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serum albumin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45초

Characterizing Milk Production Related Genes in Holstein Using RNA-seq

  • Seo, Minseok;Lee, Hyun-Jeong;Kim, Kwondo;Caetano-Anolles, Kelsey;Jeong, Jin Young;Park, Sungkwon;Oh, Young Kyun;Cho, Seoae;Kim, Heeba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343-351
    • /
    • 2016
  • Although the chemical, phys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bovine milk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only a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characterize milk-synthesizing genes using RNA-seq data. RNA-seq data was collected from 21 Holstein samples, along with group information about milk production ability; milk yield; and protein, fat, and solid contents. Meta-analysis was employed in order to generally characterize genes related to milk production. In addition,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lk related traits, parity, and lactation period. We observed that milk fat is highly correlated with lactation perio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is effe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odel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milk production related genes. By employing our developed model, 271 genes were significantly (false discovery rate [FDR] adjusted p-value<0.1) detected as milk production relat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these genes, five (albumin, nitric oxide synthase 3, RNA-binding region (RNP1, RRM) containing 3, secreted and transmembrane 1, and serine palmitoyltransferase, small subunit B) were technically validat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in order to check the accuracy of RNA-seq analysis. Finally, 83 gene ontolog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several blood vessel and mammary gland development related terms, were significantly detected using DAVID gene-set enrichment analysis. From these results, we observed that detected milk production related genes are highly enriched in the circulation system process and mammary gland related biological functions.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detected genes including caveolin 1, mammary serum amyloid A3.2, lingual antimicrobial peptide, cathelicidin 4 (CATHL4), cathelicidin 6 (CATHL6)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pecies as milk production related gene. For this reason, we concluded that our detected 271 genes would be strong candidates for determining milk production.

실험적 중성지질 축적 HepG2세포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 of Hawangyeonhaedoktang on Experimental Triglyceride Accumulated HepG2 Cells)

  • 차재영;김대진;김석환;김영길;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86-590
    • /
    • 2003
  • 사람 간 배양세포 유래 HePG2 세포에 영양성분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중성지질을 축적시킨 상태에서 한방 황련해독탕(HT)의 약리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간세포는 1 mM oleate, 0.2% BSA, glucose 4.5 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시간 및 24시간 배양하였으며(실험 I), 이때 황련해독탕을 첨가한 배양액에는 [$^{14}$ C]-oleate (0.5 $\mu$Ci/mL medium)를 동시에 첨가하여 중성지질 획분에의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하였다. 또한, 간세포에 2 mM oleate, 0.5% BSA, glucose 4.2mg/mL 및 HT 무첨가(대조구) 또는 첨가한(0.5 mg/mL 및 5.0 mg/mL) DME배지에서 6, 24및 48시간 배양(실험 II) 또는 1 및 3시간 배양(실험 III)하였다. 실험 I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농도는 HT첨가 6 및 24시간 배양에서 약물농도첨가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때 HT첨가시 [$^{14}$ C]-oleate 동위원소는 세포내 중성지질 획분의 추적량과 세포외 분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I조건에 비해 고농도의 영양성분을 첨가시킨 실험 II 및 III 조건에서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확인되었으며, 이 때 HT 첨가 24 및 48시간 배양에서는 세포내 중성지질 축적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험에 사용된 한방 황련해독탕은 사람 간배 양 HePG2 세포내 중성 지질 합성을 저하시켜 중성지질 축적을 억제시킴으로써 지방간 개선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상 접촉법을 이용한 BSA의 AOT 역미셀으로 가용화: pH와 염의 영향 (Solubilization of BSA into AOT Reverse Micelles Using the Phase-Transfer Method: Effects of pH and Salts)

  • 노선균;강춘형
    • KSBB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48-53
    • /
    • 2001
  • 상 접촉법을 이용하여 BSA를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AOT와 isooctane으로 구성된 역미셀상으로 가용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H와 염의 종류 및 농도가 가용화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0.1 M의 KCl, NaCl, $MgCl_2$, 그리고 $CaCl_2$와 같이 1:1 염 혹은 1:2 염을 수용액에 첨가하면 첨가한 염의 종류에 따라 pH=5~7사이에서 최대의 가용화 효율을 보였다. $CaCl_2$와 NaCl의 경우, 1 M 까지는 첨가한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율도 증가하였으나 $MgCl_2$의 경우에는 특이한 경향을 보였다. 염의 농도가 낮거나 pH가 낮은 경우에는 단백질이 광범위하게 수용액상과 유기상의 계면에서 침전되는 것은 주목할 부분이다. 역미셀의 water-pool 크기는 물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몰비인 $W_0$를 측정하여 추산하였다. $MgCl_2$의 경우에는 pH변화에 관계없이 $W_0$=20의 거의 일정한 값을 보인 반면 $CaCl_2$와 KCl의 경우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W_0$는 감소하였다.

