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serum albumin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32초

떫은감과 포제 떫은감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를 통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of Young persimmon and Heated young persimmon by decreased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s))

  • 김수현;이아름;김수지;김경조;권오준;최준영;구진숙;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7-24
    • /
    • 2017
  • Objectives :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is bind formation of glucose and protein. Acceleration of AGE formation during hyperglycemia is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causes kidney and skin dam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AGEs inhibi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young persimmon (YP) and heated young persimmon (HYP). Methods : Paeoniae Radix Alba (YP) is prepared by heating with 30% ethanol. AGEs form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YP and HYP measured using bovine serum albumin.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YP and HYP in diabetic rats induced with streptozotocin (STZ) and methyl glyoxal (MGO), SD rats were distributed into four groups; normal mice (Nor), AGEs-induced rats (Con), AGEs-induced rats treated with 100 mg/kg YP (YP), AGEs-induced rats treated with 100 mg/kg heated YP (HYP) for 3weeks. Heated young persimmon respectively decrease AGEs construction. Results : YP and HYP administration inhibited the biomarkers of AGEs in serum, kidney and skin tissues. AGE-induced rat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decreased collagen however, heat processing methods of young persimmon up regulated inhibits AGEs-induced collagen decrease. The expressions of AGEs were decreased in YP and HYP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issues. It specifies that HYP has potential to serve as a positive regulator of via AGEs path way. Conclusion : It has proposed that may have an improvement effect on diabetic complications, heated young persimmon has AGEs inhibitory excelle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effect.

소 체외수정란의 Slow Freezing을 위해서 Ethylene Glycol 동결보호제에 Sucrose 첨가 농도에 의한 동결효율 (Effect of Sucrose Concentration on Survival After Frozen-thawed of Bovine IVF Blastocysts in Ethylene Glycol Based Freezing Medium for Slow-Cooling)

  • 조상래;김현종;최창용;진현주;손동수;최선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797-80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동결 보호제 EG l에 sucrose 첨가 농도에 따른 생존성의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 M EG와 1.8 M EG 만을 이용하여 동결융해 후 생존서의 조사한 결과 71.1%와 70.2%로 각각 나타났다.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127±1.3개와 124±1.6개로 생존율과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두 그룹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5 M EG와 1.8 M EG에 0.1 M sucrose를 각각 첨가한 후 동결 보존하여 융해 하였을 때 생존율과 총세포수 조사 결과는 1.5 M EG에 0.1 M sucrose 처리구가 73.6% 그리고 1.8 M EG 에 0.1 M sucrose 첨가군은 76.9%의 결과를 보였으며 총세포수 에 있어서도 118±1.2 와 112±1.2 개의 결과를 보여 생존성과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두 처리군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5 M EG 처리구에서 총세포수는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1.5 M EG 와 1.8 M EG에 0.3 M sucrose를 첨가하여 각각 생존성과 총세포수 조사 결과는 70.8%와 88.7%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1.8 M EG 에 0.3 M sucrose 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소 체외수정란을 conventional slow-freezing 방법으로 동결 보존할 경우는 1.8 M EG 동결보호제에 0.3 M sucrose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수정란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어 수정란이식에 적용할 경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난소의 Follicular Fluid의 특징과 과립막 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 분비에 대한 Anti-Inhibin Serum의 첨가효과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Ovarian follicular Fluid and Ant-Inhibin Serum on Steroid Hormone Secretion by Hanwoo Granulosa Cells In Vitro)

