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us-Malus Syste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Deductible System with Bonus-Malus System

  • Kang, Jung-Chul;Young, Jeong-J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1093-1101
    • /
    • 2007
  • Bonus-Malus system in automobile insurance rewards claim-free policyholders by premium discounts and penalizes policyholders with claims by premium surcharges. The purpose of adopting bonus-malus system is to alleviate differences in risk propensity. A well-known side-effect of bonus-malus system is the tendency of policyholders to pay small claims themselves and not report them to their, in order to avoid future premium increases. This phenomenon is called hunger for bonus. In this paper, we introduc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Bonus-Malus system in automobile insurance - the approach is based on a deductible theory; and then search for a proper way combining both of them. Also, we construct a new algorithm to determine the optimal strategy of the policyholder based on the proposed model.

  • PDF

A Study on the Time-Dependent Bonus-Malus System in Automobile Insurance

  • Kang, J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1147-1157
    • /
    • 2005
  • Bonus-Malus system is generally constructed based on claim frequency and Bayesian credibility model is used to represent claim frequency distribu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traditionally used credibility model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bonus-malus system. In traditional Bonus-Malus system adopted credibility model, individual estimates of premium rates for insureds are determined based solely on the total number of claim frequency without considering when those claims occurred. In this paper, a new model which is a modification of structural time series model applicable to counting time series data are suggested. Based on the suggested model relatively higher premium rates are charged to insured with more claim records.

  • PDF

자동차 시장구조에 따른 저탄소차협력금제도의 효과 변화 (Effect of the Bonus-Malus Policy upon Car Market Structure)

  • 이우평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4호
    • /
    • pp.23-44
    • /
    • 2015
  • 저탄소차협력금제도는 중대형차 위주의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소형차의 점유율을 제고하고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2015년 시행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2014년 산업부 등이 해당 제도의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낮고 수입차에 상대적 혜택이 있다고 주장하였고, 관련자들의 토론을 거쳐 제도의 시행이 2020년으로 연기되었다. 2014년 집중되었던 기존의 연구는 실증분석 위주로 제도의 효과를 추정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으며, 정량적 수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제모형에 입각한 구조적 논의는 별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자동차 시장 구조에 따라 보너스-부담금이 자동차 가격에 반영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경제수리모형을 통해 입증하였고 제도를 둘러싼 구조에 대한 정밀한 통찰을 제공하여 정합한 실증분석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동차 공급자가 독점력을 가지고 있어 전략적 가격 설정이 가능하다면 보너스와 부담금이 자동차 가격에 반영되는 정도는 명목적으로 부여된 수준보다 작다. 보너스가 부과되는 소형차 시장만 독점력이 떨어지더라도 제도의 효과가 개선된다. 최적의 보너스와 부담금이 도입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자동차 시장 구조가 변화한다면 최적 가격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보너스와 부담금 변화 방향은 직관과 다를 수 있다. 각 시장의 가격탄력성과 대체탄력성의 크기가 최적 보너스-부담금의 변화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대형차 수요는 탄력적이고 소형차 수요가 비탄력적이면서 대체탄력성은 낮은 경우 독점력이 강화된다면 보너스와 부담금 모두 상향 조정되어야 한다.

  • PDF

이산·연속선택모형을 이용한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원정책이 에너지 소비와 CO2 배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권오상;김용건;정재호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237-269
    • /
    • 2012
  • 본 연구는 수송부문 $CO_2$ 배출량 저감을 목표로 하는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원정책의 효과를 예측하고 정책성공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차 이용에서 발생하는 $CO_2$ 배출량은 자동차의 유형을 선택하는 이산선택행위와 이미 선택한 유형의 자동차를 어느 정도나 운행하는지를 결정하는 연속선택행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산 및 연속 선택을 결합분석하는 이산 연속선택모형을 구축한 후, 한국 소비자들의 자동차 선택 및 운행거리 자료에 적용하여 자동차의 연료효율에 따라 보조금 부과금을 차등 적용하는 정책을 시행할 때 발생하는 두 가지 선택의 변화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보조금 부과금이 도입되는 방식이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친환경자동차의 예상보급률이 달라지며, $CO_2$ 배출량 저감 수준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보조금 부과금을 적절히 선택할 경우에만 정부의 세입중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정책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 결과도 도출되었다. 따라서 연비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보조금 부과금 형태 정책의 성공 여부는 정책이 새로운 유형의 친환경자동차의 점유율에 실질적인 차이를 유발하도록 설계되었는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저탄소차 협력금제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w carbon car subsidy for automotive industry development)

  • 맹해양;정준화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247-261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저탄소차 협력금제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도 도입의 취지와 목적, 필요성 등을 통해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저탄소차 협력금제도의 도입은 차량구입비용에 큰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차량구매관행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에서 보조금-부담금 구간 설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제도 시행 이전에 자동차 관련 기존 세제에 대한 조정, 부담금의 분할 징수 등의 방안에 대해서도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자동차 제작사의 경우 제도시행 시점까지 수입차와 동등한 수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록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정부 역시 이러한 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 PDF