  • PDF

포유류배양세포 동결보존에 있어 Lactamide의 효과 (Effects of Acetamide and Lactamide on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Mammalian Cells)

  • 김현;조영무;고응규;성환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52-1257
    • /
    • 2014
  • DMSO는 배양포유류세포 동결보존의 동결보호제로써 일반적으로 사용 되어져 왔지만, DNA 메틸화 및 히스톤의 수식에 의해 일부 세포에서는 분화를 일으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동결보존시의 배양세포의 안정된 분화형질유지에는 메틸화를 일으키는 DMSO 이외의 동결보호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세포독성이 낮고, 동물정자동결보존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아미도 화합물이 동일하게 포유류의 배양세포의 동결보존에서 동결보호작용이 있는지를(8종류의 아미드 화합물) 배양 마우스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해 조사했다. 조사한 아미드 화합물 중에 아세트아미드와 락트아미드의 2종류가 배양세포에 대해서 동결보호작용이 있고, 가장 효과적인 것은 농도가 1.5 M의 락트아미드이다. 배양세포의 동결보존에 관해서는 삼투압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1.5 M 락트아미드 용액을 제작 시, 용매를 각 희석율의 PBS로 하고, 삼투압을 바꾼 동결 보존액에 동결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0.4배 농도의 PBS가 삼투압 스트레스를 가장 낮고 생존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했다. 동결보존배지에 고 분자량재료를 첨가하면 세포생존율이 개선되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BSA, HES, 데키스트란의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락트아미드를 이용한 동결보존배지는 $0.4{\times}PBS$를 이용한 1.5 M 락트아미드용액에 1%의 BSA를 첨가한 경우, DMSO의 동결보호작용에 필적하는 동결보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초자화 동결된 생쥐 팽창/탈출/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체내 발달 (In Vitro Development of Vitrified Mouse Expanding/Hatching/Hatched Blastocysts)

  • 김묘경;김은영;이현숙;이봉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1-137
    • /
    • 1997
  • 본 연구는 초자화 동결된 생쥐 팽창, 탈출,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체내 발달율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체외수정하여 얻어진 생쥐 배반포기배는 EFS40(40% ethylene glycol, 30% Ficoll, 0.3M sucrose)으로 초자화 동결하였다. 팽창, 탈출 배반포기배는 20% ethylene glycol에 5분동안 평형시킨 다음, EFS40 용액에 1분간 노출후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초자화 동결하였다. 완전탈출 배반포기배는 0.4% BSA가 첨가된 m-CR1 배양액에서 5일동안 배양하여 얻었으며, 10% EG에 5분, EFS40에 30초동안 노출하여 초자화 동결시켰다. 융해후 재팽창이 이루어진 배반포기배는 가임신 3일된 대리모의 한쪽 또는 양쪽 자궁각에(6∼8개/자궁각) 이식하였다. 대리모의 임신율과 착상율은 임신 15일째 외과적 해부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신율과 정상 산자율은 초자화 동결된 팽창 배반포기배의 경우 77.8과 25.0%이었고, 탈출 배반포기배의 경우는 77.8과 26.4%로서 각각의 대조군에 있어서 66.7과 42.9%, 83.3과 40.4%에 비해 유의차가 없었다. 2) 완전탈출 배반포기배의 체외 발달율은 34.0%였고, 3) 체내 발달율은 33.3%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실험에 사용된 EFS40 동결액을 이용한 초자화 동결방법이 생쥐 팽창, 탈출 배반포기배의 초자화 동결은 물론, 완전탈출 배반포기의 초자화 동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녹용(Cervi pantotrichum cornu) 추출물이 인간 정자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tract of Cervi pantotrichum Cornu on Human Sperm Motility)