  • 성환후;민관식;양병철;노환국;최선호;임기순;장유민;박성재;장원경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9-124
    • /
    • 2001
  • 본 연구는 한우 난포발달에 있어서 난포액 및 inhibin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nti-inhibin serum(AI)생산을 위해 사용된 항원은 porcine inhibin-$\alpha$-subunit 19~32의 peptide를 사용하여 adjuvant 용액을 혼합, 앙고라종 토끼 5두(체중 2.5kg)에게 주 2회 간격으로 면역 실시 후 52일째의 토끼로부터 항혈청을 생산하였다. 과립막 세포의 체외배양을 위해 D-MEM(10% FCS와 antibiotics를 첨가)을 배양액으로 하여 1$\times$$10^{6}$ cells/$m\ell$로 조절하였으며, 호르몬은 RIA 및 ELISA법으로 분석하였다. Western blotting법에 의해 과립막 세포 및 황체조직의 각 세포질을 SDS-PAGE로 분리하여 nitro cellulose membrane에 transfer하여 검토한 결과, 직경 1.0 cm의 성숙 난포의 granulosa cell의 세포질에서 특이하게 Inhibin이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황체조직 및 성숙 난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난포 크기별 난포액의 progesterone 및 estradiol-17$\beta$을 농도를 분석한 결과, estradiol-17$\beta$농도는 난포 크기가 직경 2.0 cm부터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난포 크기가 적을수록 감소되었다. 이에 반해, Progesterone 농도는 직경 2.0 cm 난포에서 가장 높았으며 난포 크기가 적을수록 낮았다. 과립막 세포의 48시간 체외배양에서 bFF 5% 처리구와 bFF 5%+AI 5% 처리구에서는 progesterone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나, AI 5% 단독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estradiol-17$\beta$농도는 5% AI구와 5% AI+5% bFF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5% bFF 단독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우에 있어서 성숙난포에 존재하는 Inhibin은 AI처리에 의해 내인성 Inhibin의 기능이 약하되어 FSH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난포발달 및 난포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합성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서 Hydroxyl Radical의 병인론적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Hydroxyl Radical in the Pathogenetic Mechanism of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심영수;유철규;김영환;한성구;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20-130
    • /
    • 1992
  • 연구배경 : 급성 폐손상의 기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아직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에 산소기의 병인론적 역할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이것도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못한 실정이고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 관해서는 경험이 일천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백서에서 내독소투여 후 시간경과에 따른 폐포내 호중구 침윤과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의 변화를 관찰하고 hydroxyl radical 탐식제인 DMTU와 hydroxyl radical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철분제거제인 DFX 전처치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hydroxyl radical이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서 호중구의 이동과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의 증가에 마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50마리의 백서를 대조군 (n=5, 6hrs; n=5, 24hrs), 내독소 투여군 (n=10, 6hrs; n=10 24hrs), DMTU 전처치군 (n=10, 6hrs) 과 DFX 전처치군 (n=10, 6hrs) 으로 나누어 희생하기 30분전에 $^{125}I$을 붙인 bovine serum albwnin을 꼬리 정맥에 주사하였다. 내독소를 투여하고 6시간과 24시간이 경과한 후 백서를 희생시켜서 폐조직과 말초혈액 1 ml의 방사능을 측정하여 이 둘의 비를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다른 52마리의 백서를 위와 같이 4개의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 (n=5, 6hrs; n=5, 24hrs), 내독소투여군 (n=7, 6hrs; n=8, 24hrs), DMTU 전처치군 (n=6, 6hrs; n=9, 24hrs)과 DFX 전처치군 (n=5, 6hrs; n=7, 24hrs)] 내독소를 투여하고 6시간과 24시간이 경과한 후 희생시켜 말초혈액과 기관지폐포세척액의 구성세포와 폐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과 : 내독소를 투여하고 6시간이 경과한 후 폐포-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었다가 24시간이 경과한 후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6시간만에 DMTU와 DFX 전처치로 유의하게 완화되었다. 폐조직으로의 호중구 침윤은 내독소를 투여하고 24시간이 경과한 후 관찰되었는데 이는 DMTU와 DFX 전처치로 완화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내독소에 의한 백서의 급성 폐손상에서 hydroxyl radical은 호중구의 이동에는 관여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주로 폐포-모세혈관 투과성 증가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체외수정용 배양조건의 신속한 Q/C를 위한 정자-난자 결합분석법(OSBA) 개발 (Oocyte-sperm Binding Assay (OSBA) Technique for Rapid Q/C of IVF Culture Condition)

