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st 컨버터

검색결과 743건 처리시간 0.067초

동기형 소프트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 (Synchronous Soft Switching Boost Converter)

  • 김준구;김재형;원충연;정용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7-189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synchronous soft switching boost converter.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converter effectively reduces conduction loss by using MOSFET device in place of diode in the conventional boost converter. Also, this soft switching boost converter can reduce switching loss using ZVS method through resonant inductor and capacitor. The proposed synchronous soft switching boost converter is suitable for PV generation system.

  • PDF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이중 모드 부스트 컨버터 (Dual Mode Boost Converter for Energy Harvesting)

  • 박형렬;여재진;노정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73-582
    • /
    • 2015
  • 본 논문은 에너지 하베스팅용 이중 모드 부스트 컨버터 설계에 관한 것이다. 설계된 회로는 에너지 하베스팅에 의해 출력된 작은 전압으로부터 startup 회로를 통해 승압된 전압을 얻는다. 이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 전압 감지기에 의해 startup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이 된다. 승압된 전압은 부스트 컨트롤러에 의해 최종적으로 $V_{OUT}$이 된다. 회로는 크게 전하 펌프를 위한 오실레이터, 전하 펌프, 펄스 생성기, 전압 감지기, 부스트 컨트롤러로 구성되어있다. 매그나칩 / SK하이닉스의 $0.18{\mu}m$ CMOS 공정을 사용하였다. 설계된 회로는 테스트 결과 최소 입력 전압은 600mV이며, 출력은 3V이고, startup time은 20ms이다. 제작된 부스트 컨버터의 효율은 load current가 3mA일때, 47%로 측정되었다.

전기자동차용 고효율 승압형 DC/DC 컨버터 개발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Boost DC/DC Converter For EV)

  • 최미선;송성근;박성준;김대경;김용구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27-1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 리액터리스 고효율 승압형 DC/DC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1차측 Full Bridge의 모든 스위치에서 영전류 스위칭을 적용하여 턴 온/턴 오프시 스위칭 소자에 생기는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므로서 효율을 개선한다. 그리고 ZCS(Zero Current Switching)를 위한 L-C공진 회로 중 리액턴스 성분을 1, 2차 절연을 위한 고조파 변압기의 누설인덕턴스 성분으로 대체함으로서 별도의 리액터를 추가하지 않기에 시스템 사이즈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컨버터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PSIM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5[KW]급 DC/DC컨버터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컨버터의 효율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결합인덕터를 이용한 새로운 절연형 고승압 부스트 컨버터의 제안 (New Isolated High Voltage Gain Boost Converter Using Coupled Inductor)

  • 최영호;차헌녕;김수한;최병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2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전압이득의 한계를 가지는 기존의 부스트 컨버터의 전압이득을 높이기 위해, 입력과 출력에 결합인덕터를 추가하여 기존 부스트 컨버터의 전압이득의 한계를 극복하는 컨버터를 제안한다. 1 kW 시제품을 제작하여, 제안한 컨버터의 동작원리 및 실험 결과를 확인하고, 결론을 맺는다.

  • PDF

밧데리 층전을 위한 새로운 AC/DC 컨버터의 모드해석 (Analysis of New AC/DC Converter for Battery Charging)

  • 김태근;정교범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31-133
    • /
    • 2004
  • 본 연구는 출력단에 패캐시터를 갖고 있는 AC 전류원으로부터, 밧데리 충전을 위한 새로운 AC/DC 컨버터 회로를 제안한다. 영전압과 영전류 스위칭을 사용하여 컨버터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를 추구하였고, 풀브리지 MOSFET 정류기와 Buck-boost 컨버터가 결합된 새로운 토폴로지의 회로를 구성하였다. 제안된 컨버터의 동작원리 및 동작모드를 해석하고, PSpicc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석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3KW 3상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구현 및 실험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 of 3KW Three Phase Interleaved Boost Converter)

  • 차한주;강영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01_1002
    • /
    • 2009
  • 본 논문은 태양광 PCS 발전 시스템을 위한 3KW 3상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의 동작과 제작을 위한 기반사항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컨버터의 희망 출력전압을 얻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과 비례전류제어를 사용한 동작알고리즘을 포함해 실제 PCB 제작을 위해 선정한 부품 및 배치의 구성에 대해 다루었다. 제어부는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제어를 채택하여 컨버터 각 부의 센서를 통해 전류, 전압 값을 취득하고, 이를 DSP에서 처리하여, 기준값과 피드백 값과의 오차 보상을 위한 PWM 신호를 생성, 컨버터를 동작시킨다.

  • PDF

비절연형 인터리브드 3-레벨 고승압 부스트 컨버터 (A Non-isolated Interleaved 3-Level High Step-Up Boost Converter)

  • 남현택;김흥근;차헌녕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7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357-35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비절연형 3-레벨 고승압 부스트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한 컨버터는 기존의 출력 전압 밸런싱 기능을 가지는 3-레벨 고승압 부스트 컨버터에서 스위치와 인덕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인터리브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출력전압 밸런싱 기능을 유지하면서 입력 전류의 리플 저감이 가능한 구조이다. 제안한 컨버터를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Controls for Boost PFC Converter under Light Load

  • Juil Kim;Yeong-Jun Cho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43-151
    • /
    • 2024
  • 본 논문은 부스트 PFC (Power Factor Correction) 컨버터의 경부하시, 컨버터의 인덕터 전류 왜곡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원인을 정의한다. 경부하시 평균 전류 모드제어에서 인덕터 전류가 불연속적으로 도통하게 되어 부정확한 인덕터 전류 평균값이 전류 제어에 반영된다. 예측 전류 모드제어에서는 인덕터 전류에 비해 전류 리플이 상대적으로 커져 전류 왜곡이 심해진다. 또한 모델 예측 전류제어의 경우 인덕터 전류의 첨두치 부근에서 스위치가 OFF된다. 인덕터 전류 왜곡은 total harmonic distortion 증가와 역률 감소를 유발하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수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부스트 PFC 컨버터의 경부하시 전류 왜곡을 완화할 수 있는 설계 절차를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hardware-in-the-loop simulation을 사용하여 경부하시 제어 방법들을 비교분석했다.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용 DC/DC 컨버터를 위한 부스트 컨버터 토폴로지 비교 및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Boost Converter Topologies for the DC/DC Converter in Hydrogen Fuel Cell Hybrid Railway Vehicle)

  • 강동훈;이일운;이우석;윤덕현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269-278
    • /
    • 2020
  • In this paper, two types of DC/DC converters in a hydrogen fuel cell hybrid railway vehicle system, which serve to charge high-voltage battery and supply power to an inverter for driving a driving motor, were compared and analyzed. A two-level interleaving boost converter and a three-level boost conver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a theoretical design method was proposed to have an efficiency characteristic of over 95%. In addition, a digital controller design method considering the digital phase delay component of DSP (TMS320F28335) is presented. Finally,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design of the converter with 20kW power was verified through static and dynamic experiments respectively.

태양광용 부스트 컨버터의 디지털 제어기 설계 (The Design of Digital Controller for Boost Converter on Photovoltaic System)

  • 임지훈;최주엽;송승호;최익;정승환;안진웅;이동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22-27
    • /
    • 2010
  • In photovoltaic system, the specifications of solar array is changed as open circuit voltage and short circuit current because of cell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 boost converter of this system connects between output of photovoltaic system and DC link capacitor of grid connected inverter as controlling duty ratio. Therefore to supply stable voltage to the grid, a boost converter is need to keep certain voltage output. Considering the capacitance and the resistance of boost converter, this paper designed proper digital contro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