  • 신동혁;김지영;이창훈;정창진;조용선;최동희;고정재;윤태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19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방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약재중의 하나인 녹용을 정자의 처리에 있어 녹용약침액 상태로 배양액에 첨가 후 정자에 미치는 영향을 운동성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정상정액군에서는 Ham's F-10 배양액에 0.3% BSA가 첨가된 배양액과 Ham's F-10 배양액에 0.3% BSA와 녹용약 침액이 같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한 정자의 운동성이 높았으며, 48시간동안 배양 후의 운동성은 BSh와 녹용약침액이 같이 들어간 경우에서 다른 배양액과 비교하여 높은 정자의 운동성이 관찰되었다. 무력정자증을 보이는 정액군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녹용성분(녹용약침액)을 포함한 배양액의 처리가 정자의 회수율을 증진시키고, 체외배앙시 회수되는 정자의 운동성 유지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아기 시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hryseobacterium sp. JK1이 분비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 특성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Secreted from Chryseobacterium sp. JK1)

  • 이유경;오지성;노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8-82
    • /
    • 2013
  • 이전의 연구에서 토양으로부터 많은 양의 세포외 단백질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신종 중온세균 Chryseobacterium sp. JK1를 분리하였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특성조사 결과 최적반응온도와 pH는 각각 $40^{\circ}C$와 7.0이였으며, 좁은 최적온도 구간과 비교적 넓은 pH 구간인 pH 6.0-9.0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단백질 분해효소는 EDTA 또는 EGTA, PMSF와 금속이온 $Ag^+$ 또는 $Cu^{2+}$의 첨가에 의해 강하게 저해 되었으며, $Al^{3+}$의 첨가에 의해 약하게 저해되었다. Pepstatin과 금 속이온 $K^+$, $Ca^{2+}$, $Na^+$, $Fe^{2+}$ 또는 $Mg^{2+}$의 첨가는 저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단백질분해효소는 이가 금속이온인 $Mn^{2+}$ (5 mM)의 첨가에 의해 효소활성이 향상되었다. 농축된 배양 상등액의 활성염색 분석으로 67과 145 kDa 크기의 주요 밴드 두 개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Chryseobacterium sp. JK1 균주가 식품산업에 응용 가능한 세포외 중성의 serine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mmunological Monitoring of Urinary Aflatoxins and Estimation of Liver Cancer Incidence in Koreans

  • Choi, Mun-Jung;You, Young-Chan;Kim, Hyung-Sik;Lee, Byung-Mu
    • BMB Reports
    • /
    • 제29권2호
    • /
    • pp.105-110
    • /
    • 1996
  • Polyclonal antiserum R101 against aflatoxin $B_1$ ($AFB_1$) was raised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after injection of bovine serum albumin-$AFB_1$ conjugate. Competitive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demonstrated that antiserum R101 has the highest binding for $AFB_1$ (50% inhibition at 170 fmol) and aflatoxicol II (50% inhibition at 112 fmol). It also reacts with other aflatoxins such as $AFB_2$, $AFG_1$, $AFG_2$, and aflatoxin metabolites ($AFM_1$, $AFM_2$, $AFP_1$, and $AFQ_1$), but it does not cross-react with $AFG_2a$. Using this antiserum, aflatoxins were quantitated in 100 urine sampl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Pharmacy, Sung Kyun 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By ELISA, $AFB_1$ and its metabolites were detected in human urine samples (N=100, male=89, female=11, ages=20~31 yrs) with a range of 1.4~200.6 ng/kg/day (mean$\pm$SD=$18.11{\pm}33.01\;ng\;AFB_1/kg/day$ in males, $3.82{\pm}2.65\;ng/kg/day$ in females). Assuming that urinary excretion is about 7.6% of $AFB_1$ intake (Groopman et al., 1992), we estimated that Koreans were daily exposed to a total dietary $AFB_1$ of $240.20{\pm}438.67\;ng/kg/day$ in males and $50.35{\pm}29.88\;ng/kg/day$ in females, respectively. When the human monitoring data was applied to a linear regression model of Y=21.67X-10.04 {Y=liver cancer incidence per 100,000, X=Log $AFB_1$ intake (ng/kg/day), r=0.99} developed from previously reported epidemiological data, calculated liver cancer incidences attributed to $AFB_1$ exposure were 41.56/100,000 in males and 26.84/100,000 in females. The incidences were similarly correlated with liver cancer mortality rates of 43.43/100,000 in males and 11.23/100,000 in females in Ko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flatoxin exposure may b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the high incidence of liver cancer in Korea.