  • 정구민;신영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3-169
    • /
    • 2001
  • 본 연구는 마우스 정자-난자 결합분석 법(oocytes-sperm binding assay; OSBA)을 이용하여 단백질원, 배양액의 질, 난자의 성숙도에 따라서 정자와 난자의 결합능력을 알아보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5주령의 hybrid(C57BL/6 $\times$ CBA/N) F$_1$ 암컷에서 회수된 미수정란에 0.1% hyaluronidase를 이용하여 난구세포를 제거하였으며, 제1극체의 존재유무에 따라 Met. II(mature)와 Met. I(intermediate mature)로 구분하였다. 암컷과 동일 계통의 8주령 이상 된 수컷에서 회수된 정소상체 미부정자를 37$^{\circ}C$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정자부유액은 단백원 무첨가배양액과 1:5로 희석하여 10분간 배양한 다음 3 ${\mu}\ell$를 10$\pm$2개의 난자를 들어있는 배양액 소적(30 ${\mu}\ell$)에 넣어서 정자와 난자의 결합을 유도하였다. 정자 주입 후 3시간 혹은 24시간째에 난자를 뽑아내어 세척하였으며, 도립현미경(100$\times$)에서 난자에 부착된 정자의 수를 세었다. 수정란을 이용한 정도관리를 위하여 과배란이 유도된 암컷은 수컷과 합사시켰으며, hCG 주사 16~18시간째에 전핵기의 1세포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단백질원의 종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OSBA를 실시한 결과, 수정 3시간째에 난자당 하나 이상의 정자가 부착된 난자의 비율은 BSA첨가군, 무첨가군, FBS 첨가군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100% vs. 60.2% vs. 2.1%). 한편, BSA 첨가군에서 정자의 결합능력이 우수하였으나 FBS는 매우 유해하였으며 FBS의 농도가 5%까지는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투명대에 정자가 부착에 있어서 단백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OSBA는 정자와 난자의 결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양조건을 명확히 판별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Met. II(mature)와 Met. I(intermediate mature) 난자를 단백원 무첨가, 15% FBS, 0.4% BSA 및 10% AF(양수)가 첨가된 Ham's F-10 배양액에서 OSBA를 실시한 결과, 난자의 성숙도에 상관없이 정자의 결합능력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BSA첨가군, 양수첨가군, 무첨가군, FBS첨가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OSBA에서 Met. II 난자 대신에 Met. I난자를 이용해도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생쥐 1세포기배에서 배반포까지의 배발달율을 기준으로 Ham's F-10배양액을 평가하여 일련번호 151은 불량(poor), 152는 양호(good)로 판정한 다음, 동일한 배양액에 OSBA를 실시한 결과 생쥐 1세포기배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일련번호 152 배양액이 151 배양액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OSBA는 기존의 정도관리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OSBA는 배양액 조건에 따라 정자의 결합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정토관리 방법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쉽게 준비할 수 있는 생쥐의 난자와 정자를 이용하였으며, 배양시간이 3시간으로 짧고, 평가방법이 간편해 시간적, 경제적으로도 효율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항체검출 ELISA 적용을 위한 능성어 IgM의 안정성 및 특이 항체 반응 평가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IgM and specific antibody response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for application of antibody-detection ELISA)

  • 김춘섭;장민석;김위식;김종오;김두운;김도형;한현자;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5-34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능성어를 대상으로 항체 검출 ELISA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능성어 혈청의 보존 조건에 따른 IgM의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항체 검출 ELISA법을 통해 능성어의 특이 항체반응을 조사하였다. 항 BSA 능성어 혈청을 사용하여 보존 온도 (-80, -20 및 4${^{\circ}C}$) 및 기간 (1, 34, 61 및 119일)에 따른 ELISA값을 비교한 결과, 모든 시료에 서 뚜렷한 O.D.값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80${^{\circ}C}$ 및 -20${^{\circ}C}$에 보존된 혈청을 사용하여 해동 횟수 (1, 5, 10회)에 따른 ELISA O.D.값을 비교한 결과, 해동을 반복한 혈청 및 미동결 혈청의 O.D.값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능성어 혈청은 -80, -20 및 4${^{\circ}C}$에서 119일간 보존하거나 10회 반복 해동하여도 능성어 IgM의 안정함이 확인되었다. 사육수온에 따른 능성어의 특이적 항체 반응을 조사한 결과, 20${^{\circ}C}$에서 사육중인 능성어에서 는 BSA 면역 후 14일째부터 BSA에 대한 특이 항체가 확인되었고, 21일-28일에 가장 높은 항체가를 나타냈으며 그 후 항체가는 서서히 떨어졌으나 면역 70일째에도 BSA에 대한 특이 항체는 관찰되었다. 반면 25${^{\circ}C}$에서 사육중인 능성어에서는 7일째부터 항체가가 확인되었고, 14일-21일 가장 높은 항체가를 나타냈으며 그 후 항체가는 서서히 떨어져 면역 70일째에는 0.4-1.6의 O.D. 값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능성어의 특이 항체 반응은 20${^{\circ}C}$보다 25${^{\circ}C}$에서 항체 형성이 빠르고 항체가도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20${^{\circ}C}$와 25${^{\circ}C}$에서 사육중인 능성어에서 특이 항체반응은 약 2달간 지속됨이 확인되었다.

