, larger than that prepared by the w/o emulsion method $(about\;2{\mu}m)$, and the loading efficiency was also higher with spray method. Furthermore, drying process for the microspheres prepared by the spray was simpler and easier, compared with the w/o emulsion preparation. Therefore, the spray method was chosen to prepare alginate microspheres for further experiments. Release pattern of FITC-BSA in alginate microspheres was evaluated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and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Dissolution rate of FITC-BSA from alginate/chitosan microsphere was lower than that from alginate microsphere and alginate/poly-L-lysine microsphere.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it was revealed that alginate/FITC-poly-L-lysine microspheres were present in close apposition epithelium of the Peyer's patches of rabbits following inoculation into lumen of intestine, which proved that microspheres could be taken up by Peyer's patch.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lginate microsphere prepared by spray method, showing a particle size of & $10\;{\mu}m$ and a high loading efficiency, can be used as a model drug for the development of oral vaccine delivery system.

  • PDF

유지방구로부터 분리한 Lipase의 활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s of pH on the Activity of Lipase Isolated from Milk Fat Globules)

  • 김거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6
    • /
    • 2000
  • 유지방구로부터 분리 정제한 lipase의 활성과 안정성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야자유와 균질유를 기질로 하여 조사하였다. 효소원으로 buttermilk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반응온도 $37^{\circ}C$에서 야자유, 균질유 모두 pH 9.5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형적인 종형의 pH의 존곡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반응온도 $0^{\circ}C$에서는 pH 10.0까지 활성이 증가하였다. 정제 lipase를 사용한 경우는 반응응도 $37^{\circ}C$에서 균질유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종 모양의 곡선을 나타내었으며, 최대 활성은 pH 9.0에서 나타났다. 반응온도 $0^{\circ}C$에서는 pH 10.0까지 활성이 계속 증가하였다. BSA를 첨가한 야자유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는 반응온도 $37^{\circ}C$, $0^{\circ}C$ 모두 최대 활성이 pH 9.5에 나타났으며, pH 10.0에서는 활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정제 lipase의 안정성에 미치는 pH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pH 10.0에서 $37^{\circ}C$로 20분간 효소를 유지하였을 경우 lipase의 활성은 pH 8.5 때의 활성에 비하여 13%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4^{\circ}C$에서 60분간 효소를 유지하였을 경우는 lipase 활성이 pH 7.5∼10.0의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 PDF

${\beta}-Lactoglobulin$과 BSA의 첨가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ddition of ${\beta}-lactoglobulin$ and BSA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 박용수;김명신;박흠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1-27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beta}-lactoglobulin$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in vitro maturation (IVM) and in vitro culture (IVC) medium on porcine embryo production.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 cell ($71.4{\sim}75.6%$) and blastocyst stages ($6.8{\sim}13.3%$) with different BSA concentrations in IVM medium were similar among treatment groups. Blastocyst hatching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0.0mg/ml) than in the group of 1.0mg/ml supplement (20.0% vs. 0.0%; p<0.05).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 cell ($62.0{\sim}70.6%$) and blastocyst stages ($15.4{\sim}38.5%$) with different ${\beta}-lactoglobulin$ concentrations in IVM medium was similar among treatment groups. The development rate to the blastocy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1.0mg/ml(15.3%) than in the group of 0.5mg/ml supplement (7.6%, p<0.05).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 cell and blastocyst stages following the first addition of ${\beta}-lactoglobulin$ in IVM medi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77.0% and 18.9%) and was $0{\sim}44\;hr$(77.2% and 16.9%) greater than that observed in other treatment groups (p<0.05).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 cell stage ($68.1{\sim}74.8%$) and blastocyst stages ($9.2{\sim}12.7%$) with different BSA concentrations in IVC medium was similar among treatment groups. However, blastocyst hatching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3.0mg/ml supplement (30.0%) than in the control group (0.0%; p<0.05).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 cell stage ($72.9{\sim}78.0%$), blastocyst ($7.1{\sim}14.2%$) and hatching stages ($33.3{\sim}38.1%$) were not different. The development rate to the 2 cell stage ($63.6{\sim}72.5%$), blastocyst ($8.4{\sim}16.1%$) and hatching stages ($18.2{\sim}37.5%$) at the different culture periods were similar among treatment groups. This study suggested that if the addition level and periods of ${\beta}-lactoglobulin$ addition are adjusted, it is possible to replace BSA in the in vitro porcine embryo production.

희석에 의한 우유 중 $Aflatoxin\;M_1$의 효소면역측정법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Aflatoxin\;M_1$ in Cow's Milk without a Cleanup Procedure)

  • 손동화;임선희;이인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84-1187
    • /
    • 1996
  • 우유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발암성 진균독소의 하나인 $aflatoxin{\;}M_1{\;}(AFM_1)$을 신속,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소혈청알부민에 공유결합한 $AFM_1\;(AFM_1-BSA)$을 토끼에 면역하여 항체를 생산하고 정제하였다. 이 항체의 유사독소와의 교차반응율은 29.9%이하의 비교적 낮은 교차율을 나타냈다. $AFM_1$의 검출을 위하여 확립한 직접경합ELISA (cdELISA)로 우유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AFM_1$을 정제과정없이 ELISA로 분석하는 경우, 우유를 PBS로 40%되게(2:3) 희석하였을 때 양호한 회수율을 보였다. 이 조건하에서 행한 ELISA의 $AFM_1$분석 회수율은 0.3-3.0 ng/ml의 오염농도 범위에서 농도별 회수율로 평균 113%, 그 분산은 8.2%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ELISA system은 우유 중의 0.5 ppb이상의 $AFM_1$을 정제과정없이 손쉽게 분석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5종의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or 5 Kinds of Spice)

  • 김진;김성애;윤원경;김은정;우미경;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26-1431
    • /
    • 2004
  • 동, 서양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후추, 겨자, 고추냉이, 계피, 정향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억제, MDA에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측정하여 각 향신료의 항산화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해보고, 각 향신료들 간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향(92.9%)과 계피(89.9%)가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각 향신료의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과산화억제 활성은 정향만이 55.8%로 강한 linoleic acid의 과산화화 억제 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고추냉이, 겨자, 정향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 저해율이 상승하였으나, 후추와 계피는 1000 ${\mu}g$/assay의 고농도에서는 저해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고의 효과를 보인 농도는 300 ${\mu}g$/assay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MDA에 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검색한 결과, 겨자와 고추냉이가 각각 73.2%와 72.2%로 MDA-BSA의 교차결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였고, 후추도 61.6%의 저해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측정법에 따라 항산화 효과에 차이가 있었으나 이들 향신료를 상용함으로서 생체산화와 관련된 질병 및 노화의 예방과 억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