  • PDF

$PES-TiO_2$ 복합막의 제조 및 막 특성 평가 (Preparation of $PES-TiO_2$ Hybrid Membranes and Evaluation of Membrane Properties)

  • 염경호;이미선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219-232
    • /
    • 2007
  • 침지침강 상변환법으로 폴리에테르설폰$(PES)-TiO_2$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14 wt% 및 20 wt%의 PES/NMP 기준 고분자 용액에 $TiO_2$ 나노입자를 PES에 대해 $0{\sim}60$ wt%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복합막 제조에 사용될 캐스팅 용액을 준비하였다. 제조된 $PES-TiO_2$ 복합막의 막 특성과 몰폴로지를 $TiO_2$ 첨가량에 따른 캐스팅 용액의 점도, coagulation value, 광투과도와 복합막의 인장강도, 세공크기 및 접촉각, 표면 및 단면 SEM 사진, BSA 용액의 한외여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캐스팅 용액에 첨가시킨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는 증가하고 coagulation value는 낮아져 캐스팅 용액의 열역학적 불안정성이 증가하였다. $TiO_2$ 입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1) 순간분리의 침강형식을 유지하면서 침강속도가 빨라졌으며, 2) 순수투과량, 세공크기 및 압밀화 안정성이 증가하며, 3) 인장강도와 접촉각은 감소하였다. $PES-TiO_2$ 복합막의 BSA 용액에 대한 전량여과식 한외여과 실험결과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친수화 특성이 증가하여 투과플럭스가 증가하였으며, $TiO_2$가 첨가되지 않은 막과 비교하여 최대 7배까지 투과 플럭스가 향상되었다.

Interactions between Collagen IV and Collagen-Binding Integrins in Renal Cell Repair after Sublethal Injury

  • Nony, Paul A,;Schnellmann, Rick G.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80-88
    • /
    • 2002
  • Recent studies demonstrate that collagen IV selectively pro-motes the repair of physiological processes in sublethally injured renal proximal tubular ceils (RPTC). We sought to further define the mechanisms of cell repair by measuring the effects of toxicant injury and stimulation of repair by L-ascorbic acid-2-phosphate (AscP), exogenous collagen IV, or function-stimulating integrin antibodies on the expressio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collagen-binding integrins (CBI) in RPTC. Expression of CBI subunits ${\alpha}_1$, ${\alpha}_2$, and ${\beta}_1$ in RPTC was not altered on day 1 after sublethal injury by S-(1,2-dichlorovinyl)-L-cysteine (DCVC). On day 6, expression of ${\alpha}_1$ and ${\beta}_1$ subunits remained unchanged, whereas a 2.2-fold increase in ${\alpha}_2$ expression was evident in injured RPTC. CBI localization in control RPTC was limited exclusively to the basal membrane. On day 1 after injury, RPTC exhibited a marked inhibition of active $Na^+$ transport and a loss of cell polarity characterized by a decrease in basal CBI localization and the appearance of CBI on the apical membrane. On day 6 after injury, RPTC still exhibited marked inhibition of active $Na^+$ transport and localization of CBI to the apical membrane. However, DCVC-injured RPTC cultured in pharmacological concentrations of AscP (500 ${\mu}$M)or exogenous collagen IV (50 ${\mu}$g/ml) exhibited an increase inactive $Na^+$ transport, relocalization of CBI to the basal membrane, and the disappearance of CBI from the apical membrane on day 6. Function-stimulating antibodies to CBI ${\beta}_1$ did not promote basal relocalization of CBI despite stimulating the repair of $Na^+$/$K^+$-ATPase activity on day 6 after injury. These data demonstrate that DCVC disrupts integrin localization and that physiological repair stimulated by AscP or collagen IV is associated with the basal relocalization of CBI in DCVC-injured RPTC. These data also suggest that CBI-mediated repair of physiological functions may occur independently of integrin relocal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