식육알레르기 발생 경향 및 잠재적 우육알레르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valence of Meat Allergy and Potential Beef Allergens)

  • 정보영;김동엽;;정현채;한기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1-156
    • /
    • 2009
  • 19세에서 24세까지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그들의 병력을 바탕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식품알레르기의 발생 경향을 조사하고, 알레르기 경험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식육알레르기의 원인 알레르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11.33%가 어떤 형태의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하였고, 그 원인식품으로는 생선, 우육, 계육, 유제품, 난류(계란), 돈육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식육에 대한 알레르기를 경험한 대상자의 비율은 전체의 4.65%(우육 2.33%, 계육 1.66%,돈육 0.66%)를 차지하였다. 이 중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우육에 대한 원인 알레르겐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에서 우육에 대하여 과민반응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한 대상자 6명의 혈청을 이용하여 원인 알레르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ELISA를 이용한 항원성의 검사결과 우육에 특이적 반응성을 보인 대상자의 혈청과 우육추출물을 이용하여 원인 알레르겐을 조사하였다. Western blots 결과에서 PVDF membrane상에 대상자의 혈청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2개의 밴드가 관찰되었다. 표준단백질 middle range marker를 이용한 전기영동상 이동거리비교에서 이들의 분자량이 67kDa과 31kDa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N말단 아미노산서열 분석결과로부터, 67kDa은 지금까지 중요한 우육알레르겐의 하나로 알려진 BSA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31kDa은 지금까지 보고가 없는 새로운 잠재적 우육알레르겐인 것으로 보인다. 31kDa 분자는 N 말단 아미노산서열 분석이 어려웠다. PAS염색결과 아미노산 서열분석이 어려운 이유는 31kDa분자가 당쇄로 수식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31kDa분자에 대한 이화학적 및 물리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 식육에 대한 알레르기 발생경향 및 식육알레르겐에 관한 연구보고가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식육알레르기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반복적인 과배란 처치 경험이 있는 한국흑염소에서 난포 자극 및 복강경을 이용한 난포란 채취(LOPU) (Follicular Stimulation and Laparoscopic Ovum Pick-up (LOPU) in Repeatedly Superovulated Korean Black Goats)

  • 이용범;이두수;조상철;신상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41
    • /
    • 2014
  • Laparoscopic ovum pick-up (LOPU) is a convenient method for collecting oocytes in small ruminants. LOPU has the advantage of being a less invasive means of oocyte collection, thereby allowing for a repeated usage of the oocyte donor animals. A total of 25 Korean black goats were used in the winter season (December to February) and LOPU was applied to the goats which had been treated for superovulation more than two times during the last twelve months. Estrus was synchronized with an intravaginal insert containing 0.3 g progesterone for 10 to 12 days. Ovaries were hyperstimulated with eCG 1,000 IU oneshot, FSH with eCG (50 mg / 1,000 IU; 70 mg / 500 IU; 70 mg / 1,000 IU) oneshot or FSH multiple-shot with eCG oneshot ($20mg{\times}6/300IU$) given intramuscularly 72 h prior to LOPU. For these groups, the number of follicles (mean ${\pm}$ SEM) observed which developed to larger than 2 mm in diameter were $1.6{\pm}2.5$, $4.3{\pm}3.1$, $5.5{\pm}4.2$, $6.6{\pm}2.1$ and $8.8{\pm}7.8$, respectively. Oocytes were aspirated by using OPU needles and a vacuum pump. The overall oocyte retrieval rates were 41.4%.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0% (w/v) bovine serum albumin + $10{\mu}g/ml$ FSH + $1{\mu}g/ml$ $17{\beta}$-estradiol for 27 h at $39^{\circ}C$ in 5% $CO_2$ in air. Oocytes were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by ionomycin combined with 6-diethylaminopurine (6-DMAP). Total oocyte maturation and cleavage rate were 67.3% and 78.8%, respectively. In summary, LOPU is a useful oocyte collection method in Korean black goats that can provide immature oocytes for transgenesis or nuclear transfer.

Comparison of Viability, ATP and In vitro Fertilization of Boar Sperm Stored at 4℃ in the Three Different Diluents

  • Yi, Y.J.;Li, Z.H.;Kim, E.S.;Song, E.S.;Cong, P.Q.;Zhang, Y.H.;Lee, S.H.;Lee, J.W.;Park, Chang-S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8호
    • /
    • pp.1127-1133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method of liquid storage of boar sperm at $4^{\circ}C$ by using the modified Beltsville F5 (BF5) diluent with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N-acetyl-D-glucosamine. Boar sperm were stored in lactose-egg yolk and N-acetyl-D-glucosamine (LEN), BF5 and Golden-Pig liquid 4 (GPL4) diluents at $4^{\circ}C$ for 5 days and were examined for sperm viability, adenosine triphosphate (ATP) and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e percentage of sperm viability in GPL4 diluent was higher than in LEN and BF5 diluent from 1 to 5 days of storage at $4^{\circ}C$. The percentage of sperm viability steadily declined from 1 to 5 days of storage in the three different diluents. Sperm ATP in GPL4 diluent was higher than in LEN and BF5 diluents from 1 to 5 days of storage. Sperm ATP rapidly declined after 5 days of storage in the three different diluents. Porcine oocytes matured in vitro were inseminated with different sperm concentrations of liquid semen stored for 3 days in GPL4 diluent. The percentage of monospermic oocyt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from 2.5 to $20{\times}10^5$ sperm/ml. However, the percentage of polyspermic oocytes in the sperm concentration of $2.5{\times}10^5$ sperm/ml was lower than in concentrations of 5, 10 and $20{\times}10^5$5 sperm/ml. The percentage of blastocysts from the cleaved oocytes at $2.5{\times}10^5/ml$ sperm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t 5, 10 and $20{\times}10^5sperm/ml$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GPL4 diluent can be stored at $4^{\circ}C$ for 5 days and showed higher sperm viability and sperm ATP concentration compared with LEN and BF5 diluents. Also, we found that GPL4 diluent can be used for IVF of porcine oocytes.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고강도 집중 초음파 빔 시각화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beam path visualization using ultrasound imaging)

  • 송재희;장진호;유양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3
    • /
    • 2020
  • 고강도 집중 초음파(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치료에서 HIFU 초점의 효과적인 위치 파악은 안전한 치료 계획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 자기 공명 영상 유도 HIFU(Magnetic Resonance Imaging guided HIFU, MRIgHIFU)는 HIFU 초점을 영상화하여 치료 중에 초음파 경로를 시각화 할 수 있지만 초음파 이미징 유도 HIFU(Ultrasound imaging guided HIFU, USIgHIFU)에서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USIgHIFU에 대해 HIFU 초점을 영상화할 수 있는 실시간 초음파 빔 시각화 기법을 제시 하였다. 제안 된 방법에서, 음향 강도(Ispta < 720 mW/㎠) 아래의 이미징 초음파 변환자의 동일한 중심 주파수를 갖는 짧은 펄스가 HIFU 변환기를 통해 전송되고, HIFU 빔 경로를 시각화하기 위해 수신 신호는 동적 수신 포커싱 및 후속 에코 처리를 거쳤다. 소 혈청 알부민 젤 팬텀을 이용한 생체외 실험으로부터, HIFU 빔 경로는 낮은 음향 강도 (Ispta = 94.8 mW/㎠)에서도 명확히 영상화 할 수 있었고 HIFU 초점은 손상이 생성되기 전에 성공적으로 시각화하였다. 이 결과는 제안 된 초음파 빔 경로 시각화 방법이 USIgHIFU 치료에서 원치 않는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실시간으로 HIFU 초점을 영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